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도 제30회 교육방송연구대회 작품설명서
주제: 열 손가락으로 추는 춤, ‘핑거텃(Fingertut)’
소속기관 계룡초등학교
직위 교사
성명 이상혁
거제상동초등학교 교사 김도정
1. 제작 동기
춤이라는 움직임 표현이 화두가 되고 있는 요즘, 학교 내외에서 학생들의 소질과 적 성을 바탕으로 표현 교육에 대한 요구가 많아지고 있다. 하지만 교육현장에서는 좁은 교실이라는 한계로 인해 온 몸으로 자유롭게 움직임 표현과 리듬 표현을 교육하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표현 방법을 찾던 중, 춤 장르 중에 손가락과 손으로 표 현하는 ‘핑거텃’이라는 장르를 알게 되었다. ‘핑거텃’은 공간의 제약도 받지 않으며, 온몸으로 추는 춤만큼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여, 움직임 및 리듬 표현 교육에 있어 손 색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그래서 우리는 이 ‘핑거텃’을 알려서 선생님들과 학생들이 표현 교육에 대해 불편함을 해소하고 다양한 시도를 해볼 수 있도록 이 영상을 제작하게 되었다.
2. 제작 내용 가. 영상의 컨셉
본 영상은 스토리텔링 형식으로 제작하여 보는 학생들의 흥미를 돋우고자 하였 다. 춤을 좋아하는 한 학생이 교실이라는 공간 제약에 부딪혀, 움직임 및 리듬 표 현을 하기 어렵게 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고민하던 중, 핑거텃을 알게 되면 서 문제가 해결되는 스토리로 구성하였다. ‘핑거텃’에 관한 내용은 기본만 담았으 며, 가볍게 알아가며 따라하는 식으로 구성하여 교육현장에서 ‘동기유발’ 단계 또 는 ‘활동1’ 단계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후 ‘핑거텃’으로 노래에 맞게 동작 을 창작하기 등 활동을 구성하면 될 것으로 보인다.
나. 영상 흐름
구분 주요 화면 영상 설명
도입 - 등장인물에 대한 소개
- 춤을 좋아하는 학생 컨셉 형성
문제상황 - 학생이 교실이라는 공간의 제약 때문에
춤을 추지 못해 고민이 생김
핑거텃 소개 - 학생이 고민 해결을 위해 핑거텃의 세계로 가서 핑거텃에 대한 소개를 듣게 됨
핑거텃 기본동작
소개
- 핑거텃의 기본동작에 대한 설명 및 학습
핑거텃 다양한 표현
소개
- 핑거텃의 기본동작을 이용하여 움직임과 리듬 표현하기 학습
마무리 - 학생의 고민이 해결되고, 화면을 보며
핑거텃을 권유하며 영상이 끝이 남
3. 역할 분담
순 소속 성명 역할 분담
1 계룡초 이상혁 연구 주제 선정, 스토리보드 협의 및 작성, 사진 및 영상 촬영, 자막 일러스트 제작, 음향 및 자막 편집, 작품 설명서 작성 2 거제 상동초 김도정 연구 주제 선정, 스토리보드 협의 및 작성, 사진 및 영상 촬영,
제목 일러스트 제작, 영상 편집, 작품 계획서 작성
4. 개인정보동의
영상에 출연하는 모든 학생에 대해 영상 출연 관련 개인정보동의서를 받았음, 또한 영상에 출연하는 댄서(Z-BOX)분에 대해서도 개인정보동의를 받음.
5. 저작권 관련 확인
영상에 사용되는 일부 이미지 및 음원 파일(pixabay사)은 무료 파일을 사용하였음.
사용 범위에 대한 저작권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맞게 영상에 사용함.
폰트도 무료 폰트를 사용하였으며, 사용 범위에 대한 저작권 확인 후, 영상에 사 용함.
6. 기대 효과
가. 교사는 핑거텃을 통해 교육적 제약 없이 움직임과 리듬 표현을 가르칠 수 있을 것이다. 학생은 핑거텃을 통해 공간적 제약 없이 어디서든 움직임과 리듬 표현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길 것이다.
나. 비교적 쉽게 리듬 표현을 배울 수 있다. 손은 우리 신체 일부 중 자유롭게 움 직일 수 있는 부위이기 때문에, 음악을 듣고 즉각적으로 리듬 표현을 할 수 있다.
나. 핑거텃은 간단하지만 창의적인 표현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전 학년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저학년은 손을 이용하여 소근육을 발달 시키는 것에 중점을 두고, 고학년은 기본적인 동작을 다양하고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