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쉬즈모 : 사랑과 자유에 대한 추구

쉬즈모의 시 창작은 전후 두 시기로 나눌 수 있다. 전기시는 주로 『즈모의 시』와

『피렌체의 하룻밤』 중 일부의 시이며, 시간적으로는 1921~1926년까지 창작한 작품 에 집중되어 있다. 쉬즈모의 전기시는 낭만적인 시풍이다. 이때는 주로 사랑에 대한 그리움과 탐구심을 표현했다. 후기시는 주로 『맹호집』과 『운유』의 일부 시이며, 시간적으로는 1926~1931년까지의 작품에 집중되어 있다.

1926년부터 중국은 제국주의의 침략을 받았다. 국내 군벌의 반동 통치라는 시대적 배경 아래에서 자산 계급 교육의 영향을 받은 쉬즈모의 시풍은 시대에 따라 변하였다.

그러나 후기시는 쉬즈모 개인 삶의 큰 충격으로 인해 모더니즘에 치우쳐 있다. 또, 시

132)박노균, 앞의 책, 74쪽.

133)이숭원, 앞의 책, 303쪽.

적인 언어가 침체되어 있으며, 이상주의자들의 인생과 사회에 대한 막연한 동경과 추 구를 드러내고 있다.

쉬즈모는 24세에 영국에서 유학하기 시작했는데, 영국 문학은 쉬즈모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 그는 영국 유학 시절 문학 작품을 즐겨 읽었고, 워즈워드(William Wordswort h), 바이런(George Gordon Byron), 셸리(Percy Bysshe Shelley), 키츠(John Keats) 의 영향을 깊이 받았다. 또, 수많은 영국 낭만파와 유미파 시인들의 작품을 접하게 되 었다.

캐임브리지(康桥)134)의 자연스러운 풍광을 느낄 수 있는 환경에서 그는 낭만주의의 기운을 느꼈다. 그는 “별빛 속에서 물소리를 듣고, 이웃 마을의 밤 종소리를 듣고, 소 가 풀을 먹는 소리를 듣는 것은 나의 캐임브리지 체험 중 가장 신비로운 한 가지이다.

대자연의 아름다움과 평온함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이 별빛과 빛의 조화 속에서도 의 외로 오랫동안 당신의 성품에 물들었다.”135)라고 하였다. 그의 개성은 캐임브리지에서 서서히 형성되었는데, 그는 “캐임브리지는 나의 눈을 뜨게 해주었고, 지식욕을 키워주 었으며, 자아의식을 태동시켰다”136)라고 하였다.

또한 낭만주의 시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주관적 서정성이다. 낭만주의 시인은 강 렬한 감정을 행간에 덧붙여 표현하기 위해 감정의 자연스러운 표출을 강조한다. 후스 는 1926년 이전의 쉬즈모를 “그의 인생관은 정말 단순한 신앙이다. 이 안에는 단지 세 개의 큰 글자만이 있을 뿐이다. 하나는 사랑이고 하나는 자유이고 하나는 미”137)라 고 평했다. 이 평가는 종종 후세에 의해 인용되어 쉬즈모에 대한 고전적인 평가가 되 었다.

쉬즈모는 “‘건강’, ‘존엄’의 창작 원칙으로 문단을 정리하고 새로운 질서를 확립해야 한다”138)고 주장했다. 그의 시의 대부분은 이러한 창작 원칙에 따른다.

이에 따라 쉬즈모 전기 시는 “자연을 숭배하고 자연으로 회귀하며, 인간의 천성은 인간과 자연의 조화에서 회복 되는 것”139)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그는 이를 통해 사 랑과 자유에 대한 추구를 실천했다.

134)쉬즈모의 시에서는 캐임브리지를 ‘강교(康桥)’라 부른다.

135)在星光下聽水聲, 聽近村晚鍾聲, 聽河畔倦牛刍草聲, 是我康橋經驗中最神秘的一種:大自然的優美, 甯 靜, 調諧在這星光與波光的默契中不期然的淹入了你的性靈. (邵華強 編, 앞의 책, 140頁.)

136)我的眼是康橋教我睜的, 我的求知欲是康橋給我撥動的, 我的自我意識是康橋給我胚胎的. (劉炜, 『徐 志摩自敘』, 團結出版社, 1996, 78頁.)

137)胡適, 『胡適學術文化隨筆』, 中國青年出版社, 1996, 226頁.

138)徐志摩, 『徐志摩全集(第4卷)』, 廣西民族出版社, 1991, 584頁.

139)張文榮, 「公正的“詩魂”與“詩評”的公正—徐志摩其人其詩新辯」, 『甘肅社會科學』, 6, 1994, 101頁.

겁 많은 이 세상,

사랑을 용납지 않는구나, 나의 이 사랑을!

나의 온 머리칼을 풀어 헤치고, 나의 두 발을 드러낸 채, 나를 따르라, 내 사랑이여, 이 세상을 버리고

우리의 사랑에 목숨을 바치자!

내 손을 잡고,

사랑이여, 나를 따라오라,

가시가 우리의 맨발을 찌른다 해도, 우박이 우리의 머리를 부순다 해도, 나를 따라오라,

나는 네 손을 이끌고,

속박에서 벗어나 우리의 자유를 회복하련다!

나를 따라오라, 내 사랑이여!

세상은 이미 우리의 등 뒤로 뒤처지고 - 보라! 여기는 끝없이 망망한 바다가 아닌가?

끝없이 망망한 바다, 끝없이 망망한 바다,

무한한 자유, 나와 너 그리고 사랑!

내 손가락이 가리키는 것을 보라, 저 하늘 끝 조그만 푸른 별 - 그곳은 섬, 섬에는 푸른 풀과

한긋한 꽃, 아름다운 길짐승과 새가 있으니 어서 이 가뿐한 작은 배를 타고

저 이상의 하늘로 가자 -

사랑, 기쁨, 자유의 그곳으로 - 세상과는 이별을 고한 채, 영원히!

-「겁 많은 이 세상(這是一個儒怯的世界)」140)전문 140)쉬즈모 지음, 이경하 옮김, 『쉬즈모 시선』, 지식을만드는지식, 2014, 80~81쪽.

這是一個懦怯的世界:

쉬즈모의 인생은 짧았지만, 그의 일생은 사랑과 자유를 집요하게 추구했다. 그러나 그의 이러한 꿈은 당시의 현실 사회에서 꽃 피우기가 쉽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종종 억압을 당하곤 했다. 이러한 억압은 쉬즈모로 하여금 어두운 현실 환경에 대해 불만과 반항심을 갖게 했다. 동시에, 그의 이상주의의 꿈을 환상의 세계에 맡기게끔 만들었다.

낭만주의적 기질과 열정을 가진 시인인 그는 환상의 세계에서 영감의 원천이 발현되어 야만 비로소 자신의 마음의 나래를 펼칠 수 있기 때문이었다.

「겁 많은 이 세상」은 부정적인 현실 세계를 부정하고 긍정적인 세계를 지향하는 작품이다. 이 시는 1925년에 창작됐다. 당시 이미 이혼한 쉬즈모는 유부녀인 루샤오 만141)과 첫 눈에 사랑에 빠지게 되었다. 이들의 연애는 수많은 사람들의 반대에 부딪 혔다. 쉬즈모는 전통적인 도덕관념의 무거운 정신적 고통을 뼈저리게 느꼈다.

容不得戀愛,容不得戀愛!

披散你的滿頭發, 赤露你的一雙腳;

跟著我來,我的戀愛, 抛棄這個世界

殉我們的戀愛!

我拉著你的手, 愛, 你跟著我走;

聽憑荊棘把我們的腳心刺透, 聽憑冰雹劈破我們的頭, 你跟著我走,

我拉著你的手,

逃出了牢籠, 恢複我們的自由!

跟著我來, 我的戀愛!

人間已經掉落在我們的後背―

看呀,這不是白茫茫的大海?

白茫茫的大海, 白茫茫的大海,

無邊的自由,我與你與戀愛!

順著我的指頭看, 那天邊一小星的藍—

那是一座島,島上有青草, 鮮花,美麗的走獸與飛鳥;

快上這輕快的小艇, 去到那理想的天庭—

戀愛,歡欣,自由—辭別了人間,永遠!

141)루샤오만(陸小曼)은 당시 북경 사교계의 여왕이었고, 쉬즈모 친구의 아내였다. 그녀는 쉬즈모의 열 렬한 구애에 못 이겨 남편과 이혼하고 쉬즈모와 재혼하였다.

그가 이 시를 쓴 것은 당시의 상황과 관련이 있다. 그는 ‘겁 많은 이 세상’이 ‘사랑 을 용납지 않는구나’라고 한탄한다. 또, 그는 ‘속박에서 벗어나’, ‘우리의 자유를 회복 하련다’고 다짐한다. 사실 이 시는 현실의 어둠을 반영한 작품일 뿐만 아니라 시인의 낭만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작품이기도 하다.

시인은 현실 생활에서 연애가 자유롭지 못한 이유로 이 시를 썼다. 그는 시의 첫머 리에서 단도직입적으로 이 세상은 ‘겁 많다’ 라며, ‘사랑을 용납지 않다’라고 말한다.

그러나 시인은 현실 세계에 대해 어떤 객관적인 묘사도 하지 않는다. 사실 현실은 단 지 그의 마음과 낭만적인 감정만을 건드리는 ‘원소’일 뿐이다. 그가 표현하고자 하는 것은 현실 세계가 어떻게 ‘겁 많다’ 인가가 아니다. 그것은 암담한 현실에 대한 불만과 분노를 표출하고 어두운 현실에 맞서 싸우겠다는 단호한 태도와 항쟁 정신, 그리고 이 상향에 대한 열망을 표현하는 것이다.

쉬즈모의 사랑, 자유의 ‘단순한 신앙’은 그로 하여금 구시대의 세계를 부정하는 동시 에 더 큰 열정으로 이상 세계를 인정하게 한다. 그가 이 시에서 얼마나 아름다운 환상 의 세계를 그렸는지 살펴보자.

끝없는 자유를 상징하는 ‘끝없이 망망한 바다’에는 아름다운 섬이 있고, 섬에는 싱싱 한 풀과 꽃, 아름다운 짐승과 새가 있다. 그러나 더욱 그리운 것은 사랑과 자유가 모 두 있는 이상적인 천국이다. 이 이상향을 찾기 위해 화자는 ‘이 세상을 버리고/우리 사 랑에 목숨을 바치자’, ‘가시가 우리의 맨발을 찌른다 해도/우박이 우리 머리를 부순다 해도’ 라며 확고한 결심을 다진다.

결국 이 시는 낭만주의자의 격정적인 태도로 봉건적인 예법에 대한 거부와 열망을 표현하고 있다. 또, ‘5·4’ 정신의 자유로움을 추구하며, 결혼의 자유를 쟁취하고자 하는 반봉건의 강렬한 정신을 표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 시를 읽는 독자들은 시인의 아 름다운 꿈과 열정, 그리고 어두운 현실을 부정하는 정신을 더 깊이 느낄 수 있다. 즉,

‘속박에서 벗어나 우리의 자유를 회복하련다’라는 시구는 연애, 혼인의 자유를 의미할 뿐 아니라, 개성 해방의 목소리이기도 하며, 자유와 사랑을 추구하는 ‘단순한 신앙’의 외침이기도 하다.

내겐 하나의 사랑이 있을 뿐 - 하늘의 밝은 별을 사랑하고, 그 별들의 영롱함을 사랑합니다,

세상에는 이보다 특별한 성스러움이 없으니까요.

추운 늦겨울의 해 질 무렵에, 적막한 잿빛 새벽에.

바다에, 비바람이 지나간 후의 산꼭대기에 - 하나의 밝은 별, 수많은 별들이 영원히 있습니다!

산골 개울가 작은 풀꽃의 지기(知己), 누각 위 어린아이의 즐거움,

여행자의 불빛과 나침반 - 아주 멀리서 반짝이는 요정!

내겐 산산조각 난 영혼이 있어요, 마치 한 더미 산산조각 난 수정처럼, 황야의 시든 풀 위에 흩어진 채 -

짦은 순간이나마 그대의 정성을 마음껏 느꼈지요.

인생의 쓴맛과 단맛,

나 역시 맛보았지만, 나 역시 참고 견디며, 섬돌 아래 귀뚜라미의 가을 울음에,

마음이 슬퍼져 눈물을 떨어뜨리곤 했습니다.

내 솔직한 속내를 밝히고,

온 하늘의 밝은 별에게 사랑을 바치렵니다.

인생이 환상이든 진실이든, 지구가 존재하건 사라지건 간에 -

하늘엔 영원히 어두워지지 않을 밝은 별이 있으니까요!

-「내겐 하나의 사랑이 있을 뿐(我有一個戀愛)」전문142) 142)쉬즈모 지음, 이경하 옮김, 앞의 책, 91~92쪽.

我有一個戀愛—

我愛天上的明星;

我愛他們的晶瑩:

人間沒有這異樣的神明。

在冷峭的暮冬的黃昏, 在寂寞的灰色的清晨。

在海上,在風雨後的山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