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북한 핵위기에 있어서의 입장

중국은 한반도의 비핵화와 정치대화를 통해 북핵위기를 평화적으로 해결할 것을 주장하며 화해를 중재하고 회담을 촉진하는 역할을 적극적 으로 발휘할 것이다. 양자회담과 다자간 회담의 각종 기회를 통해 중국 정부는 여러 차례 북핵문제에 대한 기본입장을 천명했다.

2003년 7월 한국의 노무현 대통령이 중국을 방문했을 때 발표한 중․

한공동성명에서는 “쌍방이 공통적으로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유지해 야만 하고 한반도의 비핵화 지위를 확보해야 하며 북핵문제는 대화를 통해 평화적으로 해결할 수 있음을 확신 한다”고 밝혔다.2

2004년 4월 21일에는 후진타오 주석이 북한 최고지도자 김정일과의

회담 시에 중국은 한반도의 가까운 이웃으로서 일관되게 한반도의 평화 와 안정 유지에 힘써 왔고 한반도의 비핵화를 지지하며 대화를 통한 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지지하고 북한의 합리적인 우려가 존중되고 해결 되어져야 한다고 밝혔다.

2004년 10월 4일에 체결된 중․러 공동성명에서는 한반도의 비핵화

를 주장하고 반드시 대화를 통해 조속히 한반도 핵문제를 해결해야 하 며 6자회담이 이 목표를 실현하는 효과적인 기제로 본다고 밝혔다. 중국 과 러시아는 “최종 목표는 한반도의 비핵화 지위를 확보하고 한반도와 이 지역의 장기적인 평화와 안정 및 안보를 유지하여 공동의 발전을 촉

2「중․한 공동성명」, 2003년 7월 12일,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 웹싸이트 <htt p://www.fmprc.gov.cn/chn/wjb/zzjg/yzs/gjlb/1236/1237/t57973.htm>.

진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3

중국의 북핵문제에 있어서의 기본 입장은 다음의 몇 가지로 귀납할 수 있다.

먼저, 중국 정부는 한반도 비핵화의 입장을 견지한다. 중국은 한반도 의 비핵화 지위를 보장하고 대규모살상무기를 확산시키지 않는다는 규 정을 준수하여 한반도의 평화와 안보 그리고 안정을 유지할 것을 주장 한다.

다음으로, 회담을 통해 평화적으로 북핵문제를 해결할 것을 주장하고 무력이나 제제조치의 사용을 반대한다. 중국은 북핵위기에 복잡한 원인 이 있으며 북핵문제는 평화회담을 통해서만 해결할 수 있다고 본다. 어 떠한 무력이나 강제조치도 모순을 가중시키고 역내의 긴장상태를 심화 할 뿐이다. 중국은 외교적 중재활동을 적극 전개하여 회담의 진전을 추 진하고 있다. 북핵문제를 둘러싼 베이징 6자회담은 회담의 물꼬를 텄을 뿐 아니라 북경 정부가 적극적으로 노력한 초보적인 성과이기도 하다.

셋째, 북한에 대해 경제원조와 안전보장을 제공함으로써 북한이 최종 적으로 핵계획을 포기하도록 할 것을 주장한다. 북한이 핵을 개발하려는 직접적인 원인은 에너지 부족문제를 해결하려는 것과 미국의 북한에 대 한 적대 정책이다. 북한은 여러 차례에 걸쳐 한반도의 비핵화 지위를 유 지하면 핵계획을 포기하는 데 동의한다고 밝혔다. 미국도 수차례 북한을 침략하거나 공격할 의사가 없으며 북한정권을 교체할 의사도 없음을 표 명했다. 현재의 문제는 북한과 미국이 어떻게 하면 안보 딜레마에서 벗 어나 신뢰를 증진하고 북한으로 하여금 핵계획을 포기하게 할 것인가 이다. 중국은 북한의 합리적인 우려가 마땅히 중시되고 해결되어 져야 한다고 본다. 이를 위해 중국은 6자회담의 각국과 함께 북한에 에너지 원조와 안전에 대한 담보를 제공할 용의가 있다.

3「중․러 공동성명」, 2004년 10월 14일,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 웹싸이트 <http://

www.fmprc.gov.cn/chn/wjb/zzjg/doyzs/gjlb/1706/1707/t164522.htm>.

넷째, 중국은 단계를 나누어, 동시에 혹은 병행하여 실시하는 방식으 로 북핵위기를 종국적으로 해결할 것을 주장한다. 우리는 북핵위기가 핵 문제이기만 한 것이 아니라 역사상의 , 그리고 현실의 전반적인 북․미 관계와 관련이 있음을 직시해야 한다. 장기적인 적대의 배경 하에 북․ 미간에는 깊은 불신이 존재한다. 이것이 북핵문제를 해결하는 데 하나의 굴곡진 과정을 필요하게 한다. 현재로서는 단계를 나누어 동시에 실행하 는 방식으로 북핵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실현가능한 경로이 자 방법이다.

다섯째, 화해를 설득하고 회담을 촉진하는 역할을 적극 발휘한다.

2003년부터 중국의 외교중재 하에 전후로 북핵문제에 관한 3자회담과

세 차례의 6자회담이 개최되어 북핵위기를 회담을 통해 평화적으로 해 결하는 길로 접어들게 했다. 중국은 계속 적극적인 역할을 발휘하여 북 핵위기를 둘러싼 다자간 회담이 지속되게 하고 북핵위기와 한반도 문제 가 합리적으로 해결되도록 노력할 것이다.

필자는 한국정부가 최근 발표한 대북정책의 4대원칙, 즉 신뢰․평 화․무실 및 참여의 정책에 대해 찬사를 보낸다. 2004년 10월 4일, 한국 통일부 장관 정동영도 부내회의 중에 남북한이 2000년 6월에 발표한 남 북 공동선언의 기초 위에 신뢰와 평화의 대북정책을 실시하고 남북간 신뢰관계의 증진과 한반도 평화의 촉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중 국은 한국과의 적극적인 대화와 협상을 통해 북핵문제의 최종적인 평화 적 해결을 위해 공동으로 노력하기를 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