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환경리스크의 규제를 위한 사전배려원칙의 적용

54) 김해룡, 위의 논문, 40쪽.

55) 한귀현, 앞의 논문 , 20쪽.

56) 한귀현, 위의 논문 , 21쪽.

환경영역에서는 인과관계의 확정이 곤란하다. 왜냐하면 환경문제는 다양한 요소가 장기간에 걸쳐 광범위한 영역에서 상호작용을 일으킨 결과이며, 원인과 경과 그리고 결과가 누적적이고 불연속적이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환경정책은 목전에 급박한 위해의 방지와 이미 발생한 손해의 제거뿐만 아니라 가능한 한 그러한 위험과 훼손을 사전에 방지하여 자연적인 생활기반을 보호하여야 한다.

따라서 일정한 피해에 대한 합리적인 우려는 있지만 그와 관련하여 과학적 불 확실성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그러한 불확실성을 수반하는 리스크에 대하여 충 분한 배려를 기울여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이것이 사전배려원칙을 구성하는 핵심적인 기본요소이다.

특정 물질이나 활동이 잠재적으로 리스크를 야기시킬 수 있어 사전배려원칙 의 적용대상이 되더라도, 이는 인간의 생활수준이나 복지 및 안전 향상에 일반 적으로 기여할 수도 있고, 특정의 기업이나 국가의 이익에 기여하는 측면도 적 지 않는 겨우도 있다57). 또한 활동을 행할 능력과 기술을 가진 집단이 이러한 리스크를 회피하고자 하는 집단보다 큰 정치력을 갖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해 당 리스크의 관리는 활동으로 인해 기대되는 이익, 특히 경제적 이익에 비중이 두기 쉽다. 그 결과 이러한 사회적 구조를 반영한 종래의 법 구조에 따르면 리 스크를 발생시키는 활동만으로는 기본적으로 위법하지는 않으며, 국가도 이러 한 활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는 전제를 두고 있다. 그러므로 국가가 특정 활 동을 규제하기 위해서는 당해 활동의 피해발생의 가능성을 과학적으로 입증하 여야 한다.

그렇지만 이러한 입증은 용이하지 않다. 잠재적 리스크를 명확히 입증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전처럼 리스크를 정량화하고 분석하여 대응방향을 결정하려는 종래 구조의 문제점을 사전배려원칙은 지적하 면서 피해의 회피 및 방지를 위하여 환경보호에 큰 비중을 두어 잠재적 리스크 에 대한 대처도 가능하도록 기존의 법구조를 재검토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국내에서 사전배려의 조치를 취하든 혹은 국제관계에서 국가가 이를 주장하

57) 박종원, 앞의 박사 학위 논문, 58쪽.

든 간에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결정이나 주장의 근거를 과학이 제공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사전배려원칙은 과학을 대신하거나 혹은 과학과 조합하여 정책결정자 의 결정이나 주장의 근거를 새롭게 제공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근거는 일정한 과학적·객관적 사실이 아니라, 사회적 수용가능성의 범위 내에 서 리스크 수준을 결정하는 과정에 따라 제공되기 때문에 사전배려원칙은 법의 체계나 전통 사회의 상황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고, 그 기능의 발현은 각 사안이나 원칙의 적용의 국면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사전배려원칙의 폭 은 잠재적 리스크가 문제되는 상황에서 이해의 대립과 그 결과 조정된 이해관 계자 간의 타협점의 폭을 나타낸다.

우리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여러 가지 리스크 가운데 국제사회가 공통의 이 해관계 속에서 함께 대응해야 할 잠재적 리스크가 존재한다58). 예컨대 기후변 화와 관련된 문제의 경우 과학적 불확실성은 존재하지만 지구온난화에 따른 리 스크에 관하여 국제사회 전체가 사전배려적 차원에서 공동으로 대처하여야 한 다는 공통된 인식이 팽배해있다. 이는 해양오염이나 생물다양성의 보전 등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존재한다. 어떠한 리스크에 대하여 불확실성이 존재하고 있 더라도 국제사회가 공동으로 대처하여야 하는 문제, 즉 ‘보호대상의 중요성’

이 인정되는 경우 그 문제의 해결을 위한 ‘협력의 필요성’이 존재할 때 국가 간의 관계에서 사전배려원칙의 적용 문제가 논의될 수 있다. 그 결과 사전배려 원칙이 규정되며 구체적인 사전배려 조치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사전배려원칙의 기능은 주로 잠재적 리스크의 대응에 관한 합의 형성을 위 한 교섭과정 그리고 합의 성립 후의 규칙 이행 및 준수와 관련된 것이다. 즉 사전배려원칙은 합의 형성 과정에서 보다 적극적인 피해 방지조치를 취할 것을 주장하는 국가에 대하여 논거를 제공하고, 합의 성립 후에는 잠재적 리스크에 대처하는 국가의 행동기준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59).

58) 박종원, 위의 박사학위 논문 61쪽.

59) 박종원, 위의 박사학위 논문, 125~126쪽.

제3장 사전배려원칙의 국제법적 지위

제1절 국제규정에 반영된 사전배려원칙의 지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