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V. 교사의 교육과정 자료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 요약 및 논의
지금까지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교육과정 자료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수학 학생 환경 요인으로 구분하고 하위 요소를 추출하였, , 다 또한 수학 교사가 수학 학생 환경 요인의 영향으로 교육과정 자료. , , 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는 향후 본 연구에서 수학 교사의 . 교육과정 자료 사용 사례를 분석할 때 분석틀로 활용된다 본 절에서는 . 앞서 살펴본 수학 교사의 수학 학생 환경 요인에 의한 교육과정 자료, , 의 사용을 요약하고 이는 교사의 교육과정 자료 사용을 확인하는데 어, 떠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는지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교사가 수학 요인의 영향으로 교육과정 자료를 어떻게 사용하는, 지 확인하였다 교사는 수학적 개념이나 성질을 이해하기 위한 요소들을 . 분석한 뒤 이를 수업에서 강조한다 또한 수학적 지식의 구조를 중시하. 고 하나의 수학적 개념이나 성질을 지도하기 위해 관련된 다른 개념들과 의 관계를 확인하며 밀접하게 연계될 경우 이를 강조하여 지도하기도 한 다 마지막으로 교사는 교육과정 자료에 수학적 용어나 설명이 불충분. , 함을 지적하며 수학적 개념과 성질의 본질을 고민하고 교육과정 자료를 사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학 교사의 교육과정 자료 사용에는 학문으로서의 수학이 갖는 고유 한 특성인 형식성과 추상성이 반영된다 또한 학생들이 수학적 개념 요. 소들과 그 사이의 구조와 관계를 파악하고 논리적 체계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는 교사의 해석이 반영된다 선행 연구자들은 서양의 수학 교사에 . 비해 동양의 수학 교사가 내용 지식을 높은 수준으로 이해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예를 들어( , Cai & Wang, 2010; Park, 2004). Hill과 에 의하면 교사의 전문화된 내용 지식의 수준이 높을 Charalambous(2012)
수록 수학적 개념과 성질의 본질을 충분히 이해하고 수학적 개념과 성, 질들이나 절차 사이의 연결성을 잘 설명할 가능성이 높다 다시 말하면. , 수학 교사의 내용 지식 수준이 높을 경우 교육과정 자료의 사용에 지도 를 위한 지식(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이 정교하게 반영되 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이러한 수학 요인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 부족한 실정이다 이경화( , 2010). 따라서 교사가 수학 요인의 영향으로 교 육과정 자료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둘째 교사가 학생 요인의 영향으로 교육과정 자료를 어떻게 사용하는, 지 확인하였다 교사는 학생의 이해 정도에 영향을 받아 제시된 과제가 . 학업성취도가 다양한 학생들에게 적절한지 학생의 사고에 자연스러운지, 를 고려하여 재구성한다 또한 교사는 교육과정 자료에 있는 과제가 학. 생의 흥미를 높이고 동기를 유발하는 요소를 갖는지 고려한다 마지막으. 로 교사는 학생들이 보이는 오류나 학생이 가질 수 있는 오개념의 영향 으로 교육과정 자료를 사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학 교사들은 수업의 목표나 학습 경로를 제시된 대로 따르면서도 학 생의 사고의 영향으로 교육과정 자료를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큰 차이가 있다(Choppin, 2011). 교사가 교실에서 마주하는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다양하므로 교사는 어떤 학생에 초점을 맞출지 고민하고 교육과정 자료, 를 사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학업성취도가 중하위권인 학생에 초점을 . , 맞춘다면 인지적 노력 수준이 높은 과제를 해결하기 어렵기 때문에 중간 단계를 거치도록 과제를 추가하는 경향이 있다.
수학과 교육과정은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요구에 대처하면서도 교육, , 적 의도를 반영하여 개정된다 그러나 교육과정 문서나 교과서에 개정의 . 방향이나 과제의 목표 교수 학습 상의 유의점이 충분히 제시되지 않을 , · 경우 그 배경을 이해하고 현장에 적용하는 것은 교사의 몫이라는 점이
지적되었다 박선화 문광호( , , 2009; 이경화 외, 2017). 지면 자료로 내용 지 식이 중심이 되는 교과서는 개별 학교의 상황이나 학생의 수준을 충분히 고려할 수 없고 교육과정의 방향이 반영된 과제 역시 충분한 설명이 제, 시되어 있지 않으면 교사가 사용하기 어렵다 구나영 송은영 최은정 이( , , , 경화, 2020). 자연스럽게 교육과정 자료에 제시된 정보가 제한적이며 교 사의 몫이 클 경우 교육과정의 의도를 교사가 이해할 수 있는지 교사의 , 교육과정 자료 사용을 어떻게 보아야하는지에 대한 의문이 생긴다 따라. 서 이러한 측면을 반영한 논의가 필요하다.
셋째 교사가 환경 요인의 영향으로 교육과정 자료를 어떻게 사용하는, 지 확인하였다 교사가 수학을 학습했던 경험이나 교사가 되기 전의 교. 육 경험이 영향을 미친다 또한 기존의 교육과정 자료의 약점을 인식하. 고 이를 보완할 때 새로운 자료의 활용 가능성이 어떠한지 교사나 학생, 이 사용하기 편리한지를 고려한다 마지막으로 교사는 사회문화적 맥락. , 의 영향으로 교육과정 자료를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우리나라 수학 교. , 사의 경우 유교 전통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 학생들의 사회경제적 배경, , 대학 입시 제도 공교육의 책무성 과도한 행정 업무 등이 교사의 교육, , 과정 자료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학 교사의 교육과정 자료 사용에 관한 선행 연구에서 환경 요인은 다소 그 영향력이 약하게 취급되어 왔다 구체적으로 선행 연구자들은 . , 수학 교사가 처한 상황을 확인하고 교육 정책의 측면에서 물리적으로 어 떠한 지원을 해야 교육과정에 대한 충실도가 높아질 수 있는지를 고려하 였다 예를 들어 박선화 문광호( , , , 2009). , 즉 교사가 환경 요인의 영향으로 교육과정 자료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한 논의는 미진하며 교육과정의 의도를 구현하기 위해 환경 요인의 영향력을 줄이는 방향에 만 초점을 맞춘 경향이 있다.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을 적용하는 나라의 경우 교육과정 자료가 교사에 게 미치는 영향이 다를 수 있으며(Grossman & Thompson, 2008) 교사가 교육과정을 따르는 것처럼 보여도 그 의도에는 반( )反 할 수 있다(Brown 특히 서양의 교사와 달리 동양의 교사 유교 문화권에 속한
et al., 2009). ,
나라의 교사가 보이는 독특한 특징이 있고(Wang, 2016) 유교 문화는 교 사 주도의 수업 문화를 형성하는데에도 영향을 미쳤다 조영달( , 2001). 따 라서 환경 요인의 영향이 어떠한지를 확인하고 사회문화적 배경의 차이, 에 따라 교사의 교육과정 자료 사용이 어떻게 다른지에 관한 논의가 필 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 장에서 도출된 시사점을 이후의 장에서 최대한 반영 하여 분석하고자 시도하였다.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 해 채택한 연구 방법인 사례 연구와 연구 참여자 자료 수집 및 분석에 , 대해 소개하였다. Ⅵ장에서는 본 장에서 도출한 교육과정 자료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분석틀로 적용하여 초임교사의 교육과정 자 료 사용에 관한 사례의 분석 결과를 정리하였다 구체적으로 교사가 수. , 학 학생 환경 요인의 영향으로 교육과정 자료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교, , , 사의 해석은 실천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보고 선행 연구의 결과 에 비추어 논의하였다. Ⅶ장에서는 수학 교사의 교육과정 자료에 관한 기존의 관점으로 Ⅵ장에서 분석한 결과를 설명하면서 겪는 한계를 확인 하고 대안적인 관점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