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외적 타당화

Dalam dokumen 비영리-변경금지 2.0 - S-Space (Halaman 71-75)

I. 서 론

4. 외적 타당화

외국어 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의 동기 요소를 지원하는 설계전략을 적용 한 이러닝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을 확인하기 위해 외적 타당화를 실시하였다. 외적 타당화는 설계 및 개발모형에 따른 산출물의 효과성과 흥미성 등을 확인하는 과정으로서, 해당 모형의 사용이 학습자와 의뢰인, 조직 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진다(Richey & Klein, 2007).

또 외적 타당화를 통해 파악한 학습자 반응 및 의견을 분석하고, 이를 반 영하여 설계전략 및 상세 지침에 대한 추가 수정 및 보완을 진행하였다.

가. 학습자 모집

타당화 과정에 참여한 학습자는 7명의 일반 성인학습자로서, 본 연구의 학습내용에 관심이 있고 온라인 학습 경험이 있는 20~40대 성인을 편의 표 집하였다. 참여 학습자의 정보는 <표 Ⅲ-6>와 같다.

성인학습자는 아동이나 청소년에 비해 교육에 대한 기회나 책임이 적으 며, 이러한 성인학습자의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참여를 위해 학습 동기의 유발과 유지 등이 매우 중요하다(한상훈, 2007). 또 평생학습 사회와 지식 기반사회의 강조에 따라 성인학습자의 스스로 학습하는 능력이 점차 중요 해지고 있으며(김동위, 1996; 한상훈, 2010), 자발적으로 자신의 학습 목표 및 계획을 세우고 학습을 진행해나가는 자기주도적 학습이 필수적이다. 따 라서 본 연구에서 도출된 설계전략이 실제 학습자들의 자기조절학습에 미 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자기주도 학습에 대한 요구가 높은 성인 학습 자를 평가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구분 연령 학력 전공 직업 중국어 학습 경험

이러닝 경험 유무

A 20~29세 대졸 인문사회 회사원 2~6개월 1시간 미만

B 20~29세 대졸 인문사회 회사원 1달 미만 1시간 미만

C 40~49세 대졸 자연 회사원 1달 미만 1시간 미만

D 20~29세 대졸 인문사회 회사원 1달 미만 1시간 미만

E 20~29세 대졸 인문사회 대학원생 2~6개월 1~3시간

F 30~39세 대학원

이상 인문사회 대학원생 1달 미만 1시간 미만 G 30~39세 대졸 인문사회 대학원생 1달 미만 1~3시간

<표 Ⅲ-6> 참여 학습자 프로필

나. 평가 도구

이러닝 프로토타입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을 평가하기 위해 설문조사 형 태의 선택형 문항 20개와 심층 면담을 위한 개방형 문항 7개로 구성된 학 습자 반응 평가지를 개발하였다([부록 5] 참조).

선택형 문항은 이러닝 프로토타입 전반에 대한 질문 6개와 프로토타입의 개별 요소(공지사항, 학습 일정표, 동영상 학습, 중간 점검 퀴즈 및 피드백 등)에 대한 질문 14개로 구성하였으며, 4점 척도의 질문지 형태로 개발하 여 학습자에게 배포하였다. 선택형 문항을 통해 이러닝 프로토타입 전반의 효과와 개별 요소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을 확인한 후, 개방형 문항을 사용 하여 앞에서 충분히 다루지 못한 의견을 심층 면담을 통해 수렴하였다. 개 방형 문항은 과거의 이러닝 학습 경험과 본 이러닝 프로그램과의 차이, 이 러닝 학습 중 학습동기에 영향을 미친 요소, 본 이러닝 프로그램의 장점과 문제점, 개선점 그리고 선택형 문항의 각 요소에 대한 구체적 의견을 묻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닝 프로토타입 전반과 개별 요소들이 학습 자의 중국어 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설문조사 내용과 연계하여 상호 보완적으로 검토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다. 평가 절차 및 자료 분석

학습자들이 이러닝 프로토타입을 활용하여 학습을 마친 뒤 설문조사와 심층 면담을 통해 학습자의 반응을 확인하였다. 평가에 들어가기 전에 먼 저 연구의 취지와 평가의 목적에 대해 설명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이러닝 프로토타입 전반과 개별 요소를 평가한 후에 면담을 통해 보다 심층적인 의견과 반응을 제시하도록 하였다. 심층 면담은 평가 도구에 포함된 개방 형 문항 7개에 대한 질문과 응답으로 이루어졌으며, 학습자의 응답에 따라 적응적으로 추가 질문을 던지는 반구조화된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또 학습 자의 개별 상황에 따라 1~3인 단위로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면담 규모에 따 라 소요시간에 차이가 있었지만 평균 1시간 내외로 면담이 이루어졌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양적 자료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분석 하였다. 또 심층 면담을 통한 질적 자료의 경우, Creswell(2012)이 제시한 질적 자료 분석의 주요 절차에 따라 [그림 Ⅲ-5]와 같이 1) 자료 탐색 및 코딩, 2) 서술 및 주제 도출, 3) 결과 제시 및 보고의 순서로 분석하였다.

첫 번째 자료 탐색 및 코딩 단계에서는 면담 녹취파일을 전사한 후 근거 이론(Grounded Theory)을 기반으로 면담 내용을 의미 단위로 범주화하였 다. 근거이론 방법은 실증적 연구를 통해 도출된 귀납적 정보에서부터 이 론을 생성하는 질적 연구방법으로서, 자료에 대한 수집 및 분석이 동시에 이루어지며 자료에 대한 분석을 통해 코딩과 범주화가 이루어진다 (Charmaz, 2015).

두 번째 단계에서는 앞서 코딩한 내용을 토대로 교육현상을 서술하고, 서술 내용을 추상화시킨 주제(theme)를 도출하였다. 또 도출된 주제 간의 상호 연결을 통해 연구 문제에 대한 의미와 시사점을 탐색하였다.

마지막으로 결과 제시 및 보고 단계에서는 코딩을 통해 도출된 연구 결 과를 표, 수치, 그림 등의 형태로 시각화하여 제시하고, 이를 구체적으로 서술함으로써 연구의 핵심적인 발견과 시사점 등을 보고하였다.

[그림 Ⅲ-5] 질적 자료 분석 단계

Dalam dokumen 비영리-변경금지 2.0 - S-Space (Halaman 71-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