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서 론
3. 내적 타당화
설계·개발연구의 모형 타당화 과정에서는 모형의 구성요소와 계열의 타 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설계 및 개발 전문가 대상의 설문조사와 면담이 이 루어진다(Richey & Klein, 2007). 선행문헌 검토를 통해 도출된 외국어 학 습에서 자기조절학습의 동기 요소를 지원하는 이러닝 설계전략의 구성요소 와 과정 등을 타당화하기 위해, 설계전략 및 설계전략을 적용한 교수학습 사례에 대한 전문가 검토를 실시하였다. 여기서 전자는 설계전략 자체의 이론적 타당도를, 후자는 타당화를 거친 설계전략이 실제 이러닝 프로토타 입에 적절히 반영되었는지의 여부를 검토한 것이다.
가. 설계전략에 대한 전문가 검토
선행문헌 검토 및 온라인 외국어 학습 프로그램 사례 조사결과를 통해 도출된 초기 설계전략에 대한 타당화를 위해 전문가 검토를 실시하였다.
검토 과정에 총 4명(교육공학 전문가 2명, 중국어 교육 전문가 2명)의 전문 가가 참여하였으며, 해당 분야의 박사학위를 소지하였거나 5년 이상의 실 무 경험이 있는 현업 전문가로 구성하였다. 특히 중국어 교육 분야의 경우, 현업 경력 10년 이상이거나 교육학 석사 학위를 소지하고 중국어 교재 편 찬 경험이 있는 전문가를 섭외하여 검토를 의뢰하였다. 설계전략의 타당화 검토에 참여한 전문가 프로필은 다음과 같다.
전문가 최종학력 소속/직위 경력 전문분야 기타
A 석사 S기업 출강 강사 5년 중국어
교육(회화)
중국어 교재 편찬 경험
B 학사 D기업
중국어사업본부 국장 12년 중국어 교육
중국어 수업 출강 중 C 박사 S대학교 객원연구원 13년 교육공학,
이러닝
D 박사 H대학교 초빙교수 9년
이러닝 지원시스템,
창의적 문제해결
영역 문항
설명력 온라인 외국어 학습에서 동기 중심의 자기조절학습에 필요한 요소와 과정을 잘 설명하고 있다.
타당성 온라인 외국어 학습에서 동기 중심의 자기조절학습을 지원하기 위해 참고할 수 있는 전략으로 타당하다.
유용성
온라인 외국어 학습에서 동기 중심의 자기조절학습을 위한 일반 설계전략과 상세 설계지침은 실제 온라인 외국어 수업을 진행하는 데 유용하다.
<표 Ⅲ-2> 설계전략 타당화 검토에 참여한 전문가 프로필
초기 설계전략에 대한 전문가 검토는 전문가 타당화 질문지를 통해 이루 어졌으며, 질문지 작성 전에 연구자가 연구의 목적 및 타당화의 취지, 설계 전략의 전반적인 내용에 대해 설명하였다. 설계전략에 대한 타당화 질문은 나일주, 정현미(2001)와 박태정(2015) 등 다수의 개발연구에서 사용한 평가 문항을 본 연구 주제에 맞게 변형하여 활용하였는데, 즉 설계전략 전반의 설명력과 타당성, 유연성, 보편성, 이해도를 평가한 후에 개별 설계전략 및 상세 지침에 대한 타당도를 4점 척도에 의거 평가하도록 한 것이다([부록 1] 참조). 설계전략 전반에 대한 평가 문항은 아래 <표 Ⅲ-3>과 같다.
<표 Ⅲ-3> 설계전략 전반에 대한 전문가 질문지 평가 문항
보편성 외국어 학습에서 동기 중심의 자기조절학습을 위한 이러닝 설계전략은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해도 외국어 학습에서 동기 중심의 자기조절학습을 위한 이러닝 설계전략은 이해하기 쉽게 제시되었다.
개별 설계전략 및 상세 지침에 대한 전문가 응답결과는 내용 타당도 지 수(Content validity index, CVI)와 평가자간 일치도 지수(Inter-rater agreement, IRA)로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CVI는 해당 항목에 대해 긍정적 평가를 한 평가자의 수를 전체 평가자 수로 나누는 값으로서 항목 자체의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는 방법이며, IRA는 평가가들 간에 평가가 일치하는 항목수를 전체 항목수로 나눈 값으로 전문가 평가의 신뢰도를 나타낸다 (Rubio, Berg-Weger, Tebb, Lee, & Rauch, 2003). CVI과 IRA는 각각 .8 을 넘으면 내용 타당도 및 전문가 평가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Davis, 1992; Grant & Davis, 1997).
상기의 방법으로 분석한 설계전략 및 상세 지침에 대한 전문가 검토결과 를 바탕으로 전문가 평가점수가 낮은 항목들을 수정 및 보완하였으며, 점 수를 낮게 평가한 항목에 대해서는 전문가에게 추가 질문을 통해 개선 방 향을 탐색하였다. 또한 설계전략 전반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설 계전략의 수정에 반영한 결과, 7가지 일반 설계전략과 17가지 상세 지침을 도출하였다.
나. 설계전략이 적용된 이러닝 프로토타입 개발
외국어 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의 동기 요소를 지원하는 이러닝 설계전략 을 적용할 이러닝 프로그램으로는 ‘중국어 회화 입문’을 선정하였다. 중국 어를 학습내용으로 선택한 이유는 영어에 비해 중국어 학습 관련 연구가 많이 이뤄지지 못해왔으며(이승희, 이정희, 2007; 이정희, 이승희, 김진우,
2004), 중국의 경제 성장과 대외적 위상이 높아짐에 따라 중국어 학습에 대한 필요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김은희, 2010). 이에 따라 본 연구에 서는 중국어를 처음 접하거나 입문 단계에 있는 중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2차시로 구성된 ‘중국어 회화 맛보기’ 강좌를 이러닝 프로토타입 형태로 개 발하였다.
이러닝 프로토타입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나일주와 정현미(2001)의 웹 기 반 가상강좌 설계 절차(WBI ID Process)를 참고하여 1) 분석, 2) 교수 설 계, 3) 스토리보드 제작 세 단계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설계 활동을 수행하 였다.
첫째, 분석 단계에서는 학습자의 수준과 이러닝 프로토타입 개발에 대한 가용 자원 및 기술을 분석하였다. 본 이러닝 프로토타입은 중국어 입문자 를 대상으로 하므로 한자나 중국어 발음, 문법 등에 대한 사전지식이 없는 수준으로 간주하였고, 따라서 가급적 한자를 사용하지 않는 기초적인 중국 어 회화 내용으로 수업을 구성하였다. 또 이러닝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별 도의 예산을 할애하기 어려운 한계로 인해 시중에 무료 호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러닝 플랫폼을 활용하기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검토 대상 플랫 폼으로는 무들(Moodle), 톡식스(TOC6), 유데미(Udemy), 블랙보드 (Blackboard)사의 코스사이트(CourseSites), 스쿨로지(Schoology)를 선정하 였는데, 이들 플랫폼은 누구나 무료로 강좌 개설이 가능하며 기존 학습관 리시스템(LMS)의 기본 기능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해당 플랫폼의 유 형 및 기능, 장단점에 대한 설명은 아래 <표 Ⅲ-4>와 같으며, 플랫폼에 대 한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 지원을 위한 다양한 기능(학습일정 관리, 상세한 평가 및 피드백, 이메일 발송, 이수증 발급 등) 을 폭넓게 제공하고, 강좌 외관 및 구성에 대한 적응적인 설정이 가능한 코스사이트(CourseSites) 플랫폼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마지막 으로 학습 주제와 관련된 강의 동영상과 교재, 보충 학습자료 등에 대한 수집과 학습 내용에 대한 분석을 해당 단계에서 시작하였다.
구분 유형 제공 기능 장점 단점 무들
(Moodle)
오픈소스 LMS
공지사항, 과제, 퀴즈, 설문, 토론,
채팅 등
다양한 교수-학습 지원
기능
국내 무료 버전의 경우 구조가 번잡하고 기능이 최적화되지 않음 톡식스
(TOC6)
강의 콘텐츠 플랫폼
콘텐츠 등록, 퀴즈
단순한 인터페이스, 기본 강의 기능
퀴즈 외 학습활동 기능 지원 불가 유데미
(Udemy)
MOOC 플랫폼
콘텐츠 등록, 퀴즈, 코딩 연습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퀴즈 외 학습활동 기능 지원 불가
코스사이 트 (Course-
Sites)
무료 LMS
학습 분석, 시험, 과제, 채점 및
피드백, 일정 관리, 성적 확인,
토론, 설문조사, 이메일/메시지, 콘텐츠 등록, 이수증/배지 등
폭넓은 교수-학습 지원
기능, 자유로운 강좌 디자인 및
메뉴 구성, 강력한 평가
및 의사소통 기능
인터페이스가 다소 복잡하고
번거로움, 한글 서비스 지원
불가
스쿨 로지 (School-
ogy)
무료 LMS
과제, 시험, 토론, 콘텐츠 등록, 채점 및 피드백, 성적 확인, 배지, 출결 확인, 학습
분석 등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SNS 방식),
다양한 교수-학습 지원
기능
자율적 강좌 디자인 및 메뉴
구성 불가, 일부 기능 미제공
(일정 관리, 평가 루브릭 등), 한글 서비스 지원 불가
<표 Ⅲ-4> 검토 대상 플랫폼의 특징 및 기능
둘째, 분석 단계에서 확인한 학습자 수준과 이러닝 플랫폼 환경을 바탕 으로 이러닝 프로토타입에 대한 교수 설계를 실시하였다. 학습목표, 내용요 소, 상호작용, 강좌 인터페이스, 네비게이션, 평가 등 요소를 포함한 과정흐 름도를 이러닝 교수학습 과정안의 형태로 구성하였다([부록 2] 참조). 이 과정에서 학습 주제 관련 자료 수집과 내용 분석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으 며, 앞서 전문가 검토를 통해 도출된 설계전략을 각각의 교수-학습 활동에 반영하였다. 동시에 코스사이트 플랫폼의 환경 특성에 따라 구현 가능한 강좌 스타일 및 내용 제시방식 등을 전반적으로 설계하였다.
셋째, 앞서 개발된 이러닝 교수학습 과정안을 바탕으로 실제 플랫폼 상 에서 강좌를 구성하고, 구현된 화면과 기능들을 시각화한 스토리보드를 설 계하였다([부록 3] 참조). 스토리보드에서는 교수학습 과정안에서 설계된 내용요소와 상호작용 등을 학습기능별로 제시하였고, 이를 실제 플랫폼 상 에서 구현함으로써 이러닝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그림 Ⅲ-3] 참조). 해 당 프로토타입은 이러닝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기능을 통해 높은 수 준의 그래픽 디자인과 기능, 상호작용성, 실제 이러닝 프로그램에 가까운 시뮬레이션이 구현되었으므로 높은 충실도(fidelity)를 갖춘 것으로 볼 수 있다(Engelberg & Seffah, 2002; Walker, Takayama, & Landay, 2002).
[그림 Ⅲ-3] 이러닝 스토리보드(좌) 및 프로토타입(우) 화면 예시
상기에서 설명한 이러닝 프로토타입 개발을 위해 수행한 단계별 활동 및 요소를 시각화하면 [그림 Ⅲ-4]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