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The Analysis of “Local Commissariat Election” in Kaesong

Ⅵ. 나오며

시장화에 대해 북한정부는 근본적인 딜레마를 안고 있다. 경제의 숨통을 트기 위해서는 시장화를 촉진해야 할 필요성이 존재한다.29 반면 시장화가 진전되면 정 치적 부담이 증가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북한정부로서는 시장화를 촉진해야 할

28북한의 최근 지속적인 단속의 효과가 제한적이었던 이유는, 시장화의 역사가 20년 가까이 되었 다는 사실과도 결코 무관하지 않다.

29물론 경제의 회복, 나아가 재건을 위해서는 시장화만으로는 충분치 않다. 시장화는 제도적 요건 에 불과하기 때문에 물적, 재정적 요건도 충족되어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시장화는 경제 회복 및 재건의 필요충분조건이 아니라 필요조건이다.

필요성과 억제해야 할 필요성을 동시에 안고 있는 딜레마적 상황에 봉착해 있다.

결국 북한정부가 지향하는 것은 관리 가능한 시장화이다. 일정 수준까지의 시장 화는 용인 내지는 촉진하고, 일정 수준을 넘어서는 시장화는 억제하는 것이다. 그 기준은 시장화의 부작용에 대한 북한정부의 정치적 판단이다.

문제는 시장에 대한 국가의 관리가 가능할 것인가 하는 것이다. 시장화를 관리 가능한 범위 이내로 묶어둘 수 있는지 여부이다. 현재로서는 이것이 결코 쉬운 일 이 아닌 것으로 보인다. 2002년 이후 시장화 촉진기의 상황을 보면, 국가가 의도 한 부분도 있지만 국가의 의도를 넘어서는 수준으로 시장화가 확대되었음을 엿볼 수 있다. 특히 앞에서 보았듯이 북한에서 시장화에 대한 국가의 관리 가능성을 강 화시켜주는 요인도 존재하지만 반대로 국가의 관리 가능성을 약화시키는 요인도 결코 만만치 않다.

아울러 시장화에 대한 북한정부의 관리 의지도 고정불변의 것이 아니라 상황 에 따라 유동적인 것으로 보인다. 계획경제의 물적·기능적 토대는 이미 와해된지 오래다. 시장에 대한 국가의 의존도는 매우 높아져 시장 없이는 국가의 유지가 불가능할 정도이다. 시장화의 역사는 이미 20년을 넘어버려, 이제 시장화는 장기 화되고 있다고 보아야 한다. 2007년부터 시장에 대한 단속을 본격적, 대대적으로 펴고 있지만 엄밀히 따져 초지일관되게 지속되었던 것은 아니었다. 흐름으로 보 아서는 시장화 억제정책이 전개되었지만 세밀하게 보면 단속의 실시와 중단이 반복되었다.

시장화를 관리할 수 있는 수단에 눈을 돌려 보면 북한정부의 고민이 보다 명확 하게 읽혀진다. 물리적인 단속, 통제 이외에는 별다른 수단이 없다는 점이다. 더욱 이 이러한 물리적인 단속·통제는 일시적·부분적으로는 효과가 있을지도 몰라도, 근원적인 해결책이 되지는 못한다. 더욱이 시장화 촉진기의 정책 패키지와 시장화 억제기의 정책 패키지를 비교해 보면 시장화억제기의 정책 패키지가 매우 빈약함 을 알 수 있다. 계획경제의 공급능력 확충이 뒷받침되지 않는 한 시장화를 관리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정책수단을 발견할 수 없다는 것이 북한정부의 크나큰 고민 거리이다.

물론 정부가 마음먹기에 따라서는 시장화의 확산에 제동을 거는 것이 불가능하 지는 않다. 2007년부터의 시장단속이 이를 보여주고 있다. 그렇다고 해도 시장을 축소하는 것도, 게다가 완전히 근절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이 또한 2007년부터의 시장단속이, 특히 2009년 초와 2010년 초에 종합시장 폐쇄 방침을 내렸으나 주민 들의 반발로 시행이 연기되거나 보름만에 유야무야된 사실이 잘 보여주고 있다.

국가가 시장화를 관리하는 것이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아직은 관리 의지도 확고하 지 않고, 더욱이 관리 능력은 제한적30이라고 할 수 있다.31

■ۿսښێ■֮Ԑښێ■޽࢘ښێ

참고문헌

1.

단행본

임강택. 󰡔북한경제의 시장화 실태에 관한 연구󰡕. 서울: 통일연구원, 2009.

최봉대. “1990년대 말 이후 북한 비공식경제 활성화의 이행론적 함의.” 윤대규 엮음. 󰡔북 한 체제전환의 전개과정과 발전조건󰡕. 서울: 한울, 2008.

통일부·통일연구원. 󰡔북한의 경제개혁 동향󰡕. 2005.

2.

논문 및 기타

박형중. “2006년 이래 북한의 보수적 대내정책과 장성택.” 통일연구원 Online Series, 2008.12.

양문수. “북한에서의 시장의 형성과 발전: 생산물시장을 중심으로.” 󰡔비교경제연구󰡕. 제12권 제2호, 2005.

______. “북한의 시장화 수준에 관한 연구.” 󰡔현대북한연구󰡕. 9권 3호, 2006.

______. “북한 시장의 형성·발전과 행위자 분석.” 이석 외. 󰡔북한 계획경제의 변화와 시장

화󰡕. 서울: 통일연구원, 2009.

______. “시장 억제기 북한의 시장화: 실태와 함의(2007〜2009).” 서울대 2010년 통일학 기초연구 심포지엄 발표논문, 2010.2.

한기범. “북한 정책결정과정의 조직행태와 관료정치: 경제개혁 확대 및 후퇴를 중심으로 (2000〜2009).” 경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좋은벗들. 󰡔오늘의 북한소식󰡕

󰡔조선신보󰡕

30그렇다고 해서 북한에서 시장화가 무한대로 뻗어나가리라고 기대하기는 어렵다. 앞에서 보았듯 이 북한의 시장화는 여타 사회주의 국가들의 경험과는 달리 자원동원의 한계성이 있고, 생산력 증대를 수반하지 않으며, 잉여가 국가에 의해 과도하게 수탈되고 있다는 등의 이유로 인해 자기 운동성, 자기확대에 다소 한계를 가지고 있다.

31시장화에 대한 국가의 딜레마는 영원한 숙제이다. 시장화를 적극 촉진하기도 어렵고 마냥 억제 하기도 어렵다. 대내외 여건의 급격한 변화가 없는 한 국가는 당분간 시장화에 대해 어정쩡한 태도를 취할 공산이 크다. 단속·통제와 묵인을 반복할 가능성이 크다.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