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연구참여자

Dalam dokumen 비영리-변경금지 2.0 - S-Space (Halaman 58-62)

본 연구의 연구참여자는 기본적으로는 T초등학교내 소속 교원으로써 관 찰 및 인터뷰에 참여한 교원의 경우는 남교사 2명, 여교사 5명이나, 초등학 교내 교원이 아닌 지역 협회의 일본어강사 2명 및 파견수업을 받고 있는 아동의 담임 3명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질문지의 경우는, T초등학교내의 모든 교원을 대상으로 익명으로 실시하였다.

우선 일본어학급을 담당하고 있는 교원이 총 4명으로 남교사 2명, 여교사 2명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일반 학급의 수업 관찰 및 인터뷰 대상자는 사 전 동의를 얻어 1학년 2학급, 4학년 1학급을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기본적 으로 저, 중, 고학년의 학급을 희망하였으나, 학급 담임과의 동의과정 및 관찰 아동의 일본 거주 사정 및 동의과정에서 1학년과 4학년에서 총 3학급 이 선정되었다.

T초등학교의 일본어학급의 총책임자인 A교사는 K시의 교육국제화추진연 락협의회의 일본어교육의 실질적인 담당자이기도 하며, T초등학교내에서 5 년간 일본어학급을 맡아온 베테랑 교사이다. 총 교육경력이 32년이 되는 가운데, 실질적으로 일본어교원으로써 시작한 것은 T초등학교에 발령이 나 고서부터이며, 이전 일반학급 담임교원이던 때에 중국잔류고아인 아동을 지도한 경험이 있다. A교사의 경우, 조부모님께서 전쟁으로 인해 만주에서 살고 계셨고, 자신의 어머니가 중국에서 자라다가 7세에 일본으로 들어온 배경을 지니고 있다. 일본어학급에 관심을 가지고 지도하게 된 계기는 자 신이 4번째로 근무하던 학교에서 국제이해관련 수업을 진행하게 되면서였 다. K시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는 독일, 미국, 중국, 한국 등의 시에서 온 외국인 게스트를 초대해서 수업을 진행하기도 하였다. 외국어에 흥미를 가 져 영어활동 관련 수업도 진행한 경험이 있다. 일본내의 현장 교원들의 연 구모임에 오래전부터 참여하기 시작하여 K시 지부장을 맡기도 하는 등 교 육관련 연구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B교사 역시 다양한 경력을 지니고 있었는 데, A시에서 근무하다가 대학 교에 현직교원파견으로써 석사공부를 마치고, K시에는 특별지원학급 교원 으로 들어와 올해 처음 일본어학급을 담당하게 되었다. 특히, B교사는 A시 에 있던 당시, 중국 베이징의 일본인학교에 파견되어 3년간 근무한 경력이 눈에 띄었다. 실제로 보는 것과 해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여겨 중국 파견을 지원하게 되었고 자신의 자녀가 외국에서 좀 더 넓은 시야를 가지길 바라 는 마음에 가족과 함께 중국에서 3년간 생활했다고 한다. 대학원에서는 ‘학 습동기’와 관련된 공부를 하였고, 이후 아동의 학습동기를 부여하는 부분에

꾸준히 관심을 가져왔다. 올해 초 일본어 학급에 발령받아 현재 담당하고 있는 아동이 중국, 브라질, 싱가폴과 타이완의 하프(부모의 국적이 서로 다 른 경우 일반적으로 현장에서 하프라고 부른다.) 등 7명이다.

C교사는 경력 10년 중 3년째 일본어학급을 담당하고 있어, 일본어학급에 관하여는 두 번째로 경력이 많은 편이다. 처음 유치원교사로 시작하여 초 등학교 담임을 하게 되었고, 이후 중학교에서 영어교사 및 학급부담임을 맡았으며 현재 K시의 일본어학급 담당 교원으로 재직중이다. 일본어학급에 대해서는 K시로 들어올 때 일본어학급 담당으로 발령이 나서야 알게 되었 으나 현재는 본인의 희망으로 참여하고 있다.

D교사는 경력 35년으로 연구참여자 중 가장 경력이 많으며, 일본어학급에 대해 사전 조사하여 지원하여 올해 발령을 받았다. 일반학급 담임교원일 때 한국인아동을 지도한 경험이 있으며, K시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는 미국 의 몬타나주에서 2년간 교환교사로 일본어 및 일본문화를 소개하는 교육활 동을 한 경험이 있다. 현재 중국과 일본의 하프, 오스트레일리아와 일본의 하프, 필리핀과 일본의 하프, 말레이시아 등의 국적을 지닌 아동 총 6명을 담당하고 있다.

E교사는 일반학급인 1학년 담임이자, 경력 2년의 젊은 교사이다. 전문대 학을 졸업하고 초등학교 특별지원교사로 3년간 근무하다가, 임용시험을 거 쳐 정식 교원으로 작년에 T초등학교로 첫 발령을 받았다. 올해 처음으로 방글라데시 및 인도네시아의 2명의 외국인아동의 담임이 되었다.

F교사는 경력 27년의 베테랑 교사이다. T초등학교는 현재 2년째 근무중 이며, 본 연구지에서는 처음으로 외국인아동을 맡았다. 그러나 이전 학교에 서 4년간 외국인아동을 여러차례 맡아본 경험이 있으며, 올해 학급에는 인 도네시아의 아동이 재적하고 있다.

G교사는 올해가 첫 발령인 신임교원이자 4학년 담임교사이다. 신임교원으 로 발령받았으나, 10년전 대학졸업 후 임용되어 1년간 3학년 담임을 한 경 력이 있다. 이후 교직을 벗어나 일반 매스컴분야의 회사에서 총무과 비서 직으로 7년간 근무한 경력이 있으며, 다시 임용시험을 거쳐 올해 T초등학

교로 발령받았다. 학급내에는 한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하프, 중국의 총 4 명의 외국인 아동이 재적하고 있다.

T초등학교외의 ‘외국에서 온 아이들을 위한 지원네트’라는 협회의 담당 교사들과도 인터뷰를 가졌다. 이 협회는 K현의 주요 일본어교육을 위탁맡 아 진행하고 있으며, K시의 일본어교육과도 연계를 맺고 있으며, 이 곳 담 당교사들은 K현에 재적중인 외국인아동의 일본어교육을 지원하고, K시를 포함하여 외국인아동들의 교류를 위한 캠프 개최 및 외국인 가정의 자녀 교육문제에 대한 상담 및 진로가이던스도 실시하는 등의 다양한 활동을 실 시하고 있다.

인터뷰에 참여한 이 기관의 대표인 H교사는, 외국인 학생들이 일본의 대 학에 진학하기 위한 목적으로 운영되는 일본어학원에서 근무하던 중, 일본 에 생활하기 위해 자녀를 데리고 와 자녀의 일본어를 교육해줄 기관을 찾 아 온 보호자들과 그 자녀들을 만난 것이 계기가 되어 개인적으로 일본어 를 지도하게 되면서 시작하게 되었다. I교사의 경우, 민간 기업에 근무하면 서 중국어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하던 중, ‘중국잔류고아’출신의 가족의 자 녀의 일본어지도를 부탁받아 시작하였다가 자원봉사로 이어지고 지금의 지 원네트를 만드는 데 참여하게 되었다고 한다. 특히, 현재 지원네트 내의 일 본어교사로도 참여하면서, T초등학교의 일본어 지도협력교사 및 K대학교 일본어교육 시간제강사로도 참여하고 있다.

이후, 일본어 파견교육을 받고 있는 외국인아동의 담임을 3명을 추가 인 터뷰하게 되었는 데, 센터교인 T초등학교와 비교하기 위해서 같은 학년의 구성으로 1학년 두 분, 4학년 한 분의 교사를 선정해서 진행하였다. 모두 기본적으로 2~3년 정도의 외국인 아동의 지도경험을 가지고 있었으며, 연 령대가 4~50대로 10년이상의 경력을 지니고 있었다. 각 학교내에는 외국인 아동이 4~5명 정도의 T초등학교에 비해서 소수가 재적중이었으며, 담임을 맡게된 경위는 일반적인 남, 여 비율/ 학생수에 근거한 배치라고 설명하고 있었다. T초등학교로부터 교사가 방문하여 아동을 지도하는 파견수업형식 으로 일본어교실과 관계를 맺고 있었다. 특히, N교사의 경우는 파키스탄국

인원 이름

(알파벳) 성별 연령 교육

경력 담당학급 다문화가정아동

지도경험 학력 1 A 50대 32년 일본어학급 5년(전문지도)

1년(담임지도) 학사 2 B 50대 27년 일본어학급 1년(전문지도)

0년(담임지도) 석사 3 C 30대 10년 일본어학급 3년(전문지도)

0년(담임지도) 학사 4 D 50대 35년 일본어학급 1년(전문지도)

3년(담임지도) 학사 5 E 20대 2년 1-A 담임 1년(담임지도) 전문 학사 6 F 50대 27년 1-B 담임 4년(담임지도) 학사 7 G 30대 2년 4학년 담임 1년(담임지도) 학사 8 H 60대 기관 일본어교사

(협회) 12년 학사

9 I 60대 기관 일본어교사

(협회) 25년 학사

10 J 50대 27년 S小

4학년 담임 3년(담임지도) 학사 11 M 40대 17년 U小

1학년 담임 2년(담임지도) 학사 12 N 50대 30년 W小

1학년 담임 2년(담임지도) 전문 학사 적의 쌍둥이남매를 담당하고 있다.

<표4> 연구 참여 교사의 일반적 특성

Dalam dokumen 비영리-변경금지 2.0 - S-Space (Halaman 5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