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2021년도 제29회 교육방송연구대회 작품설명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2021년도 제29회 교육방송연구대회 작품설명서"

Copied!
2
0
0

Teks penuh

(1)

[양식 5 : 클립형 영상학습자료 작품설명서]

2021년도 제29회 교육방송연구대회 작품설명서

주제 : 세상을 바꾸는 나의 목소리, 주민참여 소속기관 한결초등학교

직위 교사 성명 최규리

나래초등학교 김기원

1. 제작 동기

“학급회장 뽑았으니까 이제 학급회장이 알아서 잘하면 되지 않나요?”

어느 학급 회의 시간, 한 학생이 말했다. 선거에 대한 중요성은 잘 이해하였으나 이 제 자신의 의무를 다하였다는 듯한 태도에 무엇인가 잘못되었음을 느꼈다.

학교에서는 전학년에 걸쳐 선거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학급회장 및 전교 학생회장 선거, 선거 관련 계기 교육을 통해 학생들은 선거의 중요성을 깨우 친다. 그러나 이러한 선거 교육만으로 참된 민주주의가 완성될 수 있을까? 선거제도 외의 각종 주민참여에 대한 설명이 4학년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제시되고 있지만, 여건 등의 까닭에 지식 습득위주의 학습이 이루어지며 학생들에겐 실천 기회와 반성적 사고 의 기회가 충분히 제공되지 않는 듯하다. 선거는 창의적 체험활동 중 자치활동 등을 통 해서 참여 기회가 정기적으로 제공되어 그 중요성이 내면화되지만, 그에 비해 주민참여 는 그렇지 않다. 따라서 선거 이후 주민참여의 필요성을 고민하고, 일상 속 참여 방법을 알도록 하는 영상학습자료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본 영상을 제작하였다.

2. 제작 내용

가. 자료 특성

구 분 내 용

창의적인 면 Ÿ ‘주민참여’라는 주제에 초점

Ÿ 3D 애니메이션 영상을 제작함으로써 학생의 흥미와 호기심 유발

사용 방법

Ÿ 4학년 사회과 ‘지역의 공공 기관과 주민참여’의 단원 도입 및 동기 유발 자료로 교과 교육에 활용

Ÿ 전학년 대상 민주 시민 교육, 학급 자치 교육의 토론 및 토의 자료로 활용(줄거리의 전환점별 관련 토의 주제 제시)

간접민주정치에 있어서는 국민의 의사를 국정(國政)에 반영하는 길은 주로 선거(選擧)라는 제도 이다. 그러나 오늘날 선거에 의해 선출된 국민의 대표자[국회의원]는 국민의 의사와 거리가 먼 정 당(政黨)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있음으로써 국민들에게 정치에 대한 불신감을 한층 더 증대 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정치와 민의(民意)의 불일치 현상을 바로잡고, 대표 민주제의 비민주적 요 소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주민참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행정학사전, 2009. 1. 15., 이종수).

(2)

나. 제작 일정

단 계 기 간 활 동

자료 분석 및

시나리오 작성 20. 5.~20. 6. Ÿ 2015 개정 교육과정 및 선행 연구자료 분석 Ÿ 영상 시나리오 작성

영상 제작 20. 6.~20. 7.

Ÿ Blender3D 활용 캐릭터 및 배경 모델링 Ÿ Clova 활용 캐릭터 대사 및 내레이션 더빙 Ÿ Premiere Pro 활용 애니메이션 제작

자료 활용 20. 7. Ÿ 4학년 사회 교과 수업 및 민주시민 교육에 활용 수정 및 보완 20. 7.~21. 8. Ÿ 학생 및 동료교사의 피드백을 통해 보완점 수집

Ÿ 영상 줄거리 수정 및 자막 추가 일반화 21. 8.~21. 9. Ÿ 최종 시연 및 작품설명서 작성 다. 제작 역할 분담

최 규 리 자료 분석 모델링 편집 자료 활용 줄거리 수정 일반화

김 기 원 시나리오 작성 더빙 자료 활용 보완점

수집 자막 일반화

라. 제작 도구

목 적 도 구

3D 모델링 Blender 3D 2.8 삽화

(수첩, 일기장 등) Procreate 비디오 및

오디오 편집 Adobe Premiere Pro 2021 음성 더빙

(내레이션, 박쥐) Clova Dubbing 영상 제작

동영상 녹화 Captura

3. 기대 효과

본 영상은 초등교육과정 사회과 성취기준 ‘[4사03-06] 주민참여를 통해 지역 문제 를 해결하는 방안을 살펴보고, 지역 문제의 해결에 참여하는 태도를 기른다.’와 관련 되어 있다.

선거가 모든 문제의 해결 방법이라고 믿고 있던 주인공이 선거만으로는 문제가 해 결되지 않음을 느끼고 주민참여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이야기 전개로, 학생들이 자연 스럽게 주민참여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해 생각하도록 한다.

Referensi

Dokumen terkait

제작 동기 코로나19로 인해 학교 급식을 기피하는 학생과 학부모가 늘어나게 되었고 그에 따라 급식을 먹지 않고 하교하거나 학교 급식을 믿지 못해 개인 수저를 챙겨오는 학생들도 늘어나게 되었다.. 하지만 이 영상을 통해 친환경적이고 건강하며 위생적인 학교 급식 과정의 세부적인 정보 전달을 넘어, 안전하고 맛있는 학교 급식을

함부로 버린 쓰레기로 인해 동물들이 겪는 다양한 어려움을 동화 형식으로 풀어내어 쓰레기와 관련된 다양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본 영상을 통해 유아의 삶 속에서 환경문제를 미약 하지만 스스로 해결하고 대응하기 위한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길

학교 속 유니버설 디자인 실천하기 기획 의도 ▶학생들의 연기 활동을 통해 생활 속에서 유니 버설 디자인의 적용이 필요한 사례를 제시하여 필요성을 느끼도록 구성 ▶인포그래픽으로 유니버설 디자인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도록 구성 ▶유니버설 디자인의 7가지 원칙을 보다 쉽게 이해 하도록 애니메이션을 활용 하여 구성 ▶학생들 스스로

저작권 구분 제목이름 저작권 출처 음악 Hope by Ghostrifter - Cinematic - Drama 도입 모든 동영상에 사용 가능 plugnplaymusic Motivational Uplifting Cinematic Background Music 챕터 1,2 모든 동영상에 사용 가능

이에 교육연극을 활용한 영상학습자료 제작을 통해 우리 학생들도 자신의 삶 속에서 지 구환경 문제에 더욱 관심을 가지고, 작은 것부터 실천하고자 하는 의지를 키울 수 있는 기회 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반쓰레기통이 마법을 부려 분리수거를

‘네트형 경쟁 활동’의 하나인 배구형 게임을 지도하던 중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였는데, 핵심을 말하자면 배구형 게임이 아이들에 게 너무 어려웠고 수행능력에 따라 학생 사이에 큰 격차가 발생한다는 것이었다.. 배구공은 너무 작고 단단하여 능숙하게 사용하기 어려웠고 안전성에 문제도

다른 학생들도 이 영상을 통해 태극기를 그릴 수 있는지 스스로에 대해 생각해 보고 반성하며, 한 걸음 더 나아가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을 가질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이 영상을 보는 시청자들이 영상 속의 또래 학생들이 문제를 인식 및 해결하고 성장해 나가는 과정을 보며 이 문제에 대해 함께 생각해 볼 수 있도록 하는

이에 따라 선플과 악플을 판매한다는 주제를 설정해 학생들이 악플의 심각성을 느끼며 올바른 사이버 윤리의식을 가지고, 선플에 대해 알고 선플달기 운동을 실천할 수 있도록 영상을 제작하고자 한다.. 교육과정과의 분석 및 재구성 - 창의적 체험활동의 자율 시간에 정보통신 윤리교육에서 온라인 예절교육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