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대중국 통일외교의 전망

Dalam dokumen 통일외교 콘텐츠 개발 (Halaman 76-79)

대중 통일외교의 향후 발전은 여러 변수를 고려해야 한다. 그중 가 장 중요한 것이 북한의 국내적·국제적 정책 방향과 실행이다. 대중 통 일외교 실행전략에서 가장 핵심적이라고 할 수 있는 한국과 중국의 정 치군사적 거리 좁히기는 결국 북한이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점진적 발 전 또는 급격한 악화가 유발된다. 후자의 경우 ‘천안함폭침’과 ‘연평도 포격’ 등의 국지적 도발, 그리고 향후 예상되는 ‘북핵 4차 실험’ 등의 북한의 군사적 침략이 발생하면 점진적으로 발전된 정치군사적 신뢰 가 단번에 무너지게 된다. 물론 이것은 중국이 북한의 지정학적 완충 지대로서 편익을 지속적으로 유지한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북한의 예 측이 어려운 군사적 움직임에 따른 한국과 중국의 갈등 상황에도 불구 하고 지난 수년간 양국의 정치적인 거리 좁히기는 지속되어 왔다는 점 은 명확하다.46)

그러나 대중국 통일외교의 논리와 전략을 수립하는 데 가장 중요한 정책적 고려 사항은 바로 통일한반도의 이해당사국인 미국, 일본, 러시 아, 그리고 중국의 ‘편익’과 ‘비용’이 정치적, 군사적, 경제적으로 상충 하는 분야가 많다는 것이다. 이 상충하는 각국의 ‘편익’과 ‘비용’의 중요 사항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관련된 통일외교 정책에 대한 논 의가 추후 필요하다.

46) 배정호 외, 󰡔오바마, 시진핑 시대의 동북아 국가들의 국내정치 및 대외정책과 한국의 대북 및 통일외교 전략󰡕, p. 212.

중국이 원하는 통일: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중국이 동의할 수 있 는 한반도 통일은 미국과 일본의 그것과는 상당히 다르다. 중국은 한 반도 통일이 (1)동아시아 국제안보레짐을 안정적으로 형성하여 중국 의 경제적 발전에 기여해야 하며, (2)통일 후 주한미군의 철군 또는 이 에 대응하는 주한 중군의 대칭적 한반도 내 배치를 전제로 하는 한반 도의 군사적 중립지대화를 전제로 하고, (3)핵심이익인 중국과 대만의 통일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다주어야 한다는 전략적 목표를 설정 한 것으로 보인다.

미국이 원하는 통일: 미국은 한반도 통일이 (1)자유민주주의 정치체제 와 시장자본주의 경제체제를 기본으로 하는 통일한국의 수립과, (2)미 국의 동아시아 지역 내 주도적·우월적 지위 유지 및 동아시아 안보레짐 의 현상유지를 확보하며, (3)한미동맹의 유지를 통한 중국의 미국과 동 맹국에 대한 도전을 방지하며, (4)통일과정에서 ‘북한 비핵화 및 대량살 상무기 제거’를 달성해야 한다는 전략적 목표를 설정한 것으로 보인다.

일본이 원하는 통일: 일본이 원하는 한반도 통일은 긍정적인 측면에서

‘미국이 원하는 통일’과 대동소이하다. 부정적인 측면에서 본다면 (1)

통일한국의 경제적 경쟁자로의 발전, (2)통일한국의 핵무기 및 대량살 상무기 보유의 가능성을 통한 군사적 강국으로의 부상, (3)통일한국의 중국과의 정치군사적 협력을 통한 미일 군사동맹의 동아시아 주도권 경쟁 등을 우려하고 있다. 현실적으로 일본은 한국 주도의 한반도 통 일을 바라지 않고 있다고 보인다.

결국 이러한 한반도 통일 당사국들의 일치 또는 상충하는 편익과 비용 구조가 가장 복합적으로 분석되지 않은 통일외교정책의 핵심이라고 하겠다.

Ⅳ . 대(對)일본 통일외교의

Dalam dokumen 통일외교 콘텐츠 개발 (Halaman 76-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