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생태계기반접근의 국제법적 근거

‘생태계기반접근(Ecosystem-based Approach: 이하 EA라 함) ’방식의 개념 은 1972년 스톡홀름 회의에서 등장한 이래 1992년 유엔환경개발회의, CBD 등을 통해 점차 그 개념이 정립되어 왔다. CBD는 “EA란, 육지, 물, 생물자원을 공 평한 방식으로 보전하고 지속가능한 이용을 도모하기 위한 통합적인 관리 전략 이다. EA는 구성체와 주변 환경사이의 관계와 기능, 본질적 절차와 같은 생물 학적 구성의 수준에 적합한 과학적 방법론의 적용에 기반한다.”265) 라고 규정

265) "a strategy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land, water and living resources t hat promotes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use in an equitable way. The ecos ystem approach is based on the application of appropriate scientific method ologies focused on levels of biological organization, which encompass the e ssential processes, functions and interactions among organisms and their en vironment. It recognizes that humans, with their cultural diversity, are an integral component of ecosystems."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Dec ision V/6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Ecosystem Approach, available online: <http://www.biodiv.org>.

하였다. 이는 EA를 통해 지속가능한 이용을 도모할 수 있음을 강조하는 것이 며, EA는 생태계의 구성체와 주변 환경 간의 관계와 영향에 대한 이해를 위해 과학적 방법론의 적용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생태계 접근법은 기본적으로 생태 계의 모든 구성요소들 간의 연관관계 및 생태계 역학을 고려하여 인간의 해양 자원의 이용을 관리하는 것이다266). 즉 EA의 핵심은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가 치를 지속적인 수준으로 생산해 낼 수 있도록 생태계를 유지하는데 있다. 전통 적인 자원관리는 일반적으로 각각의 자연자원을 대상으로 한다. 그렇지만 생태 계 차원에서는 환경변화에 따른 자연 자원의 변화에 반응하면서 자원량과 분포 가 변화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그러므로 EA에서 다루는 관리방안에는 활동 과 보존의 상호작용, 인간활동에 따른 간접적 영향의 고려, 생태계 내의 생물 요소와 물리적 요소간의 상호작용 등이 포함된다267).

이러한 EA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요소는 해양생태계의 보호와 회복, 종의 다양성과 상호작용에 대한 다른 활동의 누적영향, 생태계 연결성 촉진, EA에서 내재된 불확실성을 인식할 수 있는 수단의 통합과 생태계에 동적인 변 화를 설명, 전 지구적·국제적·국가적·지역적 차원에서 조정할 수 있는 정책 마련, 생태계 내 토착종 다양성 유지, 행위가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는 근거 요구, 생태계 기능·서비스 제공·관리 효과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지표 개발, 관련 이해관계자의 참여 등이다. EA와 관련된 활동 으로는 생태계 관리계획 수립, 관리 목표 설정, Zone 설정, 해양보전의 네트워 크, 서식지 회복, 공동협력, 적응관리, 장기간 연안·해양관측, 모니터링, 연 구 프로그램 등이 있다. 이러한 활동을 체계적으로 하는데 다양한 수단이 필요 하다268).

266) 김정은,“해양환경분야 국제협약의 실행에 대한 자치적 이행조직의 역할에 관한 연구 – 공해보호를 위한 생태계 접근법의 이행을 중심으로-”, 「국제법학회논 총」제55권 제2호, 대한국제법학회(2010), 24쪽.

267) H. Jorden Diamond,“The Need for Ecosystem-Based Management of Arctic”, Ch anges in the Arctic Environment and the Law of the Sea(2010), pp. 392~393.

268) 최희정 외, 「해양자원의 최적이용을 위한 해양공간계획 수립 연구 – 해양공간계 획 체계 정비방향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1), 27~29쪽.

또한 이러한 다양한 수단을 통하여 EA로 전환하게 될 경우 이러한 접근법이 가질 수 있는 장점들은 다음과 같이 6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자원관리에 있어서 EA를 접목하게 되면, 지속가능한 발전의 확보, 생 물다양성의 확보, 서식지의 보호를 비롯한 여타 목적들과 조화를 이루거나 이 를 증진시킬 수 있다. 둘째, EA는 인간과 생태계 웰빙 뿐만 아니라 인간 활동 과 환경관리 목적들과의 통합의 필요성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셋째, EA는 과학공동체로 하여금 인간 활동과 기타 활동들의 잠재적인 효과를 혁신적 으로 계량화시키도록 고무시킬 수 있다. 넷째, 인건의 활동과 환경관리에 있어 서 EA는 보다 과학적인 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게 하고, 나아가 과학과 관련된 표준의 발달을 촉진시켜 준다. 또한 제도, 훈련, 능력, 정보, 감시, 평가, 통 제 및 규제요건들에 대한 변화를 촉진시킨다. 다섯째, EA는 전지구적인 차원에 서 생태계의 조건을 결정하고 생태계에 대한 평가능력을 향상시킨다. 마지막으 로 다양한 물품과 용역간의 교환(trade-offs)을 계량화함에 있어 필요한 정보 를 제공해 준다는 것이다.

이러한 EA는 전통적인 해양자원의 관리의 존재의의를 완전히 무시해도 좋을 혁신적인 성격의 것이 아니며 오히려 기존 제도의 계속적인 진화과정에서의 진 화단계라고 보는 것이 옳다.

그리고 이러한 생태계기반으로 한 통합적인 관리는 사전배려원칙과 연계될 경우에는 그 효과가 더욱 증대될 수 있으며 생태계기반으로 한 해양관리의 목 적인 지속가능한 개발을 이룰 수 있다269). 생태계기반으로 한 해양의 통합적인 관리의 중점은 궁극적으로 인간의 해양 이용활동을 적절히 규제하여 해양자원 을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전통적인 해양 자원의 관리에서 벗어나 통합적인 관리를 통해서 인간의 해양 이용활동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규제를 할 수 있게 되었지만 해양의 보호를 위한 조항이나 장치들이 부족한 것 이 사실이다.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발전과 환경의 보호라는 측면이 조

269) 백소현,“국제환경법상 지속가능한 개발의 개념과 법적 지위에 관한 연구”,「법 학논문집」제35집 제2호,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2011), 210~213쪽.

화를 이루어야 하므로 이용에 초점을 두고 있는 EA에 사전배려원칙을 연계함으 로써 그 균형을 이루고 지속적인 발전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EA와 사전배려원칙을 연계한 예는 여러 협약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그 협약 중 대표적인 것이 남극해양자원 보존협약270)이다. 동 협약은 제2조에 서 남극해양생물자원의 보존에 관한 규정을 마련하고 있는데, 이 협약은 그 관 리책임을 수행함에 있어서 지침이 되는 2개의 중심적 개념을 개발하였다. 하나 는 사전배려적 접근법이고 다른 하나는 생태계접근법이다. 여기서 생태계접근 법은 특정어종에 대한 어업규제에 촛점을 맞출 뿐만 아니라 어업이 목표종과 연관종 또는 의존종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보장하는 목표를 갖는다. 예를 들면, 크릴 어획을 규제하고 직접적으로 감시하면서도 한편으로는 크릴을 먹거 나 크릴 포식자에 의하여 먹히게 되는 종들에 대하여 어획이 미치게 되는 영향 을 감시하려고 노력한다. 그러므로 모든 관련종의 생태학적 지속성을 보존하고 연관종의 필요성을 고려하여 크릴 어획량 규제를 보수적(예를 들면 사전배려 적)으로 설정함으로써 생태계의 건강을 보존하려고 노력한다.

(2) PAME의 EA를 통한 북극해의 보호 전략

PAME은 EA을 통한 광역해양생태계사업(Large Marine Ecosystem, 이하 LME라 함)로의 접근으로 북극해의 자원보전 및 해양환경 보호를 꾀하고 있다. LME은 1995년 리우 지구정상회담의 가장 큰 특징인 지속가능한 개발의 개념 도입과 이를 위한 정책인 통합관리(integrated management)의 제시를 통해 나타나게 되었는데, 이는 생태적으로 광역적인 공간을 대상으로 하고 공유된 의사결정과 협력 그리고 정부주도형 보다는 풀뿌리와 지역공동체의 참여가 특징이다.271)

앞에서 언급되었듯이 EA는 지속가능한 경제와 지역사회를 유지하면서 생태계

270) 1980년 남극해양생물자원보존협약에 의하여 1982년에 설립되었다: 1980년 5월 20 일채택, 1982년 4월 7일 발효. 한국도 2008년 위원회의 회원국이 되었다.

271) 조동오,“황해광역해양생태계보전사업의 관리부문 분석”,「해양환경안전학회 학 술발표대회 논문집」, 해양환경안전학회(2006), 259~260쪽.

의 건강성, 지속성, 생물다양성을 복원 및 유지하는 것이므로 LME은 이러한 원 리를 해양자원관리에 원용한 것으로서 생태적으로 연관된 일정범위의 해역에 속한 해양자원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관리 사업이다. 일반적으로 LME은 5 개의 모듈로 평가되고 관리되고 있는데, PAME 역시 이러한 5개의 모듈을 내세 우고 있다272).

5개의 모듈은 생산성(productivity), 수산자원(fisheries), 오염 및 생태계 건강(pollution and ecosystem health), 사회경제(socioeconomic)이다.

특히 PAME는 이러한 LME의 방식에 EA을 중시하고 있으며 EU의 해양전략지침 (Marine Strategy Framework Directive: MSFD)과 OSPAR의 LME지침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활동 및 그 활동으로 인한 결과의 유용성의 평가와 환경 리스크의 저감비용의 크기 등의 여러 가지 정치적 혹은 경제적 요인과의 관계를 비교 형량하여 기준 을 결정하여야 하며 그 기준을 결정하기 위한 환경영향평가 등 과학에 기초한 기본 자료들이 관련자들에게 제공되어야 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위해서는 활발한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하며, 이러한 커뮤니케이션은 폐쇄적인 정책으로 일관하고 있는 AC에서는 실현되기 힘들다.

(1) 조약법협약에 의한 해석

해석을 한다는 것은 이미 유효한 법률문헌이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므로 법률해석 이란 법률문헌에 대해 의미를 부여하는 이성적인 활동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273). 이때 문헌이란 법규범을 형성하는 이상 서면 형식에 국한 되지 않는다274).

따라서 법은 기본적으로 법 문헌이 존재할 때 가능하며, 이러한 문헌에 대한 해석은 의견 대립이 있는 경우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법 해석은 일반적으로 그 문헌에 대한 법적 의미를 부여하고 효력을 갖도록 하는 모든 활동을 뜻한다.

ILC의 조약법에 관한 특별보고자(Special Rapporteur)dls Waldock은 1935년 Havard의 조약법 초안(Harvard Draft on the Law of Treaties) 제3부를 인용하 면서 법 해석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즉 그는‘해석의 과정이란 문헌의 단

273) A. Barak, Purposive Interpretation in Law (Princeton: Princeton Univ. Pres s, 2005), p. 3.

274) 김태운,“유엔해양법협약 제218조상 권한 있는 국제기구 또는 일반외교회의를 통 하여 확립된 적용 가능한 국제규칙 및 기준의 실정법적 논거”,「해사법연구」제22 권 제2호, 한국해사법학회(2010), 2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