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식 5 : 클립형 영상학습자료 작품설명서]
2021년도 제29회 교육방송연구대회 작품설명서
주제 : 내가 버린 쓰레기, 어디로 갔을까?
소속기관 성안초등학교 직위 교사 성명 견우성
소속기관 개운초등학교 직위 교사 성명 김성기
작성 예시 1. 제작 동기
코로나19로 각종 배달 용기와 택배 포장재 등 쓰레기가 폭증하고, 매립지 유치로 인한 지역 간 갈등, 쓰레기 불법 수출 등 쓰레기로 인한 사회문제가 붉어지는 상황 속에 쓰레기를 줄이자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절약이라는 가치의 무게가 줄 어든 현재 학생들은 풍요로움이 빚어낸 쓰레기 문제의 심각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
이에 학생들이 쉽고, 흥미롭게 접할 수 있는 영상자료를 제작하여 학생들의 인식과 생활 태도에 변화를 가져오고자 제작하였다.
2. 제작 내용
가. 자료조사1) 인터넷 자료조사: 통계청, 울산시청 홈페이지 통계자료 2) 전문가 인터뷰
가) 환경공학 전문가: 울산발전연구원 김희종 박사
나) 환경단체 및 환경교육 전문가: 울산환경운영연합 이상범 사무처장 울산환경교육센터 김우성 팀장 부산자원순환시민센터 김추종 실장 다) 영상제작 전문가: UBC방송국 조민조 PD
울산시청자미디어센터 윤지수 주임 3) 현장 방문 및 촬영협조
: 울산광역시청 자원순환과
: 울산그린주식회사 정연범 관리부장 : 울산수질개선사업소 이상준 주무관
나. 스토리보드 작성
다. 내용구성
3. 기대 효과
가. 쓰레기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문제해결을 위해 실천할 것이다.
나. 나아가 다양한 사회 문제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참여하는 민주시민으로 성 장할 것이다.
단계 내용 비고
도입
쓰레기 관련 사회문제 기사 모음 - 쓰레기 매립지 관련 지역 간 갈등 - 쓰레기 불법 수출, 등
쓰레기로 인한 각종 사회문제 발생 인지 및 동기 유발
쓰레기에 관한 학생들의 인식 인터뷰 - 환경 보호 실천 생활에 대한 인식
- 내가 만든 쓰레기 양과 쓰레기 처리 과정에 대한 인식
쓰레기에 대한 학생의 인지 상태 파악
전개
종량제 봉투에 버린 쓰레기의 처리 과정
- 수거 및 폐기장 이동 ⇨ 폐기물 소각 ⇨ 매립
- 처리시 문제점: 매립지 부족, 님비 현상 우리가 쓰레기를 잘 처리하고 있다고 믿 고 있는 3가지 배출 방법이 능사는 아님 을 인지
분리배출 쓰레기의 처리 과정
- 수거 및 처리장 이동 ⇨ 선별 ⇨ 재생산 / 소각 - 처리시 문제점: 재활용률 저조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과정
- 수거 및 처리장 이동 ⇨ 분해 및 발효 ⇨ 자원 재생산 ⇨ 소각 / 폐수처리 - 처리시 문제점: 처리비용 과다
쓰레기 처리과정 및 문제점에 대한 학생들의 토론 - 잘 버리는 것보다 버리지 않는 것이 더욱 중요
- 내가 만든 쓰레기 양과 쓰레기 처리 과정에 대한 인식
잘 버리는 것보다 버 리지 않는 것이 더욱 중요함을 파악
정리
ZERO WASTE 5단계 안내
- 거절하기, 재사용하기, 재활용하기, 줄이기, 퍼트리기
초등학생이 실천 가 능한 내용으로 구성 하여 의지와 신념을 내면화
우리가 버려야 할 것은 쓰레기가 아니라 실천하지 않는 마음입니다. 구체적 실천의 강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