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na’s North Korean Policy Keynotes and Perceptions on the Nuclear Issues during the Hu Jintao Era
Ⅱ. 반미의 개념과 반미주의에 대한 이론적 고찰
먼저 미국의 정책을 반대하는 것(opposition to U.S. policy)과 반미주의
(anti-Americanism)를 구분하려고 한다.
사람들의 미국에 대한 태도와 행동은아래 <표 1>과 같이 크게 다섯 가지 수준으로 나눌 수 있다. +1의 경우 미국의 구체적인 정책을 사안에 따라 비판하는 것으로서 반미주의라고 할 수 없다. 그 와 달리 국내정치적 고려에 의해 미국을 비판하는 -1의 경우, 그리고 이념적 차 원에서 미국을 총체적으로 반대하는 -2의 경우 반미주의에 해당한다. 전자를 정 치적 반미주의라고 한다면, 후자는 이념적 반미주의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 는 -1과 -2의 정치적, 이념적 반미주의를 중점적으로 분석한다. 다만 현실적으 로는 +1과 -1, -2가 분리되지 않고 혼합되어 나타날 뿐 아니라, +1의 경우에도 감정이나 정치적 선동, 혹은 동원이 개입될 경우 반미주의로 발전할 수 있기 때 문에, 반미(反美)와 비미(批美)의 기계적 구분은 불가능하다는 점을 미리 밝혀 둔다.
<표 1> 대미(對美) 태도와 행동의 다섯 가지 수준
수준 태도 행동
+2 거의 비판하지 않음 변함없는 지지
+1 건강한 회의주의 개별 정책 사안에 따라 비판
0 무관심 중립
-1 미국의 위선에 실망 국내정치적 고려에 의해 비판
-2 이념적 분노 총체적 반대
출처: Zachariah Paulo Messitte, “The Politics of anti-Americanism in France, Greece, and Italy,”
(Ph. D. Diss, New York University, 2004) 논문.
이 글에서는 한국 반미주의의 정치적·이념적 성격, 그리고 한국 반미주의의 보 편성과 특수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한국 반미주의를 세계 반미주의와 비교하는 방 법을 사용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세계 반미주의의 원인과 유형을 살펴보기
로 한다. 세계 반미주의의 원인을 설명하는 대표적 가설로는 다음의 세 가지를 들 수 있다
.
첫째, 세력 불균형(power imbalances), 둘째, 반세계화, 셋째, 정체성 충 돌이다.2 그러나 이 글에서는 세계 반미주의의 원인을 국제적 요인과 국내적 요 인으로 대별한다. 국제적 요인에는 ① 국제정치 구조, ② 미국의 군사력 사용, ③ 정체성 충돌이 포함된다. 국내적 요인에는 ④ 국내정치 리더십, ⑤ 언론과 대중문 화가 들어간다. 국제적 요인이 반미주의의 필요조건이라면 국내적 요인은 충분조 건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국제적으로 대미관계에서 반미주의의 요인이 발생하더 라도 국내의 정치와 언론, 문화가 반미감정을 동원하지 않으면 대규모 반미시위는 일어나기 어려운 것이다. 특히 국내정치는 한 나라의 반미주의의 강약을 좌우하는 독립변수로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첫째
,
국제정치 구조란 냉전 이후 미국이 세계의 유일한 초강대국으로 존재하는 단극적 세계질서로서, 이러한 국제질서 자체가 반미를 초래한다는 것이다. 여기에 는 세력불균형에 의한 반미뿐 아니라 냉전 종식에 따른 위협인식의 변화와 안보 규범의 수정이 초래하는 반미주의도 포함된다. 둘째, 미국의 군사력 사용이란 미 국의 대외군사개입을 말한다. 이라크 전쟁에서 보듯이 특히 미국의 일방주의적 군 사개입정책은 전 세계적 반미주의를 유발한다. 셋째, 정체성 충돌은 가치관 혹은 문화의 충돌로서 미국과 서유럽의 문화 차이, 기독교 근본주의와 이슬람 근본주의 의 충돌, 그리고 세계화와 반세계화의 대립을 포함한다.3넷째, 국내정치 리더십이 란 주로 정부의 태도와 행동을 말하는 것으로서, 정부가 미국관련 사안을 어떻게 다루느냐에 따라 반미주의가 강화 또는 약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섯째, 언론과 대중문화란 인터넷과 휴대폰, 신문방송, 영화를 비롯한 미디어 혹은 문화예술을 말하는 것으로서 대중의 대미태도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다음으로 세계 반미주의의 유형을 살펴보자 카첸스타인과 코헤인은 세계 반미 주의를 1차적으로 자유주의적(liberalist) 반미주의, 사회적(social) 반미주의, 주 권 민족주의형(sovereign-nationalist) 반미주의, 급진적(radical) 반미주의의 네 가지로 나누고, 2차적으로 엘리트 반미주의와 유산(legacy) 반미주의의 두 가지로
나눈다.4
<그림 1>에서 보듯이 1차 범주에서 반미주의를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누
2Peter J. Katzenstein and Robert O. Keohane (eds.), Anti-Americanisms in World Politics (Itacha, NY.; Cornell University, 2007), pp. 307-309.
3심양섭, “민주화 이후 한국 반미주의의 정치적·이념적 성격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8), pp. 22-23.
4Peter J. Katzenstein and Robert O. Keohane (eds.), Anti-Americanisms in World Politics, pp. 28-38.
는데, 그 기준은 각 주체(국가, 집단, 개인)가 자신을 미국(혹은 미국의 행동)과 동일시(identification)하는 정도이다.
<그림 1> 세계 반미주의의 유형
출처: Peter J. Katzenstein and Robert O. Keohane (eds.), Anti-Americanisms in World Politics (Itacha, NY.; Cornell University, 2007), p. 29의 표를 그림으로 수정.
자유주의적 반미주의는 미국이 이상주의와 보편주의의 수사(修辭)를 늘어놓으 면서도 실제는 일방주의적으로 혹은 이기적으로 행동하는 위선(僞善)을 비판하는 반미주의이다. 사회적 반미주의는 미국이 진정한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결여하고 있다고 비판하는 것을 말한다. 사형제도, 환경, 국제 기구와 제도를 둘러싼 이견도 사회적 반미주의의 원인이 된다
.
주권 민족주의형 반미주의는 미국이 정치력과 군 사력으로 다른 나라의 주권과 민족자결권을 자주 무시함으로써 발생하는 반미주 의라고 할 수 있다. 급진적 반미주의자들은 자신들이 미국, 그리고 미국식 가치관 을 반대한다는 것에서 정체성을 찾는 사람들이다. 예컨대 마르크스레닌주의나 이 슬람근본주의, 김일성·김정일의 주체사상과 같은 급진이념의 관점에서 미국을 비 판한다.5엘리트 반미주의는 그 나라의 엘리트가 미국을 오랫동안 경멸한 역사를 지닌 경우인데 프랑스가 그 전형적 사례이다. 유산(legacy) 반미주의는 역사적 반미주 의라고도 불린다. 역사적 반미주의는 미국이 과거에 범한 잘못에 대한 분노에서 유래하는데 멕시코가 그 전형적 사례이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 엘리트 반미주의와 역사적 반미주의는 그다지 해당하지 않는다고 보고, 이 글에서는 세계 반미주의의 유형을 ① 자유주의적 반미주의, ② 사회적 반미주의, ③ 급진적 반미주의, ④ 주 권 민족주의형 반미주의의 네 가지로 설정한다.
<그림 2> 한국 반미주의 정치적 성격 세계 반미주의
원인
한국 반미주의 정치적 성격 국제 정치 구조 동북아시아 공동체론
미국의 군사력
사용 반전 평화론
정체성 충돌
유럽식 복지모델 반자본주의
국내정치 리더십
언론과 대중문화
집권전략으로서의 반미 반대한민국으로의 지향성
문화투쟁과 좌파 헤게모니 구축
한국반미주의 이념적 성격
국 내 적 요 인 국 제 적 요 인
이제 이와 같은 세계 반미주의의 원인을 적용하여 한국 반미주의의 정치적 성 격을 도출하고, 세계 반미주의의 유형을 적용하여 한국 반미주의의 이념적 성격을 도출하려고 한다. 먼저 <그림 2>에서 보듯이 세계 반미주의의 국제적 요인 가운 데 국제정치 구조의 변화, 특히 냉전종식은 위협인식 변화와 안보규범 수정으로 연결되면서 ‘동북아시아 공동체론’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군사력 사용은 또한 한 국 반미주의자들의 반전평화론을 강화하였다. 동북아시아 공동체론과 반전평화론
5심양섭, “민주화 이후 한국 반미주의의 정치적·이념적 성격 연구,” pp. 27-33.
그 자체는 반미주의가 아니지만 거기에 정치적, 이념적 동기 혹은 세력이 개입될 경우 반미주의가 된다고 본다. 정체성 충돌은 미국 주도의 세계화에 반대하는 반 세계화로 나타났는데 이는 유럽식 복지모델 주장이나 반자본주의와도 관련되므로 한국 반미주의의 이념적 성격에서 다룬다. 국내정치 리더십과 관련해서는 첫째, 정치연합 혹은 집권전략으로서의 반미, 둘째, 반미에서 반대한민국으로의 지향성 을 다룬다. 반미의 두 번째 국내요인인 언론과 대중문화에 관해서는 한국 반미세 력이 치열하고도 끈질긴 문화투쟁을 통해 좌파 헤게모니를 구축하게 되었음을 서 술한다.
요컨대 한국 반미주의의 정치적 성격은 세계 반미주의의 원인과 관련하여 다섯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반미의 국제적 요인과 관련해서는 ① 동북아시아 공동체
론
, ②
반전평화론으로 정리할 수 있고, 반미의 국내요인과 관련해서는 ③ 정치연합 또는 집권전략으로서의 반미, ④ 반미에서 반대한민국으로의 지향성, ⑤ 문화 투쟁과 좌파 헤게모니 구축으로 정리할 수 있다.
<그림 3> 한국 반미주의의 이념적 성격
우파 민족주의
유럽식 복지모델
좌파 민족 패러다임과 통일지상주의
주사파식 자주 이데올로기
반자본주의 정체성 충돌
주권 민족주의형 반미주의 사회적 반미주의
급진적 반미주의 자유주의적
반미주의
세계 반미주의 원인 세계 반미주의 유형
세계 반미주의 유형
한국 반미주의 이념적 성격
다음으로는 세계 반미주의의 유형과 관련하여 한국 반미주의의 이념적 성격을 알아보자. <그림 3>에서 보듯이, 우선 주권 민족주의형 반미주의와 관련한 한국 반미주의의 이념적 성격으로는 우파 민족주의를 들 수 있다. 급진적 반미주의와
관련해서는 좌파 민족 패러다임과 통일지상주의, 주사파식 자주 이데올로기, 그리 고 반자본주의를 지적할 수 있다. 사회적 반미주의와 관련한 한국 반미주의의 이 념적 성격은 앞에서도 언급하였듯이 유럽식 복지모델 주장으로 나타난다. 그러니 까 한국 반미주의의 이념적 성격을 이념 스펙트럼 상에서 오른쪽에 있는 것부터 열거하면 ① 우파 민족주의 ② 유럽식 복지모델 ③ 좌파 민족 패러다임과 통일지 상주의 ④ 주사파식 자주 이데올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