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주의와 다문화교육이 그 사회의 배경과 정책에 따라 다양화된 형태 를 띄고 있듯이, 국가별 다문화교육의 형태에는 차이가 있다. 본 연구에서 는 Castle & Miller(2003)에 의해 구분되는 다문화주의의 유형을 기준으로 만들어진 이민자 통합 모형(설동훈 외 2명, 2006) 그림을 기준으로 크게 미 국, 프랑스, 독일 먼저 살펴보고, 3장에서 본 연구의 대상지인 일본을 살펴 보고자 한다.
20) Christine E. Sleeter & Carl A. Grant(2009), 다문화교육의 탐구: 다섯 가지 방법들, 아 카데미프레스. 주요 목표 내용을 정리하여 표로 작성함
독일, 벨기에
오스트리아, 스위스, 싱가포르, 홍콩, 타이완,
한국, 일본
영국, 아일랜드
프랑스, 네델란드, 이탈리아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스웨덴
국 적 부 여 기 준
출생지주의
거주지주의
혈통주의
차별배제모형 동화모형 다문화주의모형
<그림> 이민자 통합 모형
(설동훈 외 2명, 여성가족부)
(1) 미국의 다문화교육
미국은 이민자로 이루어진 국가로 다양한 문화와 역사가 섞여있는 다문화 사회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을 수 있다. 그러나 지니고 있는 다양성에 대한 인정과 존중이 이루어지기까지 다문화사회로써의 미국으로써 발전하기까지 에는 소수 민족과 인종의 끊임없는 투쟁과 노력이 있었다.
미국은 건국 초기부터 다양한 유럽인들의 유입을 통해 형성된 국가로 소 수 이민족을 백인의 주류문화에 흡수 통합하려는 ‘동화주의’적 성격이 강했 지만, 1954년 분리교육은 위법이라는 브라운 판결과 1957년 공민권 제정을 시작으로 흑인에 대한 차별을 없애려는 본격적인 움직임을 통해, 1960년대 는 인권운동의 확산과 시민권법의 제정으로 점차 ‘다문화주의’적 정책으로 전환해나갔다. 특히 1964년 경제기회보장법(Economic Opportunity Act)를 통한 교육이 경제적, 사회적 지위에 끼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저소득층의 초등취학준비를 위한 헤드스타트계획(Head Start Program), 빈곤가정출신 의 대학진학을 돕는 고등학생을 위한 업워드바운드계획(Upward Bound Program)이 입안되었다. 같은 해 시민권법(The Civil Rights Act of 1964, Title9) 제정은 연방정부의 지원을 받는 교육 프로그램에서 인종 차별적인
미국
내용을 금지하도록 하였고, 이후 초중고교육법(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of 1965) 제정으로 발전되어 나갔다. 초중고교육법에서는 흑인을 중심으로 한 빈곤아동의 교육에 역점을 두고, 학급규모의 축소, 교 원의 증원, 조식의 급식화, 취학전 교육 등 빈곤아동에 대한 지원이 이루어 지기 시작했다. 1968년 동법 제 7항의 수정 (이중언어교육법)은 영어이외의 언어을 모어로 하는 아동의 교육을 보장하기 위한 특별 자금을 부여하도록 하였고, 1972년 동법 제 9항의 수정에서는 민족유산학습법을 통해 민족집 단의 역사와 문화를 커리큘럼 속에 포함하여 실시하기 위한 교사 양성을 제안했다.21) 이후 1974년 ‘이중언어교육법’(The 1974 Bilingual Education Act)을 통해 필요에 따라 이중 언어를 사용하도록 하는 정책을 선포하였 다. 이 정책은 그동안 공립학교에서는 영어만을 인정해오던 종래의 교육방 침을 180도 전환하여, 민족존중 및 문화다원주의의 의도를 포함하고 있다.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아동에 비해, 그렇지 못한 아동의 학력부족을 고려 하여 어떻게 그들에게 언어적 지원과 학력 지원을 할 수 있는가를 고려한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한 것이다. 그리고 교사교육인증위원회(NCATA)에서 는 다문화교육 기준안을 마련하여 외국학생을 위한 ELS교사 배치, 교원양 성과정에서의 다문화교육 지식 습득 등을 제안하는 등 교육분야에서의 다 문화주의를 위한 노력이 이어졌다.22)
미국의 다문화교육의 목표는 초기에는 흑인 학자들을 중심으로 한 인종갈 등 및 편견감소가 중심이었으나 이후 히스패닉, 아시아계 등의 다양한 이 민자집단, 계층, 성별 등의 소수 집단까지의 교육적 평등을 지향하는 다문 화운동으로 이어졌다.23) 그러나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보다는 연방정부가 입법화를 통해 다문화교육 정책의 근거를 마련하면, 이를 지방정부가 자신 의 지방 실정에 맞는 다문화교육과정의 운영과 프로그램 등을 실질적으로 추진하는 역할을 하고 있어 구체적인 다문화 교육정책에 있어서는 연방정
21) 江原武一(2000), 『多文化教 育の国 際比較─エスニシティへの教 育の対応 』, 玉川大学 出版部:東京. p.43-50
22) 김천기 외 4명(2013),『다문화교육의 이해와 실천』, 교육과학사: 파주. p.107 23) 박성혁 외(2008), “다문화교육정책 국제 비교연구”, 교육과학기술부
교육대상 내 용 주관부서 프로그램 명
영어구사능력 제한학생
이중언어교육, Esl 교육, 가정 및 학부모 교육지 원
영어습득국 (OELA)
이중언어교육을 위한 학교지원 영어구사능력 제한 학생
에 대한 각 주의 영어능 력 향상 및 학업성취 증 진 프로그램
영어습득교육을 위한 주 지원 미국 본토․알래스카 원
주민, 태평양출신의 영어 구사능력 제한 학생을 위한 영어지원프로그램
원주민과 알래스카 원 주민 아동을 위한 학교 교육
모든 교사 교사대상의 이중언어 교 육능력 향상프로그램
교사를 위한 이중언어 교육
고등교육기관 원주민 교육기관의 역량 강화, 재정지원
고등교육국 (OPE)
알래스카 및 하와이 원주민 지원기관
인디언 아동
인디언 아동교육지원을 위한 관련기관 및 단체 지원
고등교육국 (OPE)
미국원주민 중심대학, 인디언 아동교육, 지방 인디언 교육기관 지원, 인디어교육의 전문성을 위한 지원
이민 자녀
이민자 교육을 위한 관련단체, 고등교육기관, 주교육기관 지원
초중등 교육국 (OESE)
이민자 교육프로그램, 이민자 학생교육을 위 한 주의 기초 재정지 원, 고등교육을 받는 이민자 학생의 재정지 원 프로그램, 주별로 연계된 협동적 이민자 녀 교육프로그램 지원 부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략적인 교육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표3> 미 연방 교육부 다문화가정 학생관련 교육프로그램
<박성혁 외(2008), 교육과학기술부>
(2) 프랑스의 다문화교육
프랑스 역시 많은 이민자들에 의해 이루어진 국가라고 볼 수 있지만, 19 세기 중반까지만 해도 이민을 많이 떠나는 국가였다. 그러나 1880년대 이 르러 보불전쟁 및 제 1차 세계대전에 의해 인구가 급감하여 노동시장이 열 악해지면서 인구를 대거 유입시켰고, 이후 제 2차 세계대전이후 1950-60년 대 경제부흥기의 노동력 부족으로 많은 외국인을 유입하면서 외국인의 비 율이 급증하기 시작했는 데, 특히 1960년대에 식민지의 독립 등으로 북아 프리카제국으로부터의 이민(마그렙이민)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1974년이후 경제위기에 따라 EC지역외의 이민은 중지하면서, 비유럽계의 마그렙이민 자들의 장기체재현상이 일어나, 점차 제한적인 이민정책 방향으로 전환되 어 가족재결합을 근거로 한 이민허가 중심으로 이어졌고, 이 또한 점차 그 조건이 까다로워졌다.24)
교육현장에서는 이민자들의 자녀의 재적수가 늘어나는 학교에서는 프랑스 어를 충분히 습득하지 못해 부적응을 겪는 문제들이 발생함에 따라 1970년 대에는 주로 ‘입문학급’등과 같은 특별학급을 통해 언어교육을 강조함으로 써 이민자들의 언어 및 문화를 보장하는 정책을 펼치는 동시에, 이면에는 프랑스의 학교 및 사회에의 적응을 위한 수단으로써의 프랑스어교육 및 모 어․모문화교육이라는 의미가 담겨있었다.25) 이와 같은 보수주의적 이민정 책과 더불어 프랑스의 동화주의적 통합 성격 역시 강화되다가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차이에 대한 권리’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면서 조금씩 변화를 보이기 시작하였다.
1981년 3월, 프랑스의 21대 대통령이었던 프랑스와 미테랑은 브루타뉴지 방에서의 연설에서 ‘차이에 대한 권리(droit à la différence)’로 지방어에 대 한 존중을 주장하였다. 이후, 당시 교육부장관이었던 쟈크 랑그의 자문을 받은 앙리 쟈오르단이 1982년 ‘문화적민주주의와 차이에 대한 권리’를 주제
24) 최종렬 외(2008),『다문화주의의 이론적 패러다임과 국가별 유형비교』, 경제․인문사회 연구회 협동연구총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p.110-111
25) 江原武一(2000), p.158
로 하는 보고서를 제출, 1984년을 기준으로 프랑스정부의 이문화에 대한 인식과 대응에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했다.26) 같은 해 법적으로 장기체재자 등의 고용문제에 관계없이 10년마다 자동으로 체제허가가 갱신되도록 되면 서 교육현장에서도 이들의 자녀들이 프랑스인과 동일한 교육을 받을 수 있 도록 하였다. 그러나 한편으론 프랑스인들에게 있어서 ‘차이에 대한 권리’
를 인정하는 것은 ‘프랑스는 비종교적, 민주적, 사회적인 공화국’이라는 공 화국헌법과 위배되는 것이라는 비판적인 논쟁이 일어나기 시작했고, 이것 은 1989년 파리근교 중학교에서의 이슬람 여학생의 종교적 상징이기도 한 히잡을 착용하고 등교 및 히잡 탈의 거부로 인한 여학생의 퇴학 문제가 사 회적으로 뜨거운 논란이 되면서, 2004년 3월 ‘공립학교 내 종교적 상징물 착용 금지법’이 제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프랑스의 전통주의적이고 동화주의적인 교육정책의 유지가운데 에서도 조금씩 다문화주의로의 움직임은 나타나고 있었는 데, 교육현장에 서는 국립 이슬람학교의 설립, 아랍어․쿠르드어․베르베르어 등 이민자의 모국어 교육프로그램 실시 등 이슬람 종교 및 모국어 교육 등에 대해 서서 히 인정하기 시작했다. 또한, 동화정책을 유지하면서도 다양한 교육프로그 램을 통해 다문화주의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면서도, 교사들은 통합 과 차별퇴치를 위한 세미나 참여 및 재교육을 받고, 인권 관련 법규를 지 도하는 방법을 익히고, 인종과 문화의 다양성과 세계의 불평등한 부의 분 배 등을 지도하도록 하고 있다.27)
프랑스의 다문화교육을 뒷받침해 온 기관과 관련하여 살펴본다면, 초기에 는 이민자 가정의 사회 적응을 돕기 위해 1975년 '이민자들의 언어와 문화 교육(ELCO: Enseignements de Langue et Culture d'Origine)이 실시되었 으나, 이것은 외국인 근로자들을 받아들이면서 이들의 자녀를 일시적으로 지도하기 위한 제도였다. 그러나 이후 이들의 정착 비율이 높아지면서,
26) 江原武一(2000), p.160
27) 서범석(2010), “다문화교육정책의 현황과 발전방향 탐색”,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80-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