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Ⅱ
Ⅲ
Ⅳ
Ⅴ
Ⅵ
Ⅶ
42 통일외교 콘텐츠 개발
(1) 비용1: 중국이 한반도 통일에 대해 가장 큰 비용으로 상정하는 것이 바로 북한의 대미국, 일본, 한국에 대한 정치군사적 완충지대
(buffer zone)31) 기능의 상실이다.32) 이는 전통적인 현실주의적
전략으로서 중국의 가상 적국인 미국과 일본, 그리고 현재 이들과 군사동맹 또는 가상 군사동맹을 유지하는 한국과 군사적으로 직 접 대치해야 하는 상황을 피하게 해준다. 이는 한국전쟁 이후 60년 넘게 지속되어 온 한반도 분단의 편익이며 한반도 통일 시에는 이를 상실하게 될 것으로 상정하여 비용으로 전환된다는 것이 중국의 일반적 시각이다. 중국의 부상 이후 2010년대 들어 북한의 존재는 미국의 아시아로의 복귀(pivot to Asia) 또는 아시아 재균 형(rebalancing in Asia)에 매우 큰 장애 요소로도 기능하고 있 다.33) 한반도 분단은 역사적으로 한반도에 대한 영향력을 다투어 왔던 일본의 정치군사적 한반도 진출 또한 억제해주고 있다.
(2) 비용2: 비용1과 연결되어 있는 동아시아 전체적인 역학구도상 한반도 분단은 미국의 대만과 관련된 안보 역량 및 영향력 행사 를 억제하게끔 하여 미국이 중국과 대만 관계에 절대적인 영향 력을 행사할 수 없도록 하는 편익을 중국에 주고 있으며 한반도 통일 시 비용으로 전환될 수 있다.
(3) 비용3: 분단된 한반도는 중국이 정치, 군사, 경제적인 다양한 정 책분야에서 남북한의 경쟁을 활용할 수많은 기회를 부여한다. 또
31) 중국 한반도 전문가 인터뷰, 2015.5.15.
32) Robert E. Kelly, “China’s Interests in Korean Unification: How Much Longer is the ‘Buffer’ Worth It?,” The Korean Journal of Security Affairs, vol. 19, no. 2 (2014), pp. 4∼20.
33) 역으로 북한으로 인하여 중국을 압박할 수 있다는 적대적 상호의존(hostile interdependence) 논리이다.
Ⅰ
Ⅱ
Ⅲ
Ⅳ
Ⅴ
Ⅵ
Ⅶ
한 한반도 분단을 통해서 중국은 북한을 한국 및 미국과의 다양 한 정치군사적인 협상에서 협상 카드 또는 지렛대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포기하는 것은 중국에 적지 않은 비용으로 책정된다.
(4) 비용4: 중국이 지역 내의 다른 국가들보다 북한에 대해 큰 영향 력을 확보하는 수단은 지난 10년간 꾸준히 증가해 온 북한의 대 중국 경제의존(90% 이상)이다. 이는 중국에게 큰 비용을 야기하 지만 이에 대응하여 북한에 대한 거의 유일한 영향력 행사 국가 의 지위라는 편익을 제공한다. 한반도가 통일되면 이러한 절대 적인 대북한 경제적 영향력을 상실할 여지가 많다.
(5) 비용5: 한반도 통일 시 중국은 북한의 폐쇄경제 등의 정치경제적 약점으로 인하여 확보하였던 북한 지하자원 및 제반 경제산업에 대한 독점력을 상실하게 된다.
위와 같은 한반도 통일로 발생하는 ‘비용’으로 인하여 현재의 한반도 분단상황을 유지하는 것이 최선의 국가이익이 된다. 중국은 한반도 통 일의 편익에 대해서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이것은 중국이 동북아시아 지역의 국제정치 구도를 ‘화석화’해서 보기 때문이며 한반 도 통일이라는 큰 지정학적·지경학적 변동이 가져올 부정적인 가능성 에 주목하며 긍정적인 가능성은 크게 고려하지 않기 때문이다.34)
34) Jonathan D. Pollack, “Is Xi Jinping Rethinking Korean Unification?,” (Presentation Paper, 3rd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Security-Brookings Joint Conference, January 20, 2015), <www.brookings.edu/research/presentations/2015/01/20-xi- jinping-korean-unification-pollack>. (검색일: 2015.11.16); “China Wouldn’t Mind a Unified Korea-Just Not Yet,” The Atlantic, January 25, 2013. 정도가 중국의 한반도 통일에 대한 비용/편익 구조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44 통일외교 콘텐츠 개발
나. 한반도 통일로 인한 중국의 편익
중국이 한반도 통일로 인하여 얻을 수 있는 편익은 상대적으로 무시 되어 왔다. 왜냐하면 그 편익은 어떠한 과정을 통해서든 한반도의 통 일상황이 진행될 때 실현되는 것으로 그 불확실성이 그 비용보다 크기 때문이다. 한반도의 분단상황의 ‘현상유지(status quo)’를 굳이 변화시 키는 모험적인 정책적 변화를 중국이 꺼리는 근본적인 이유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편익들은 비용들을 넘어설 정도의 잠재력을 충분 히 갖고 있으며 비용이 주로 정치군사적인 측면에서 발생한다면 편익 은 주로 경제적인 측면에서 발생한다고 할 수 있다.
(1) 편익1: 한반도 통일을 통한 동북아시아의 근본적인 안정으로, 중 국의 경제발전을 위한 필수 조건인 중국의 동쪽, 동북아시아의 국제정치적 안정이 확보된다.
(2) 편익2: 한반도 통일을 통한 경제통합의 시너지 효과로, 상대적으 로 저개발 상태인 중국의 동북3성(헤이룽장성, 지린성, 랴오닝 성)의 급속한 경제발전 달성과 러시아 시베리아 지역까지 중국 의 경제영향력을 확대할 수 있으며, 동해를 통한 태평양으로의 해양진출 경로를 확보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북한 재건 사 업이 본격화되면 중단기적으로 중국의 인프라 및 기타 산업의 엄청난 수요를 가져온다.
(3) 편익3: 한반도 통일에 협조함으로써 중국 자신의 논리적인 일관 성 확보와 대만과의 통일 추진력 강화가 가능하다. 중국은 한반 도 통일은 반대하거나 저지하면서 대만과의 통일을 사활이 걸린 국가이익으로 추진하는 모순성을 극복할 수 있다.
Ⅰ
Ⅱ
Ⅲ
Ⅳ
Ⅴ
Ⅵ
Ⅶ
(4) 편익4: 한반도 통일은 북한의 모험주의적 군사적 도전과 위협을 제거함으로써 동북아시아 국제정세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한반도 통일은 북한의 핵무기와 대량살상무기를 제거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
(5) 편익5: 북한의 급변사태 시 중국이 북한의 국내상황을 유지·관 리하기 위해서 투자해야 하는 비용이 막대하므로 중국은 한반도 통일상황으로 진행될 때 한국과 다른 국가들에 그 비용을 전가 하거나 또는 분배할 수 있다.35)
(6) 편익6: 한반도 통일을 통해 중국은 국제적 평화 추구의 ‘룰메이 커(rule maker)’로서 자신의 소프트파워(soft power)를 향상시 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