중국의 시장형성단계에서 국가-시장 누진적 공진 개혁정책이 시
행될 수 있었던 배경에는 덩샤오핑의 개혁 리더십과 사상해방이 있
었다. 덩샤오핑은 직 무 복귀 후
인민공사라는 성역을 깨부수는 제도 개혁을 강력하게 촉구했고, 안휘성의 농가 책임 생산제 실험에 대해
실사구시를 적용함으로써 이를 적극 지지했다.신중국 건립 이전 19세기 중국 사회는 농촌 마을에서 중앙정부
까
지 소유권이나 토지 관련 재산보다 세대 간 연장자나 교육과 정치적 성과로부터 권력이 만 들어지는 제도를 개발 했다. 이는 ‘소유권을 지 배
하는 권력(power over property)’을 의미했다. 유럽의 경우 시장
이 국가를 지배하게 되었고 그 결과 자본주의와 산업화가 발원 했지
만, 중국은 소유권을 지배하는 권력 속에서 국가와 국가에 대한 관
계가 사회경제적인 조직을 지배하게 되었다. 중국공산당의 토
지개 혁에 대한 근원적인 신화는 소유권에 대한 평등한 재분배가 중국의 사회 정치적 평등이라는 문제를 해결한 것이라는 주장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이러한 토지개혁에 앞서 정치 권력의 재분배가 요구되었 고, 그러고 나서 더 평등주의적이거나 공평한 농촌 소유권 분배가 이루어질 수 있었다.
133)정치 권력의 지
배는 덩샤오핑 시대에도 계속되어 국가의 철
저한 감시와 1982년 중국 헌법에 삽 입된 4항 기본원칙 속에서 개혁개방
이 점진적으로 추진되었다.134) 중국공산당의 농촌 토지개혁과 소유 권개혁이 국가 권력의 재분배와 같은 소유권을 지배하는 권력에 대 한 변화와 개혁을 요구한 것처럼, 덩샤오핑의 농업개혁과 소유권개
133)Mattew Noellert, Power over Property: The Political Economy of Communist Land Reform in China (Ann Arbo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20), pp. 1~4.
134) 위의 책, p. 204.
혁도 결국은 이러한 개혁에 앞서 인민공사라는 소유권을 지배하는 권력의 변화를 불러 왔다. 그리고 안후이성 지역에서 중앙의 사전
허
락 없이 시도되었던 실험을 중앙이 허용하고 장려하는 국가에 대
한 관계와 정치 권력의 재분배가 있었는데, 이런 과정을 통해 관련
실험과 개혁이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한편 덩샤오
핑은 시장과 민영경제 도입을 놓고 사회주의를 버리
고 자본주의 노선을 채택한 것이 아니냐는 이데올로기 비판에 직면
하여, 사회주의의 본질은 가난과 낙 후된 생산성이 아니라 생산 능력
의 해방과 발전을 통해 부유해지는 것이라는 사상해방을 제시했다.
이러한 사상해방 외에도 국영기업의 이윤 상납을 세금 납부로 바꾸 는 개혁을 통해 기업
들의 적극적인 이윤
추구 활동을 활성화하고, 재산권의 모호
함을 이용한 다양한 집체기업이 등장함으로써 이들의생산활
동과 생산력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예를 들어 향진기업(鄕鎭企業
)과 같은 ‘붉은 모자를 쓴 기업’의 활동을 보장하고 장려함으 로써 생산력을 제고할 수 있었다. 이처럼 중국의 시장형성단계에서 누
진적 공진이 일어날 수 있었던 요인은 개혁 리더십의 사상해방과 지방의 개혁 실험이 결
합하였기 때문이다.가. 중국의 농업개혁
중국의 체제 전환은 다른 국가
들에 비해 더욱
점진적이고 제한적 이었다. 특히 중국공산당은 개혁을 추진할 수 있는 권력을 가지고 있었고, 중국의 초기 경제 조건은 1979년 1인당 GDP(Gross Domestic Product, 국내총생산)가 구소련의 1920년대 후반 1인당
GDP에 해당할 정도로 열악했다. 중국은 이렇게 열악한 경제구조로
인해 공업개혁이 아닌 농업개혁부 터 시작했다.
135)135) Andrew G. Walder, “China’s National Trajectory,” pp. 336~337.
(1) 개혁 이전 인민공사제도의 문제점
중국의 농업은 국민경제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중국은 농 업대국으로서 농업에 종사하는 인구도 많고 대
량의 잉여 노동력을 보
유하고 있다. 중국의 경제체제 개혁은 농촌에서 시작했으며 괄
목 할 만한 성과를 거뒀다.
136) 중화인민공화국 초기 독립적인 국민 경
제체제를 신속하게 건설하기 위
해 중공업 우선의 경제발전 전략을 펼 쳤
으며, 중공업 우선 발전전략은 저임금 체제를 기반
으로 하였다.노동자
들이 저임금
으로도 충분한 소비재를 살 수 있도록 국가가 농 산물에 대해 일괄 매입
및 일괄 판매 제도를 시행했다.이 단계에서 국가는 식량 공급을 보장하기 위해 인민공사제도를 도
입했다. 인민공사에서는 농
민들이 생산품목을 결정할 자유가 없 었다. 1958년부터 호
적제도를 재시행하여 농민의 이동에 대해 엄격
한 규정을 적용했다. 이 때문에 매입
및 판매, 인민공사, 호적제도는 중공업 우선 발전전략의 효과적인 실행을 보장 했지만, 농민의 인적
자본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했고 재산권 역시 상실했
다. 상술한 바를 종합하면, ‘일대이공(一大二公, 규모가 클
수록 공유제의 정도 가 높을수록 좋다)’인 인민공사의 형식은 노동 생산력의 잠재적인
발전 가능성을 제한하였다.
구체적으로 1958년 10월 전국적으로 인민
공사화되었고, ‘대대가
정산하는 것(大 队核算)’에서 ‘공사가 정 산하는 것(公 社核算)’으로 격
상되면서 이전까지의 제도적 기반이 무너졌다. 1962년 인민공사가확립한 ‘3급 소유제(인민 공사 생산수단
의 소유 형태)’를 실시하되,‘생산대를 기초로 한다(三级所有,队
为基础)’는 규
정은 당시까지 이어
져 온
농지재산권의 범위를 형성했다. 인민공
사 시절의 농지재산 권 제도는 농지 공유화의 심화에도 불구하고 기본적으로 ‘3급 소유136)刘铮, “改革开放30年中国农业贡献的经济学分析,” 뺷福建论坛뺸, 제2기 (2009), p. 37.
제를 실시하되, 생산대를 기초로 한다’는 방식을 유지하고 농민의 집
단 농
지소유권을 명확히 했기에, 농민이 인민공사 시절의 농지권 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데 유리했다.그러나 이 규정은 다음과 같은 제도적 결함을 내포하고 있다. 첫 째, 미리
설
정된 ‘농민집체성원권(农民集体成员 权)’이 농지 집 단소
유권의 주체를 모호하게 한다. 둘째, 농
지의 매매를 금지하고 농지처
분권과 분양권이 제한되어 농업생산성이 하락했다. 셋째, 농지집단
재산권이 일방적으로 도시 내 국유지로 이전되어 전국적으로 농 경지의 총량이 감소한다. 넷째, 국가가 공사와 대대를 통해 재배작 물
을 감독하고 생산대(生产队)가 결정할 여지가 적어 농
지사용권이 제한된다. 다섯
째, 농지에서 생산된 수익 분배 전에, 국가가 취득 및 배
분 업무를 마무리해야 하는데, 비교적 낮은 가격으로 수익의 대부 분을 가져감으로 써 농민의 농지소득
권이 제한된다. 즉, 농민의 농지 자원에 대한 사용권
‧수익
권‧분양권이 근본적으로 인정받지 못했다.모
든 농촌노동력이 공사 혹은 생산대에 의해 귀속
‧지휘
‧통합되었 다. 농민 개개인의 노동력에 대한 재산권 역시 인정받지 못했
다.경제적 강압, 특정 규모의 이익, 이데
올로기에서의 평등주의로,
인민공사제도는 중국의 ‘공업이 농업의 이익을 점유(工 占农利
)’하는 경제 전략을 실시하는 데
제도적 지원을 제공했으며, 일관성 있는 사회보장제도는 20여 년 동안 중국 농촌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게끔했
다. 중국 농업의 성장은 인구 증가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농업생산
조건의 개선은 같은 기간 다른 개발도상국과 비교해 봐도 현저한 모습
을 나타낸다. 가계 부업 운영과 같은 인민공사의 제도적 조치는새
로운 시대 농촌경제체제 개혁에 풍부한 경험을 제공했다.그러나 인민
공사 단계에서 농지재산권 제도의 경제적 효율성이
낮았다는 것은 이미 명백한 사실이다. 농
지재산권 제도의 효율성은주로 농업
생산
‧배
분 효율성을 통해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재산권
의 규정은 효과적인 경쟁체제와 경쟁질서의 창출에 불리했다. 재산 권제도의 보상‧할당‧보험기능은 제한되었고 농지는 낭
비될 수밖에없
었다. 농촌 내 모든 재산권의 명확한 책임‧권력‧이익 주체의 부 재로, 농업 생산력은 낮아졌다. 기회주의로써 도난
‧편승 현상이 만
연한 가운데, 구성원 개개인에 대한 노력의 정도와 이에 대한 평가
비용이 높아서, 인민공사제도하에서 일한 만큼의 임금
을 받지 못하 는 분배적 평균주의가 나 타
나고, 이는 노동효율의 저하로 이어져 결
국 농업생산의 정체로 이어진다.첸
졘보(陈剑波)는 인민공사 농지재산권제도의 실패 원인으로 다음
3가지를 제시했다.137) 첫째, 재산권의 약화(불완전한 재산권)로 잉
여계약에서 발생하는잉여소득
(보상)이 부족하다. 둘째, 생산대 대리인이 정부로부 터 권한을 위임받으면서, 지방(社区) 복지증
대의 요구도 함께 책임져야 했다. 그 렇기 때 문에 정부-농민의 결속강도
는 생산대 대리인에게 달려 있었다. 셋째, 재산권 결핍은 지나치게 높은 노동 감독비 용과 지나치게 낮은 노동 보
상(인센티브)으로 이어 졌
다.이러한 제도하에, 인민공사‧
생산대대
‧생산소대가 국가통일규정
에 따라 농민의 노동성과와 분배를 계산하는데, 이는 중국 농촌발전 의 현실과 동떨어질 뿐
만 아니라 농민의 요구와도 어긋난다. ‘진리 표준(真理 标准
)’은 마오쩌둥의 방침을 시종일관 따라야 한다는 화궈 펑
(华国锋)을 비판
하면서 나온 표현으로, ‘实践是检验真 理的唯 一标 准
(실천은 진리를 검증하는 유일한 기준이다)’에서 유래한다.138) 11 기 3중전회를 전후로 이 ‘진리표준
(真理标准)’에 대한 논의를 거쳐
137)陈剑波‧刘伟建‧吴安怀, “为什么乡镇企业能够创造竞争优势?” 뺷经济导刊뺸,제5기 (1996), pp. 33~37.
138)“实践是检验真理的唯一标准,” 뺷光明日报뺸, 1978.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