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맺음말: 인식의 변화와 정책의 지속

후진타오시기 북중관계는 매우 다양하고 복잡한 양상 속에서 전개되고 있다.

여기에는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북한 핵문제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두 차례에 걸친 북한의 핵실험은 조금씩 변화의 움 직임을 보이던 북중관계를 양국관계 변화의 ‘임계점’ 부근까지 몰고 가는 요인으 로 작용하였다. 그러나 제2차 북핵위기 이후 고조되어 왔던 중국의 對북한 ‘인식 변화’는 결과적으로 의미 있는

‘정책의 변화’로까지 연결되지는 못했다.

중국은 북한 핵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북한이라는 전략적 자산을 잃어버리거나 또는 북 한의 붕괴라는 불확실한 상황을 감당하기보다는 북중관계를 안정적으로 관리하 는 가운데 국제적 영향력을 행사해 나가는 것이 국익에 훨씬 도움이 된다고 판단 한다.

중국은 한반도의 안정과 사태악화방지를 내세우면서 북한을 다독거리는 가운 데 대북영향력 유지에 매달리고 있다. 이와 같은 중국의 태도는 마치 한 발은 국 제사회의 대북제재 흐름에 담그고 다른 한 발은 궁지에 몰린 북한이 붙잡을 수

있도록 내주어야 한다는 곤혹스런 입장을 대변하는 것과 다를 바 없다. 중국은 어 떤 형태든 북한의 붕괴는 동아시아 정세안정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판단이며 만일 김정일이 물러난다 해도 후임자가 과연 핵을 포기할지에 대해서 의문을 지 니고 있다. 따라서 중국은 북한의 핵무장화 시도에 대해 강한 우려와 불쾌감을 느 끼지만 북핵문제를 외교와 대화로 풀어가는 것이 관련 각국에게 모두 유리하며 이외에는 별다른 선택과 대안이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은 앞으로도 표면적으로는 북한과 여전히 동지적 관계를 강조할 수밖에 없 을 것이다. 그리고 북한의 생존과 관련해서는 언제든 자국의 근본적 이익으로 간 주할 가능성이 높다. 비록 중국이 강대국을 지향하면서 점진적으로 북한보다는 국 제질서의 변화와 규범을 중시할 것이지만 여전히 중국으로서는 북한을 하나의 ‘전 략적 카드’로 간주할 수밖에 없다. 중국의 이러한 입장은 동북아정세와 국가이익 에 근거한 나름대로의 전략적 판단에 따른 것이다. 북한의 입장에서도 전통적 우 방인 중국의 지원은 체제생존을 위한 필수조건에 가깝다. 따라서 중국과 북한은 서로간의 혈맹내용과 성격이 실질적으로 변화하는 가운데서도 현실적 이해득실에 기초한 협력관계를 유지해 나갈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중국의 정책기조와 북핵문제 인식은 우리에게 어떠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일까? 전술한 바와 같이 중국은 자국의 이해관계에 대한 냉 철하고 전략적인 분석을 바탕으로 북핵문제를 다루어 가고 있다. 그 과정에서 대 미관계의 지렛대(leverage)를 확보하고 있으며 한반도에서의 영향력 강화를 추구 하고 있다. 비록 두 차례의 핵실험으로 인해 북한 핵문제의 해결이 더 큰 난관에 봉착한 것은 사실이지만 그럼에도 향후 중국의 역할은 지속적으로 중요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중국에 대한 이해와 접근을 전략·전술적 차원에서 보 다 구체화할 필요가 제기된다고 하겠다.

다시 말해서 중국의 대북정책기조와 목표 그리고 북핵문제 인식이 우리의 그것 과 일치되는 것이라면 응당 중국의 입장을 지지하고 연대를 모색하는 방식으로 북핵문제 해결을 시도해 나가야 할 것이다. 그러나 만일 중국의 입장과 우리의 그 것이 다르다면 중국의 북한에 대한 인식 변화를 더욱 추동하고 자극하는 방향으 로 정책의 주안점을 두어야만 할 것이다. 즉 중국이 한반도정세의 불안을 고조시 키는 북한에 대해 분노와 불쾌감을 삼키면서도 ‘전략적 자산론’과 ‘관성의 법칙’에 매몰되어 대북정책의 변화를 가져오지 못한다면 우리는 중국의 인식변화가 ‘임계

’을 돌파하여 의미 있는 정책변화로 연결될 수 있도록 추동할 필요가 있다는 것

이다

.

그러나 이에 앞서 먼저 선행되어야 할 것은 우리 스스로가 지향하는 남북관

계와 북핵문제의 최종상태(end state) 그리고 통일한국에 대한 보다 분명한 전략 적 목표를 확립하는 것이 되어야 할 것이다.

■ۿսښێ■֮Ԑښێ■޽࢘ښێ

참고문헌

1.

단행본

이종석. 󰡔북한-중국관계󰡕. 서울: 중심, 2001.

최수영. 󰡔북·중 경제관계 확대와 대응방안󰡕. 서울: 통일연구원, 2007.

최춘흠. 󰡔중국의 대북한 정책: 지속과 변화󰡕. 서울: 통일연구원, 2006.

Glaser, Bonnie. Scott Snyder, John S. Park. Keeping an Eye on an Unruly Neighbor. USIP and CSIS Joint Working Paper, January 3, 2008.

󰡔鄧小平文選󰡕. 第三卷. 北京: 人民出版社.

2.

논문 및 기타

김흥규. “전략적 경쟁에서 전략적 협력으로: 미·중관계변화와 한국에의 함의.” 󰡔중소연구󰡕. 33권 3호, 2009.

문흥호. “북한 핵문제에 대한 중국의 기본 인식과 정책기조.” 󰡔중소연구󰡕. 27권 3호, 2003.

______. “후진타오 집권기 중국의 대북한 인식과 정책.” 󰡔중소연구󰡕. 33권 2호, 2009.

박병광. “북한 핵문제에 대한 중국의 입장과 정책.” 󰡔동아연구󰡕. 46집, 2004.

______. “북한 급변사태와 중국.” 󰡔동아시아 브리프󰡕. 3권 4호, 2008.

______. “원자바오 총리 방북과 북중관계.” 󰡔국제문제󰡕. 2009년 11월호. 박창희. “북한 급변사태와 중국의 군사개입 전망.” 󰡔국가전략󰡕. 16권 1호, 2010.

신상진. “중국의 대북한 인식변화 연구: 북한전문가 심층 면담조사.” 󰡔통일정책연구󰡕. 17권 1호, 2008.

양운철. “중국의 대북한 경제협력 증가의 정치경제적 함의.” 󰡔정세와 정책󰡕. 2006년 5월호. 이동률. “중국의 대북한 영향력에 대한 실증연구.” 󰡔중국의 대내외 정치환경의 변화와 한

국의 대응전략󰡕. 서울: 전국경제인연합회, 2005.

______ “원자바오 총리 북한 방문과 북중관계.” 󰡔정세와 정책󰡕. 2009년 11월호. 전병곤. “중국의 북핵문제 인식과 중북관계의 변화.” 󰡔중국연구󰡕. 35집, 2006.

______. “북핵문제의 해결방향: 중국의 입장.” 2009년 한국국제정치학회 연례학술회의 발 표집 (2009.12.12.).

______. “왕자루이 방북을 계기로 본 북한과 중국의 당·정·군 관계.” Online Series, CO 09-19 (통일연구원).

하도형. “중국대외정책의 전환에 관한 연구: 조화세계(和諧世界)의 제기와 전략적 의도를 중심으로.” 󰡔동아연구󰡕. 제54집, 2008.

한석희. “중국의 부상과 책임대국론.” 󰡔국제정치논총󰡕. 44집 1호, 2004.

International Crisis Group. “China and North Korea: Comrades Forever?” Asia Report. No. 112, Feburary 1, 2006.

Xia Liping. “China: A Responsible Great Power.” Journal of Contemporary China.

Vol. 10, No. 26, 2001.

You Ji. “Understanding China’s North Korea Policy.” China Brief. Vol. 4, Issue. 5, March 4, 2004.

龔克瑜. “中國在朝核問題上的國家利益,作用和前膽性思考.” 󰡔國際觀察󰡕. 2008年 第5期.

葉自成. “中國實行大國外交勢在必行.” 󰡔世界經濟與政治󰡕. 2000年 1期.

邵峰. “金融危機對國際關係的影響及中國的應對.” 󰡔世界經濟與政治󰡕. 2008年 第12期.

沈驥如. “維護東北亞安全的當務之急: 制止朝核問題上的危險.” 󰡔世界經濟與政治󰡕. 2003年

9期.

王忠文. “從新的角度密切關注朝鮮問題與東北亞局勢.” 󰡔戰略與管理󰡕. 2004年 第4期.

袁鵬. “金融危機與美國經濟覇權: 歷史與政治的解讀.” 󰡔現代國際關係󰡕. 2009年 第5期.

唐世平·張蘊岭. “中國的地區戰略.” 󰡔世界經濟與政治󰡕. 2004年 第6期.

陳峰君. “21世紀朝鮮半島對中國的戰略意義.” 󰡔國際政治硏究󰡕. 2001年 第4期.

李英明. “朝鮮半島的地緣政治與中國安全.” 󰡔時政點評󰡕. 2006年 第3期.

于美華. “對話是解決朝核問題的最佳途徑.” 󰡔論壇通訊󰡕. 2003年 第1期.

時殷弘. “美國國家導彈防禦計劃與中國的對策.” 󰡔中國外交󰡕. 2002年 第7期.

張璉塊. “送走切尼, 迎來金正日: 判讀朝核問題走向.” 󰡔世界知識󰡕. 2004年 第2期.

朱建榮. “中國で 變化する朝鮮半島の戰略的位置.” 󰡔世界週報󰡕. 2003年.

Jin Linbo. “North Korea’s Nuclear Paradox.” <http://www.brookings.edu/opinions>

(검색일: 2009.6.3).

Promft, John. “As Talks Begin, China Views North Korea as Risk.” The Washington Post. August 27, 2003.

Asian Wall Street Journal.

󰡔人民日報󰡕.

󰡔연합뉴스󰡕.

Abstract

China’s North Korean Policy Keynotes and Percep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