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

아 정체성 인식에 있어 적어도 카카오톡과 같은 미디어의 특징이 무시할 만한 수준은 아니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결국 프로필 사진을 구성 하기 위해 들이는 물리적, 비물리적 노력과 카카오톡상에 그것을 올리고 구경, 평가하는 일련의 행위 자체가 일상적, 의례적 형식을 띠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새로운 미디어 환경이 정체성 형성 방식에 영 향을 주고 있다는 것을 시사하며, 반복된 양식을 통해 행하는 정체성을 구성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프로필 공간을 중심으로 영상 중심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라이프 스타일을 공유하고, 타인의 삶을 습득, 평가하며 동시에 나의 삶을 기획 하는 비교 행위는 이러한 구성적이고 수행적인 정체성에 일조한다. 따라 서 디지털 및 터치, 스마트 환경에서의 미디어 활동은 일면 부정적인 측 면이 존재하지만 그러한 새로운 미디어의 물결이 우리의 성찰이나 정체 성 구성 방식에 있어 상당한 영향력을 끼치고 있는 것이다. 더욱이 공과 사의 영역이 미묘하게 겹쳐있는 카카오톡은 소셜미디어와 개인의 상호작 용을 이해하는 데에 있어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러한 이러한 카 카오톡의 영향력과 중요성에 대해서 인식하는 가운데 여전히 이러한 장 치에 의해 포섭될 수 있는 가능성의 경계 설정, 혹은 긍정적, 부정적인 영역에 대한 구분에 있어서는 더욱 세심한 관찰을 지속해야 할 것이다.

정성적인 연구방법에서 도출된 중요한 몇 가지 사항을 기반으로 설문 기 법 등을 활용한 정량적인 연구방법이 함께 병행된다면 프로필 사진 연출 행위의 미시적인 사용 행태에 대해서 정확히 분석할 수 있는 여지도 늘 어나고 더욱 강화된 주장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영상 언어에 익숙한 20대만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지만 가능하다면 아날로그적인 언어에 익숙한 그 이전의 세대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아 세대 간 비교연구를 한다면 지금의 영상 언어가 지니고 있는 특징을 더 뚜렷하게 기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연구대상을 설정하는 데에 있어서 유동적 현대성이 더 잘 드러날 수 있 는 집단을 물색해본다면, 작금의 자아정체성 구성 방식의 이해에 더욱 도움이 될 것이다.

셋째, 더 오랜 기간 동안 연구 참여자들을 충분히 관찰하여 질적인 깊 이를 두텁게 만들고, 그 과정에서 프로필 공간의 변화에 관한 기술적인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수집한다면 더욱 심층적인 프로필 연출 행위에 대 한 대답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카카오톡과 함께 많이 쓰이고 있으며 역시 프로필 사진 연출 행위를 수행할 수 있는 페이스북과 같은 여타 SNS도 분석하여 둘 의 이용 행태에 차이가 있는지, 있다면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 또한 그러한 차이 혹은 공통점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지를 고찰해본다면 미 디어상에서의 자아 표현 양상에 대해서 한층 더 깊은 이해를 도출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한계를 바탕으로 더욱 더 보완된 향후 연구가 이루어진 다면 공적인 장소인 프로필 공간에서 수행적인 자아를 구성하는 것이 현 시대의 미디어 이용과 관련해서 어떠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는지에 관 한 더욱 깊이 있는 고찰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위와 같은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카카오톡이라는 보편적인 미디어 장치상에서 통용되 고 있는 문법이 무엇인지 미시적으로 밝혀내고, 그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카카오톡상에서의 여러가지 프로필 사진 연출 행위를 통해 수행적으로 구성되는 실시간 자아의 면모를 들여다볼 수 있었으며, 카카오톡이 지니 고 있는 기술적․구조적 영향력과 그에 의해 구성되고 있는 자아를 통해

기술적 요인과 자아정체성 표현 및 구성 방식의 상관관계를 연결 지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흐름 속에서, 미디어 장치와 개인의 수행적 실천에 관한 이론적․실증적 연구의 추가적 인 보완을 통해 앞으로 더욱 풍성한 발견이 있기를 기대해 본다.

참 고 문 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