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설계전략의 효과

Dalam dokumen 비영리-변경금지 2.0 - S-Space (Halaman 137-140)

I. 서 론

1. 설계전략의 효과

본 연구에서는 외국어 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의 동기 요소를 지원하는 이러닝 설계전략을 탐색하고, 이를 적용한 이러닝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여 실제 학습자들로 하여금 프로토타입을 활용하여 학습을 진행하도록 하였 다. 학습자 반응 평가를 통해 확인한 설계전략의 적용 가능성과 설계전략 이 학습자에 미치는 주요 효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웹 기반 외국어 학습에서 교수자의 신속하고 친밀한 피드백은 학 습자의 인지적 언어 학습을 촉진함은 물론, 학습 동기를 강화하고 심리적 고립감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을 극복하게 하는 데 효과적이었음을 설문조 사와 심층 면담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외국어 학습에서 학습자가 주도 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자기조절학습 상황에서도, 학습자의 수준과 진도 등 에 대한 전문적인 지침과 안내가 부족하면 효과적인 학습이 이뤄지기 힘들 다. 따라서 학습자의 수준과 상황, 학습 전략 등에 대해 교수자 혹은 시스 템 차원에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은 외국어 학습에서 불가결한 요소라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외국어 학습 영역에서 이루어진 피드백에 관한 연구는 주로 새 로운 언어의 습득을 촉진하거나, 오류에 대한 교정을 제공하는 등 인지적 차원에서 피드백의 효과를 보고한 바 있다(Cardelle & Corno, 1981;

Kepner, 1991; Mackey, 2006; Nagata & Swisher, 1995; Paulus, 1999). 그 러나 교수자의 피드백이 학습자의 동기에 비치는 효과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가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교수자가 학습자의 학습 상황과 수준 등에 대해 개별화되고 친밀감 있는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자의 동기와 정 서에 긍정적인 영향이 나타난 결과를 보고하였다. 이와 같이 적절한 피드 백은 성장에 대한 학습자의 요구를 만족시키며, 언어 학습에 대한 불안감

을 최소화함으로써 긍정적인 언어 학습 환경을 조성하는 데 효과적이다 (Oxford & Shearin, 1994). 또한 피드백은 웹 기반 학습에서 다양한 상호 작용을 통해 제공될 수 있으며,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인 학습을 안내하고 촉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강신천, 2000), 본 연구의 이러닝 설계전략 에서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둘째, 대상 언어의 활용이 요구되는 구체적인 상황이 대중문화 자료를 통해 제시될 때 언어 학습에 대한 동기가 증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 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중국 영화 장면을 통해 학습한 내용을 적용해보는 학습활동에서 학습자들의 흥미가 유발되었으며, 중국어 학습에 대한 동기 가 강화되었음을 설문조사와 심층 면담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는 언어 능 력이 요구되는 실제 상황(여행, 쇼핑, 문제 해결하기 등)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자의 동기 혹은 욕구를 자극할 수 있다는 선행연구와 일치한다(Csizér

& Dörnyei, 2005; Gardner & Lambert, 1972; Kim, 2004; Oxford &

Shearin, 1994). 즉, 학습자는 외국어 구사능력에 대한 실질적 혜택을 인식 하게 될 때 가장 강한 동기 부여를 받게 된다는 유용성(instrumentality) 원리를 뒷받침하는 결과라 볼 수 있다(Dörnyei, 1990). 또한, 대상 언어를 활용하는 매체 자료(영화, 드라마, TV 프로그램, 음악, 잡지 등)를 통해 해 당 언어권 문화에 대한 관심을 유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사회 및 문화에 대한 간접적 접촉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에서 활용한 영화 자료는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해석된다(Csizér & Dörnyei, 2005).

셋째, 적절한 평가를 통해 학습자 스스로 부족한 부분을 파악하도록 하 고, 이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학습 내용과 관련된 보충 학습 자료를 제공하 는 것은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자기조절학습의 핵심인 메 타인지를 활용하는 전략으로, 학습 중에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 상황을 시 험하고 수정하는 ‘점검 활동’에 해당되는 과정이다(Brown, Bransford, Ferrara, & Campione, 1982; Livingston, 2003). 본 연구에서 해당 전략은 학습자의 메타인지적 학습활동을 촉진했을 뿐만 아니라, 학습자가 퀴즈에

서 틀렸던 내용에 대한 궁금증을 자극하여 학습 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되었다. 따라서 외국어 학습에서 학습자의 초인지 조절과 동기 조절을 동시에 지원하는 전략으로 적절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설계전략이 적용된 이러닝 프로토타입에 대한 학습자 반응을 통해 이러닝 플랫폼의 인터페이스와 편이성, 가시성 등이 학습과정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닝 프로토타입의 화면과 구성에 대한 학습자 만족도가 낮고, 플랫폼의 기능과 인터페이스가 불편하다는 의 견이 여러 차례 언급된 바 있어 플랫폼 자체의 편이성과 매력도를 높일 필 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 활용한 블랙보드 플랫폼의 경우, 폭넓은 학습도구와 기능을 제공하는 반면 인터페이스가 다소 복잡하 고 사용법이 어렵다는 단점이 지적된 바 있어(Bradford, Porciello, Balkon,

& Backus, 2007; Tella, 2011) 보다 시각적으로 매력적이고 직관적인 구성 과 효율적인 동선 등이 고려된 학습 환경이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Dalam dokumen 비영리-변경금지 2.0 - S-Space (Halaman 137-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