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軍馬 充當을 爲한 洪武帝의 最初 對高麗 貢馬 强要

전통시대 중국의 漢族과 遊牧民族의 대립에서 전쟁의 승패를 좌우하는 여러 요소 중 말은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였다. 이미 漢 武帝 시기부터 匈奴와의 전쟁에서 말의 중요성을 깊게 깨달은 한 무제가 李廣利를 大宛에 파견해 汗血馬로 일컬어지는 大宛馬를 가져온 것은 매우 유명한 일화이다. 이 이후 중국의 역대 왕조는 馬政에 힘 을 쏟으며 군사력의 증강에 유의해왔다. 명초 북원과의 대립에서 홍무제 역시 말의 중 요성에 대해 여러 차례 언급하며 군마의 사육에 많은 힘을 쏟았다.29) 하지만, 홍무제 가 장악한 중원은 말의 양육에 그다지 유리한 조건이 아니었으며, 백성들 역시 농민 위주였기 때문에 군마의 조달에 심각한 차질을 겪었다. 거기에 연이은 전쟁으로 인한

29) “自古有天下國家者,莫不以馬政為重故問國君之富者,必數馬以對『周禮』六卿夏官,以司馬 為職,特重其事也……其下太仆寺諸牧監,各令脩職,毋怠所事”(『明太祖實錄』卷111, 洪武 10 년 4월 戊戌條)

中國史學會 第86回 學術發表會: 中國 社會와 文化의 歷史的 再照明

52

시기 명의

강요 고려

공마 비고

洪武 5年 (恭愍王 21 年,1372年) 3월

『명태조실록』에서는 “방물을 진공하였다(貢方物)”,

『고려사』에서 역시 “말을 진헌하였다(獻馬)”라고만 기록되어 있어 자세한 수량은 알 수 없다.(『明太祖實 錄』卷73, 洪武 5년 3월; 『高麗史』卷43, 『恭愍王世 家』7, 공민왕 21년 3월 甲寅條)

말의 소모는 명의 군마 결핍 현상을 더욱 가속화하였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하 여 홍무제는 여러 가지 방법을 강구했다. 기존의 牧監들을 통합·발전시키는 과정에서 홍무 6년에 전문적으로 마정을 담당하는 太僕寺를 정식으로 설치하였다. 홍무 7년에는 목감과 群官 27處를 증설하여 태복시의 관할에 두는 등 지속적으로 규모를 확장해 나 갔다.30) 한편으로는 사방으로 사신을 보내 馬市를 열어31) 말을 사들였지만, 이 또한 명의 고질적인 말 부족 현상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는 없었다.

군마 충당의 문제에 시달리던 홍무제는 고려를 떠올렸다. 주지하다시피 元 世祖 至 正 10年(1273년), 원 세조는 고려의 林衍을 소탕한다는 명목으로 耽羅, 즉 제주도를 점 령하여 屯鎭을 설치하고 1700명의 군인을 이주시켰다.32) 이로써 제주도는 원의 직접 관할지와 중요한 말 사육지 중 하나가 되었다. “元은 耽羅를 牧馬의 들판으로 삼았 다”33)라는 사실을 잘 알고 있는 홍무제는 고질적인 군마 결핍을 해결할 방안으로 제 주에 눈을 돌리게 되었다. 홍무 7년(공민왕 23년, 1374년), 홍무제가 고려에 대량의 말 을 요구한 최초의 기사가 등장한다.

戊申, (홍무제)황제께서 禮部主事 林密과 孳牧大使 蔡斌을 파견하여 왔다. 中書省의 咨 文에 이르기를 “‘……나는 고려국에 전에 원나라 조정이 말 2∼3만 필을 濟州에 남겨 두고 사육하였으니 많이 번식하였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중서성은 사람을 파견하여 문서를 가지 고 가서 고려 국왕에게 이 뜻을 전하여 알게 하고, 그에게 좋은 말 2천 필을 골라 보내게 하여라’라고 하셨다” 그리하여 門下評理 韓邦彦을 耽羅에 보내서 말을 가져오게 하였다.34) 위의 홍무 7년 기사는 사료 상에서 찾아볼 수 있는 홍무제의 대고려 공마에 관한 최초의 기록으로, 이는 조선 초기까지 지속되었다. 홍무제가 고려에 강요했던 공마에 관한 기록은 아래의 표와 같다.

표1. 高麗末 洪武帝의 貢馬 强要와 高麗의 進馬35)

30) 『明史』卷74, 『職官志』2, 「太僕寺」

31) “太祖起江左,所急惟馬,屢遣使市於四方”(『明史』卷92, 『兵志』4)

32) “(至正十年)六月,平之,於其地立耽羅國招討司,屯鎮邊軍千七百人”(『元史』卷208, 『耽羅列 傳』)

33) 『明太祖實錄』卷162, 洪武 17년 5월.

34) 『高麗史』卷44, 『恭愍王世家』7, 공민왕 23년 4월 戊申條.

35) 『高麗史』와 『明太祖實錄』 사료 정리. 홍무 7년, 홍무제가 고려에 공마 2000필을 강요한 것 을 제외하고는 공민왕대에 명이 공마를 요구했던 기록과 그 수를 찾아볼 수가 없다. 자세한 원 인에 대해서는 본문 참조.

明初 對高麗 强壓策: 洪武帝의 貢馬 强要 (林常薰)

53

4월 6

8월 17

11월 50

洪武 6年 (恭愍王 22 年,1373年)

6월

『명태조실록』에서는 “방물을 진공하였다(貢方物)”,

『고려사』에서 역시 “다시 말을 진공하였다(復貢馬)”

라고만 기록되어 있어 자세한 수량은 알 수 없다.(『明 太祖實錄』卷86, 洪武 6년 12월 丙寅條; 『高麗史』卷 44, 『恭愍王世家』7, 공민왕 22년 6월 辛卯條)

7월 말 19

나귀 2

10월

원래 말 24필, 노새 2필을 진공하기 위해 배를 타고 떠 났으나, 靈光 慈恩島에서 배가 침몰하여 진공하려던 말 은 물론 당시 正使였던 周英贊 등 역시 익사하여 일부 만 생환하였다.(『高麗史』卷44, 『恭愍王世家』7, 공민 왕 22년 10월 乙酉條)

洪武 7年 (恭愍王 23

年,1374年) 4월 2,000

9월 甲子, 密直副使 金義가 공마 300필을 호송하나 12 월에 명의 孶牧大使 蔡斌 살해하고 북원으로 도주하여, 공마 300필도 북원에 갔을 가능성이 크다.

9월 甲申 공민왕 시해.

洪武 8年 (禑王 元 年,1375年)

3월 100

9월 50

洪武 9年(禑王

2年,1376年) 9월 歲馬 歲馬라고만 기록되어 있는 것은 여러 사료를 통해 본 바 50필일 가능성이 크다.(『明太祖實錄』卷170, 洪武 18년 1월 戊寅條)

洪武 10年 (禑王 3

年,1377年) 10월 60

12월에 홍무제는 고려 賀正使 沈德符와 金寶生에게 명 하여 고려에게 막대한 조공을 바치게 하였다. 홍무제의 이러한 강요는 홍무 12년 3월에서야 고려에 알려지게 되었다.(『明太祖實錄』卷117, 洪武 10년 12월)

洪武 11年(禑 王 4年,1378

年) 4월 60

洪武 12年 (禑王 5

年,1379年) 10월 매해

1,000 200 3월에 명 사신을 죽인 죄를 면하려면 약속한 세공을 바 치라고 협박, 金 一百斤, 銀 一萬兩, 良馬 百匹, 細布 一 萬을 요구

洪武 13年(禑 王 6年,1380

年) 12월 450

洪武 14年(禑 王 7年,1381

年) 11월 933

洪武 15年(禑 王 8年,1382

年) 4월 1,000

洪武 16年 (禑王 9

年,1383年) 5,000 밀린 5년치 조공품 진상 강요(말 5천필, 금 5백근, 은 5 만냥, 포 5만필)

洪武 17年 (禑王 10 年,1384年)

5월 1,000 금 대신 말로 공납(은 300백냥, 금 50냥=말 1필) 6월 2,000

8월 1,000

10월 1,000 명의 말 교역 요구 1,233 금과 은을 말로 대납 洪武 18年

(禑王 11

年,1385年) 9월 5년치 조공품 완납 후 공민왕의 諡號와 우왕의 承襲 인 정

中國史學會 第86回 學術發表會: 中國 社會와 文化의 歷史的 再照明

54

12월 1,066 66필은 금과 은 대신 洪武 19年

(禑王 12 年,1386年)

9월 50 조공의 경감

12월 5,000 홍무제의 말 교역 요구(재상의 말은 1필 당 段子 二匹, 緜布 四匹; 관과 백성의 말은 段子 一匹, 緜布 二匹) 3,000 교역(大緜布 八匹, 段子 二匹)

洪武 20年 (禑王 13 年,1387年)

6월 1,000 교역(上等 段二匹, 布八匹; 中等 段一匹, 布六匹; 下等 段一匹, 布四匹)

9월 9월 나하추 명에 투항

16 洪武 21年

(禑王 14 年,1388年)

5월 명의 철령위 설치와 고려의 요동정벌,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 당시 고려의 군마 21682필.

12월 환관과 말 요구

洪武 23年 (恭讓王 2

年,1390年) 9월 50 洪武 24年

(恭讓王 3

年,1391年) 4월 10,000 말 1만 필과 환관 2백 명 요구 洪武 24年

(恭讓王 3

年,1391年) 5월 2,000

총계 23,000 말

16,360

나귀 2 이중 4000필은 교역으로 명에서 교역해 간 것이다.

여기에서 주의할 점은 사료 상으로 볼 수 있는 기록은 위의 홍무 7년의 기사이지만, 실제로 홍무제가 고려에 공마를 강요한 것은 홍무 5년부터이다. 사료 상으로는 기록을 찾아볼 수 없지만, 홍무 5년 이전 고려는 명에 공마를 진헌한 적이 없으며, 5년 이후 많은 수는 아니지만, 명에 꾸준히 공마를 진공했던 사실 등에서 이를 추측해 볼 수 있 다.

예부상서 吳季南을 보내 말을 진헌하게 하였다. 비서감 劉景元을 宥旨別監 兼 揀選御馬 使로 삼아 계남과 함께 탐라에 가게 하였다.36)

고려 국왕 王顓(공민왕)이 禮部尙書 吳季南, 民部尙書 張子溫 등을 보내 表, 貢馬 및 方 物을 바쳤다.37)

상술한 홍무 5년의 두 기사는 고려에서 명에 최초로 진헌한 공마에 관한 내용이다.

먼저 위에 있는 『고려사』의 기사를 통해 볼 때 고려에서 탐라, 즉 제주도로 사신을 보내 徵馬하려고 했음을 알 수 있으며, 아래에 있는 『명태조실록』의 기사에서는 같 이 보내온 表에 고려의 탐라 정벌을 청하는 간략한 내용을 살펴볼 수 있다. 이 표의 자세한 내용은 4월 壬寅의 『高麗史』 기록에 상세하게 나와 있으며, 이 중에는 특기 할만한 내용이 등장한다.

36) 『高麗史』卷43, 『恭愍王世家』6, 공민왕 21년 3월.

37) 『明太祖實錄』卷75, 洪武 5년 7월 庚午條.

明初 對高麗 强壓策: 洪武帝의 貢馬 强要 (林常薰)

55

임인, 민부상서 장자온을 京師에 보내 탐라 토벌을 청하였다. 표문에 이르기를 “……

貢獻의 기한이 늦어진 것은 본의가 아닙니다. 금년 3월에 예부상서 오계남을 탐라에 보내 마필을 싣고 서울에 와서 바치려고 하였습니다.……韃靼 牧子 등이 먼저 보낸 秘書監 劉景 元, 濟州 牧使 李用藏, 判官 文瑞鳳, 權萬戶 安邦彦 등을 모조리 살해하고 오계남이 도착하 였을 때에도 먼저 상륙한 弓兵 3백여 명을 모두 살해하였습니다.38)

“공헌의 기한이 늦어진 것은 본의가 아니다”라는 기사는 홍무제가 이전에 고려에게 공마를 강요했음을 알 수 있는 결정적인 단서이다. 이에 고려는 유경원 등을 제주도에 보내 말을 싣고 고려 王京에 간 후 그것을 명의 京師에 보내려 했었지만, 원의 구세력 에 의해 살해되고 다시 보낸 오계남마저도 살해당할 뻔하여 기한이 늦어졌던 것이다.

여기에서 비록 사료 상으로는 보이지 않지만, 홍무제가 제주 혹은 고려의 말 진헌을 요구하였고, 이에 고려는 명에 바칠 말을 모으기 위해 탐라에 남아있는 舊元 세력의 정벌을 奏請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홍무 6년 홍무제가 고려의 공마 진헌이 늦어진 다고 강력하게 힐책하는 기사에서 홍무제가 고려에 공마를 강요했던 시기를 추측해 볼 수 있다.

7월 임자, 贊成事 姜仁裕, 同知密直司事 金湑, 成元揆, 版圖判書 林完 및 洪師範, 書狀 官 鄭夢周 등이 京師에서 돌아왔다. …… (12월) 20일, 早朝 시 奉天門 아래에서 宣諭를 들 었다. “…… 제주의 마필은 오늘 온다, 내일 온다하며 1년을 끌었다”39)

홍무 5년에 명에 있었던 강인유 등은 그 해 12월에 위와 같은 홍무제의 힐책을 들 었다. 특히 “1년을 끌었다”라는 말에서 사료의 부재로 정확한 수량을 알 수는 없지만, 홍무 5년 전후로 홍무제가 고려에 공마를 강요했음을 알 수 있다.

홍무제가 한 번도 고려에 요구한 적이 없던 공마를 홍무 5년에서야 갑자기 요구했 던 원인은 당시 명의 정세에서 찾아볼 수 있다. 즉, 홍무 5년은 홍무제가 徐達을 대장 군으로 15만 대군을 파견하여 북원에 대한 대대적인 정벌, 즉 嶺北之役을 실시한 해였 다.40) 명은 漢唐 이래 완성되지 못 한 역사적 대업을 이루기 위해 徐達·李文忠·馮勝을 장군으로 15만 대군을 준비하였다.41) 이러한 대군이 출정할 때 대량의 軍馬가 필요했 음은 쉽게 생각할 수 있다.42) 평소에도 군마의 공급 부족에 시달리던 홍무제가 대전 을 앞둔 시기에 戰馬를 충당하기 위해 고려에 말을 요구했을 가능성은 적지 않아 보 인다.

38) 『高麗史』卷43, 『恭愍王世家』6, 공민왕 21년 4월 壬寅條.

39) 『高麗史』卷44, 『恭愍王世家』7, 공민왕 23년 7월 壬子條.

40) 이 전쟁에서 명군은 대패하며, 기존의 몽골에 대한 대대적인 공세를 주장하던 무신들의 주장에 서, 문신들의 만리장성을 경계로 방어에 치중하는 성격으로 돌아서게 되었다고 보기도 한다.(唐 豐姣, 「洪武至宣德時期明朝對蒙古的經略」(『中央民族大學 博士論文』, 中國 北京; 中央民族大 學, 2010), p. 72)

41) 『明太祖實錄』卷71, 洪武 5년 正月 庚午條.

42) 한 연구에 의하면 명초 대규모 군단을 파견할 때 최대 30만필 이상의 말이 소요되었다고 한 다.(吴仁安, 「明代马政概述」(『安徽师大学报』3期, 中国 安徽; 安徽师范大学, 1983), p. 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