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분쟁의 발생
다뉴브강은 흑해로 흘러들어가기까지 여러 국가들을 관통하거나 국경을 형성 한다. 그 중 헝가리와 슬로바키아 사이에서 다뉴브강은 142㎞에 걸쳐 국경선을 이룬다. 그리고 이 사건이 관련된 다뉴브강 구간은 슬로바키아 수도 Bratislava와 헝가리의 수도 Budapest 사이의 약 200㎞ 구간이다. 이 구간 중 슬로바키아 영토에서 Cunovo와 그 하류에 Gabčikovo가 있고, Cunovo와 Gabčikovo 사이의 헝가리 영토에는 Dunakiliti가 있다. 다뉴브강은 Gabčikovo
137) Legality of the Threat or Use of Nuclear Weapons Advisory Opinion, Ibid., p. 241.
138) op. cit., p. 242, 법원은 이러한 접근방법이 리우선언 원칙 제24에 의해 지지를 받고 있다고 보고 있다.
139) op. cit., p. 243.
를 지난 후 슬로바키아와 헝가리의 국경을 이루다가 헝가리로 들어가며 이 강 이 Budapest를 향해 남쪽으로 방향을 틀기 직전의 좁은 계곡에 Nagmoros가 있 다.
경제개발을 위해 값싼 에너지원을 필요로 하던 헝가리와 체코슬로바키아는 다뉴브강을 이용한 수력발전에 눈을 돌리게 된다140). 그리하여 1951년 헝가리 와 체코슬로바키아는 다뉴브강에 수력발전소를 건설하는 문제에 대하여 협상을 시작하였으며 그 결과 1977년 9월 16일 양국은 Gabčikovo-Nagymar 갑문시스템 건설 및 운영에 관한 조약(Treaty Concern)을 체결하였다. 이 조약은 합작투자 의 성격으로써 갑문 시스템 건설 및 운영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 이 합작투자 의 중요 목적은 수력발전 및 다뉴브강의 항행개선 그리고 홍수방지 등이며, 또 한 1977 조약 당사국들은 Gabčikovo-Nagymar 프로젝트의 결과 다뉴브강의 수질 이 오염되는 일이 없도록 하고 갑문 시스템의 건설 및 운영과 관련하여 발생하 는 자연보호의무를 준수할 것을 약속하였다141).
공사는 1978년부터 시작이 되었고, 헝가리의 제안에 따라 1983년에는 프로젝 트를 지연시키는 Protocol을, 1989년에는 가속화시키는 Protocol을 채택하여 1977년 조약을 개정하였다.
1989년 봄 체코슬로바키아 측의 Gabčikovo 댐 공사가 거의 완공을 앞둔 단계 에서142) 헝가리 정부는 불투명한 경제적 전망과 환경보호를 이유로 프로젝트를 재평가해야 한다는 국내 비판여론에143) 따라 Dunakiliti 댐 공사를 중지하였 140) F. Botchway,“The Gabčikovo-Nagymar Case : A Step Forward for Environmental
Consideratons in the Joint Development of Transboundary Resources?”, Europ ean Environmental Law Review, Vol.8 No.3(1999), p. 78.
141) Treaty concerning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Gabčikovo-Nagymar s ystem of locks. United Nations — Treaty Series, Vol. 1109,1-17134, p. 245.
142) 그 당시 Dunakiliti 댐은 90%, Gabčikovoe 댐은 85%, 우회터널은 Gabčikovo 하류 가 60%, 상류가 95% 완성되었으며, Dunakiliti-HruSov 저수지의 제방은 70 내지 90%가 완성된 상태였다. Case Concerning The Gabčikovo-Nagymar Project (Hunga ry v Slovakia), ICJ Report p. 31.
143) 1980년대 초부터 헝가리에서는 환경운동이 전체 경제 및 사회체제에 대한 항거의 주된 수단이었으며 따라서 다수의 환경단체들이 결성되어 활동하였다고 한다(O.
Mclntyre,“Case Concerning the Gabčikovo-Nagymar Project(Hungary/Slovaki a)”, Journal of Environmental Law, Vol.10 No.2(1998), p. 80.
다. 그 후 Nagymaros 댐 건설 중단과 Dunakiliti 댐 공사를 중지하였고 그 후 Nagymaros 댐 건설 중단과 Dunakiliti 댐 공사의 현상 유지를 결정하였다. 양 측 사이에 외교사절 교환과 전문가의 협상이 있었으나 실패로 끝나고, 체코슬 로바키아는‘Variant C’라고 명명된 대안을 통해 공사를 강행하였다144). 이에 대해 헝가리 정부는 1992년 5월 임시조치와 독자적인 결정에 공식적으로 항의 하고 1977년 조약의 효력을 종료하는 구두 각서를 전달함으로써 양국 간에 분 쟁이 본격화되었다.145)
(2) 사전배려원칙의 적용
동 사건에서 헝가리는 1977년 조약의 종료 통지가 적법하다고 주장하면서 그 근거의 하나로 새로운 환경법 규범의 발전 즉 사전배려의 원칙을 주장하였다.
헝가리에 따르면, 종래 타국 영토에 실질적 손해를 야기하지 않을 의무가 사전 배려원칙에 따라 손해를 방지할 대세적 의무로 발전했다는 것이다146).
또한 ICJ는 역시 동 계획에서 환경에 관한 발전적 원리를 받아들이도록 의도 되었으므로 환경에 대한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고 하였다. 현재의 환경 위험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환경법상 기준에 따라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ICJ에 따르면 당사국들은 협의에 의해 1977년 조약 제15조, 제20조와 공동계약계획에 서 새로운 국제 환경규범을 적용하고 고려할 수 있도록 발전적인 규정을 두고 있다. 특히 제15조와 제19조는 당사국들이 수문 시스템의 운영과 관련하여 다
144) 헝가리의 공사 중단으로 체코슬로바키아는 대안들을 연구하기 시작하였으며 그 대안들 중 하나인 Variant C는 Dunakiliti에서 10㎞ 상류의 체코슬로바키아 영토 에서 체코슬로바키아가 일방적으로 다뉴브강 수로를 변경하는 것을 내용으로 한 다. 즉, 이 대안에 의하면 헝가리 없이도 Gabčikovo댐이 운영될 수 있는 것이다 (정진석,“Gabčikovo-Nagymar Project 사건과 조약법”,「서울국제법연구」제10 권 제2호, 서울국제법연구원(2003), 27쪽).
145) Case Concerning The Gabčikovo-Nagymar Project (Hungary v Slovakia)(1997. 9.
25), p. 13.
146) 박현석,“새로운 국제관습법규의 출현에 의한 기존조약의 개폐 문제 – 해양법 판 례의 검토를 중심으로 - ”,「국제법학회논총」제53권 제2호, 대한국제법학회(20 08), 78쪽.
뉴브의 수질을 보존하고 자연을 보호하기 위해 지속적인 의무를 부담하도록 규 정하고 있다. 법원은 특히 환경보호 분야에 있어서는 환경문제 특유의 회복할 수 없는 피해의 성격과 이러한 종류의 피해에 대한 배상의 한계성 때문에 경계 와 예방이 요구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동 법원은 더 나아가 새로운 활동을 고 려할 때뿐만 아니라 예전의 활동을 계속 수행할 때에도 환경을 고려하는 새로 운 원칙들을 적용해야 하고, 경제적 발전을 환경의 보호와 조화시켜야 하는 필 요성은 지속가능한 개발의 개념에 표현되어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