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본 연구는 수학 교사가 교육과정 자료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분석하여 수학 교사의 교육과정 자료 사용에 관한 연구자의 관점에 시사점을 도출

하는데 목표가 있다 수학 교사의 교육과정 자료 사용에 관한 연구와 논. 의가 낯선 국내 수학교육 연구 환경에서 본 연구가 기여할 수 있는 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장에서는 학술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국. 내외 수학 교사의 교육과정 자료 사용에 관한 선행 연구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에서 발행되는 수학교육 학술지를 중심으로 2006년부터 년까지 게재된 수학 교사의 교육과정 자료 사용에 관한 연구논문을 2019

수집하였다 이를 연도별 연구 대상 연구 방법 연구 주제 내용 영역별. , , , , 로 범주화하고 분석하였다 수학 교사의 교육과정 자료 사용에 관한 국. 내외 연구 동향을 탐색함으로써 국외 연구논문에 비해 국내 연구논문에 부족한 연구를 확인하고 도출한 수학 교사의 교육과정 자료 사용 연구, 의 향후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체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수학 교사가 교육과정 자료를 어떻게 , 사용하는지 교육과정의 의도는 실제 수업에서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연, 구할 필요가 있다 상당수의 국내 연구자들이 교육과정의 변화에 대한 . 교사 인식과 요구를 확인하기 위해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 기 때문에 국내 연구논문의 경우 교사 변인을 분석한 연구의 비중이 절 반 이상으로 높았다 예를 들어 김동원 외( , , 2015; 황윤희 김선희, , 2018).

또한 국외 연구논문과 달리 국내 연구논문의 경우 구체적인 수업 실행의 사례를 분석한 논문의 비중이 낮았다 수학 교사가 교육과정 자료에 제. 시된 다양한 정보들 중 무엇에 주목하는지에 관한 경험적 연구를 할 필 요가 있다(Fuentes & Ma, 2018). 이에 연구 주제를 확장하여 수학 교사 가 교육과정 자료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연구할 필요가 있다.

둘째 중 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과정 자료 사용 연구를 , · 확대할 필요가 있다 국내외 연구 모두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 가장 많았지만 학교급별로 비교하면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 에 비해 중 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의 비중이 낮았다 교사· . 의 교육과정 자료 사용에서 교사의 역할이 강조됨에 따라 교사가 의도한 교육과정과 실행된 교육과정을 면밀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Remillard 특히 현직교사와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한 국내 연구논문

& Heck, 2014).

이 주로 2010년 이후에 분포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직교사에 비해 ,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의 비중이 높았다 현직교사의 교육과정 자. 료 사용은 예비교사의 그것과는 다를 수 있다는 점(Lloyd, 2008)에서 현, 직교사 대상의 연구가 확대된다면 수학교사의 전문성 신장 방안을 마련 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셋째 국내 수학교육의 현실을 반영하여 수학 교사의 교육과정 자료 , 사용에 관한 관점을 정립하는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국외 연구에 . 비해 국내의 경우 문헌 연구를 수행하거나 이론적 틀에 대한 고찰을 한 연구논문이 확인되지 않았다 우리나라와 같이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을 . 적용하는 나라의 경우 교육과정 자료가 교사에게 미치는 영향이 다를 수 있으며(Grossman & Thompson, 2008) 교육과정 자료의 질과 실제 교수· 학습의 질이 반드시 비례하는 것도 아니다(Hill & Charalambos, 2012). 이 를 위해 국내 수학교육의 현실을 반영하여 수학과 교육과정 자료 수학 , 교사의 역할을 어떻게 개념화할 수 있는지 정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장에서 도출된 시사점을 이후의 장에서 최대한 반영 하고자 시도하였다. Ⅲ장에서는 수학 교사의 교육과정 자료 사용에 관한 선행 연구자들의 관점을 확인하고 본 연구에서의 교육과정 자료 해석의 의미를 규정하였다. Ⅳ장에서는 선행 연구자들이 공통적으로 강조한 교 육과정 자료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수학 학생 환경 요인, , 으로 구분하고 하위 요소를 도출하였다. Ⅴ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채택한 연구 방법을 소개하였다. Ⅵ장에서는 장에서 도출한 수학 교사의 교육Ⅳ 과정 자료 사용의 주요 요인을 기초로 초임교사의 교육과정 자료 사용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Ⅶ장에서는 Ⅵ장에서 살펴본 사례를 기존의 관점으 로 설명하는데 부딪히는 한계를 확인하며 그에 따른 시사점을 도출하였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