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설계전략이 적용된 이러닝 프로토타입 개발

Dalam dokumen 비영리-변경금지 2.0 - S-Space (Halaman 94-112)

I. 서 론

2. 설계전략이 적용된 이러닝 프로토타입 개발

앞서 전문가 검토를 통해 수정된 외국어 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의 동기 요소를 지원하는 이러닝 설계전략을 적용하여 이러닝 프로토타입을 개발하 였다. 이러닝 과목명은 ‘중국어 회화 맛보기’로서, 중국어 입문 혹은 초급 수준에 있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2차시 분량의 회화 입문 강좌를 구성하 였다. 본 연구에서는 별도의 웹사이트를 개발하지 않고 무료 호스팅 서비 스를 제공하는 시중 이러닝 플랫폼을 분석한 결과, 자기조절학습 지원을 위한 폭넓은 기능을 제공하고 강좌 외관 및 구성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블랙보드 코스사이트(CourseSites) 플랫폼을 사용하기로 하였다.

이어서 학습 내용과 이러닝 플랫폼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중국어 회 화 맛보기’ 강좌의 학습목표와 내용요소, 상호작용, 인터페이스 등을 이러 닝 교수학습 과정안을 설계하고([부록 2] 참조), 이를 실제 플랫폼 상에서 구현하고 주요 기능과 상호작용들을 시각화한 스토리보드를 제작하였다 ([부록 3] 참조). 상기의 과정을 통해 플랫폼 상에서 최종 구현된 이러닝 프로토타입을 제시하면 아래와 같다.

가. 이러닝 프로토타입

외국어 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의 동기요소를 지원하는 이러닝 설계전략 을 적용하기 위해 공지사항, 학습 일정표, 강의 및 연습, 보충 학습자료, 자 유 게시판, 점수 확인 등 메뉴를 구성하였다. ‘공지사항’에서는 수업 내용과 학습자의 활동에 대한 전반적인 안내사항을 전달하였으며, ‘학습 일정표’에 는 공지사항에서 안내한 수업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강의 일정과 학습자 의 개인 일정을 조회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강의 및 연습’ 메뉴에 서는 중국어 회화에 대한 강의 동영상과 퀴즈 등의 학습활동을 구성하였으 며, ‘보충 학습자료’에는 학습자의 자율적인 보충학습을 위해 동영상 학습

내용과 관련된 추가적인 학습 콘텐츠를 공유하였다. 또한 ‘자유 게시판’에 서는 학습자와 교수자, 학습자와 학습자 간의 친밀감과 상호작용을 촉진하 기 위해 ‘자기소개’ 및 ‘질의응답’ 등의 하위 메뉴를 구성하였으며, 마지막 으로 ‘점수 확인’ 메뉴를 통해 학습자가 자신의 퀴즈 및 과제 점수를 확인 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위의 메뉴들로 구성된 강의실의 전체 구성 화면 은 아래 [그림 Ⅳ-1]과 같다.

[그림 Ⅳ-1] 강의실 전체 구성 화면

위 메뉴를 바탕으로 구현된 이러닝 프로토타입을 외국어 학습에서 자기 조절학습의 동기요소를 지원하는 이러닝 설계전략의 요소에 따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목표 지향성

목표 지향성은 학습동기의 가장 중요한 속성으로서 ‘학습자가 학습활동 에 참여함으로써 얻고자 하는 성과나 학습활동에 참여하는 이유’로 정의할 수 있다(송인섭, 박성윤, 2000). 본 이러닝 프로그램에서는 학습자가 자신의 외국어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지속적으로 목표를 달성해갈 수 있도록 세

가지 설계전략을 구현하였다.

첫째, 본격적인 학습을 시작하기 전에 먼저 외국어 학습의 목표를 생각 해보고 설정하도록 한다. 자유 게시판 메뉴 중 ‘자기소개 및 학습 목표 공 유’ 게시판을 개설하여 학습자가 학습 전에 중국의 부상과 영향에 대한 동 영상을 보고, 자신의 중국어 학습 목표를 설정하여 간단한 자기소개와 함 께 공유하도록 안내한다([그림 Ⅳ-2] 참고).

[그림 Ⅳ-2] 자기소개 및 학습 목표 공유 게시판 화면(상세 지침 1.1)

둘째, 목표 달성을 위한 학습 계획을 수립하고, 적절한 학습 환경을 마련 할 수 있도록 자료와 도구 등을 제공한다. 우선, 공지사항을 통해 전반적인 학습 내용 및 활동, 활동별 소요 시간, 점수 배점 등 정보를 안내하고, 이 수 기준을 충족할 시 수료증이 발급되는 점을 강조함으로써 성취를 위한 동기를 유발한다([그림 Ⅳ-3] 참고). 특히 학습개요와 점수 배점을 시각화 하여 제시함으로써 학습자들이 쉽게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새로 운 이러닝 플랫폼을 보다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플랫폼 사용 매뉴얼 을 제작하여 제공한다([그림 Ⅳ-4] 참고).

[그림 Ⅳ-3] 공지사항의 강의 안내 화면(상세 지침 2.1)

[그림 Ⅳ-4] 공지사항의 이러닝 플랫폼 사용법 안내 화면(상세 지침 2.2)

동시에 공지사항에서 제시된 수업 정보와 학습 개요를 바탕으로 학습자 가 개인적인 학습 계획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학습 일정표를 제공한다([그림

Ⅳ-5] 참고). 학습자는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캘린더 기능을 통해 수업의 공 식 일정을 확인하고 개인 일정을 설정할 수 있으며, 학습 목표 달성을 위

한 시간과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시간 사용은 자기조절학습 중 자원관리 전략의 일부이자 자기관리전략의 일부로서 학습 성과에 높은 영향력을 가 지므로(Britton & Tesser, 1991; Pintrich & De Groot, 1990; Zimmerman

& Martinez-Pons, 1986), 학습 일정표를 사용하여 학습 계획을 설정하는 것은 학습자의 시간 사용과 학업성취에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그림 Ⅳ-5] 학습 일정표 화면(상세 지침 2.1)

셋째,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 상황을 점검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지원함 으로써 학습 동기를 촉진한다. 1차시 학습 종료 직후 학습자가 자신의 학 습활동 수행여부를 점검할 수 있도록 체크리스트가 제공된다. 체크리스트 에서는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목표를 설정하고 공유하였는지, 학습목표를 완성하기 위해 학습 계획을 설정하였는지, 동영상 강의를 모두 학습하고 연습하였는지, 퀴즈를 통해 자신의 학습 수준을 점검하였는지 여부를 질문 하며, 학습자가 이에 응답함으로써 자신의 학습 활동을 점검하고 자신의 진행상황에 따라 이후 학습계획을 조정하도록 안내한다. 체크리스트 문항 과 응답별 피드백에 대한 사례화면은 아래 [그림 Ⅳ-6]와 같다.

[그림 Ⅳ-6] 체크리스트 문항 및 피드백 화면(상세 지침 3.2, 3.3)

또 학습 과정 중에 수시로 자신의 학습 진행 상황을 확인하고 학습 목표 를 상기하여 학습 동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개별 피드백 메시지 및 점수 확인 게시판 등을 제공한다. 먼저, 학습기간 중간 시점에 학습자 각각의 학 습 진행상황 및 수준에 따라 적응적인 피드백을 발송한다([그림 Ⅳ-7] 참 고). 수업에 성실히 참여하는 학습자에게는 퀴즈 및 체크리스트를 통해 확 인된 강점을 언급하며 격려하고, 학습자가 설정한 목표를 상기시키며 보다 적극적인 학습 참여를 격려한다. 반대로, 학습에 소극적인 학습자에게는 학 습 참여를 격려하고 학습에 대한 부담을 최소화시키는 메시지를 발송한다.

그 외에 학습자는 점수 확인 게시판을 통해 자신의 학업성취 수준을 점검 하고, 목표 달성을 위해 추가적으로 들여야 할 노력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본 연구의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점수 확인 게시판에서는 학습자가 평가 항목별로 취득한 점수가 [그림 Ⅳ-8]과 같이 제시되며, 이를 통해 학 습자는 자신의 학습 상황을 확인하고 이에 따른 조치를 자율적으로 취할 수 있다.

[그림 Ⅳ-7] 학습자에 대한 개별 피드백 메시지 화면(상세 지침 3.1)

[그림 Ⅳ-8] 점수 확인 게시판 화면(상세 지침 3.2)

마지막으로,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 진행 상황을 점검한 뒤 개인의 필요 에 따라 자율적인 추가 학습을 진행할 수 있도록 보충 학습 자료를 제공한 다([그림 Ⅳ-9] 참고). 자기조절학습에서는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 상황을 점검하여 이후 학습 활동을 자율적으로 조정하고 학습을 진행해가는 것이 중요하다(Hofer, Yu & Pintrich, 1998). 또 온라인 외국어 학습 관련 선행 연구에 따르면, 자료실을 통해 학습에 필요한 추가 자료를 공유하는 것이 언어학습 및 지식 커뮤니티의 구성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이승

희, 이정희, 2007; 이정화, 김주혜, 조수근, 2010).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 충 학습 자료실을 통해 1, 2차시 내용과 관련된 별도의 기초 및 심화 학습 자료를 추가 제공하였다.

[그림 Ⅳ-9] 보충 학습 자료실 화면(상세 지침 3.3)

2) 자기 효능감

자기 효능감은 학습 과제를 수행하는 능력에 대한 학습자의 믿음을 의미 하며, 자신의 능력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동반된다(Hofer, Yu & Pintrich, 1998). 선행 연구에 의하면 자기 효능감이 높은 학습자는 학습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오랜 시간을 투자하며, 어려움을 경험할 때 보다 긍정적 인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Zimmerman, 2000).

학습자의 자기 효능감을 강화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차원의 전략을 적용하였다. 첫째, 학습자가 자신의 외국어 능력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평가와 피드백 등을 지원한다. 둘째, 외국어 학습 중에 학습자의

긍정적 정서를 지원하기 위해 학습자의 강점을 상기시키고, 긍정적인 자기 대화와 학습 분위기, 질문 등을 유도하며, 성공적인 수행에 대한 보상을 제 공한다.

우선, 첫 번째 전략을 적용하여 학습자가 학습 내용을 얼마나 잘 습득했 는지 스스로 파악할 수 있도록 동영상 학습 후 중간 점검 퀴즈를 제시한 다. 퀴즈는 동영상 내용 중 특정 발음에 대한 질문으로서 음성 파일 형태 로 제공되어 학습자가 청취 후 선택형 문항에 답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으 며, 답변의 정확 여부 및 정답과 오답에 대한 차별화된 피드백을 자동적으 로 제시하도록 설정하였다. 예컨대, 오답 입력 시 해당 내용에 대한 복습과 질의응답 게시판에 질문하도록 권장하는 피드백 메시지를 제공하여 추가 학습과 질문을 유도하였다([그림 Ⅳ-10] 참고).

[그림 Ⅳ-10] 중간 점검 퀴즈 및 피드백 화면(상세 지침 4.1, 5.4)

2차시 종료 후 주어지는 도전 과제 역시 학습자의 현재 수준을 파악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 제시된다. 학습자가 과제를 작성하여 제출하면 교수자 는 사전에 설정한 평가 루브릭에 의거하여 채점하고, 세부적인 발음과 성 조, 뉘앙스 등에 대한 구체적인 피드백을 [그림 Ⅳ-11]과 같이 제공한다.

또 과제 내용에 대한 표준 발음을 피드백 메시지과 함께 제공함으로써 학 습자에게 개별화된 지도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피드백은 신속하고 구

Dalam dokumen 비영리-변경금지 2.0 - S-Space (Halaman 94-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