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만주 경제 발전의 문제

만주문제의 역사적 근원에 대해서는 중국, 일본, 서양 등 관점에 따라 차이가 있지 만 청일과 러일전쟁 그리고 세계전쟁이 문제의 기원과 발전에 영향을 미친 것에 대해 서는 모두 동의하였다.18) 일본은 만주문제를 역사와 사실의 문제로 파악하였으므로 이를 규명하여 IPR회의에서 日滿 관계의 합리성과 그 진가가 발휘되기를 희망하였 다.19) 일본은 역사적으로 지리적으로 만주와 관계가 깊고, 정치적 권리와 경제적 이익 이 있으며 문화적으로 성취한 바가 있는데, 양자의 관계는 경제적 활동에서 중요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운수체계도 깊은 관련이 있다고 하였다.20)

IPR참가자 중에는 미국의 월터 영(C. Walter Young)처럼 역사적으로 만주문제의 현상을 개관하면서 개인과 국민 차원의 관심을 촉구하는 자도 있고, 그린(R. Greene) 처럼 추상적인 정의보다는 실현가능한 정치문제를 다루자고 제기하기도 하고,21) 문호

13) “The Problems of Manchuria”, J. B. Condliffe, eds., p. 154; 蠟山政道, 앞의 글, 229-230쪽.

14) 蠟山政道, 앞의 글, 230쪽.

15) IPR “Manchuria” Report of Round Table No. 1, Nov. 5, 1929 (Leader: James. G. McDonald), 第三回太平洋問題調査会大会支那問題円卓会議議事録 其ノ二/(満州問題), B10070179900, p. 409.

(이하 B10070179900)

16) IPR “Manchuria” Report of Round Table No. 1, Nov. 6, 1929 (Leader: James. G. McDonald), B10070179900, p. 416.

17) 稣上达,祁仍奚编,앞의 자료, 68쪽에서는 11월 4일과 5일 원탁회의에서 중국 치외 법권 철폐 와 조차지 취소 문제를 논의했다고 하였다.

18) IPR “Manchuria” Report of Round Table No. 3, Nov. 4, 1929 (Leader: Newton W. Rowell), B10070179900, p. 465.

19) 半澤玉城, 「日滿關係と太平洋會議」『外交時報』596號,52卷, 1929年 4期, 2쪽.

20) Masamichi Royama, “Japan's position in Manchuria”, J. B. Condliffe, eds., p. 524, p. 529.

中國史學會 第86回 學術發表會: 中國 社會와 文化의 歷史的 再照明

68

개방정책이나 만주문제가 세계평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을 두기도 하였지만,22) 만주 의 현상과 실상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구체적인 지식이 없고 일반적으로는 관련 예비 지식이 결여되어 있어서23) 실질적인 이권 당사자인 중국과 일본 사이에서 주로 논의 되었다.

먼저 만주의 경제발전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에 대해 IPR본부는 ‘만주는 거대하게 집중된 경제 발전의 meeting place’24)라고 인식하였고, 일본의 松岡洋右는 과거 20년 간 만주의 경제적 발전, 인구증가, 주민번영은 일본통치 효과라고 보았다. 국가적 안보 를 고려하면서 만주의 경제성장을 이끌기 위한 목적과 방향이 분명하였다는 것이다.25) 또한 일본이 효과적으로 평화를 보증하고 철로가 확대되어 만주로의 중국인 이주가 증가하면서 무역도 급격히 발달하였음을 증명하기 위해 국제무역항인 營口(牛莊)의 개 항을 들었다. 개항 당시 만주는 인구도 거의 없고 부분적으로 시베리아와 모피무역 하 는 것을 제외하면 현대 세계와 접촉이 되지 않은 곳이었다. 북경정부는 만주 개발을 장려하지 않았고 만주 이민도 금지시켰지만 철도가 건설되면서 무역량의 변화로 만주 경제가 달라지기 시작했음을 강조하였다.26)

자국 이익에만 집중한 러시아와 달리 일본은 남만주를 차지하고 중동철도를 연결시 켜 세계에게 개방하여 만주의 번영을 가져왔다27)고 하면서 만주의 중국인 인구도 지 난 20년간 2배가 되었고, 만주의 외국 무역액도 증가했음을 사례로 들었다.28) 또한 철 도는 중국이 아니라 러시아로부터 받은 것이며 거대한 투자를 통해 철도를 발전시켰 으므로 약탈한 것은 아니라고 강조하였다.29)

실질적인 경제발전을 증명하는 통계도 제시하였는데, 중국 세관이 처음 개설된 1907 년을 100이라 하면 1925년 중국은 226이고 만주가 534, 1926년에는 중국이 261.1 만주 는 618.8이고, 1927년에는 중국이 264. 1 만주는 634.5, 1928년에는 중국이 279.0 만주 는 737.7이었으므로 이러한 결과는 일본이 만주에서 유용한 역할을 한 효과라고 보았 다.30) 통계 수치의 변화를 보면 중국에서 제시한 자료에서도 중국과 만주에서 외국과 21) R. Greene 발언. IPR Report of Round Table No. 1, Nov. 4, 1929 (Leader: James. G.

McDonald), B10070179900, p. 402.

22) 영국의 Webster 발언. IPR, The Manchurias Question, Round Table No. 1. Nov. 3, 1929 (Leader: James. G. McDonald), B10070179900, p. 400.

23) 蠟山政道, 앞의 글, 231쪽.

24)“The Problems of Manchuria”, J. B. Condliffe, eds., p. 158.

25) Yosuke Matsuoka, ibid, p.1.

26) Yosuke Matsuoka, ibid, p.2.

27) Yosuke Matsuoka, ibid, p.3.

28) Yosuke Matsuoka, ibid, pp.4-5. p. 7에 무역액의 변화로 영국은 1898년 168척의 161,000톤에서 1928년 556척의 2,700,000톤이었고, 미국은 1898년 4척의 2400톤에서 1928년 127척의 50만 톤을 운수하였다고 하였다.

29) IPR "Manchuria" Report of Joint meeting Round Table, No. 2, Nov. 5, 1929 (Leader: Rt.

Hon. Viscount Lord Hailsham), B10070179900, pp. 450-451.

30) IPR "Manchuria" Report of Round Table, No. 4, Nov. 6, 1929 (Leader: Roland Boyden), B10070179900, p. 536와 “The Problems of Manchuria”, J. B. Condliffe, eds., p. 172에서는 1927 년 만주가 654로 표기 되었다. 松岡洋右, 「支那の滿洲論を駁す」, 新渡戶稻造編, 앞의 저서,

창과 방패의 딜레마: 중국과 일본의 만주 논쟁 (박선영)

69

의 무역량이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중국의 전체 무역량은 1907년-1927년 사 이에 69.9에서 198.4로 3배가 안되게 증가한 것에 반해 만주는 27.1에서 328.3으로 12 배 넘게 증가하였는데 이는 중국보다 4배 빠르게 증가31)하였다. 일본은 중국과 만주 의 경제적 차이가 이상과 같음에도 불구하고 특이성이 없다고 평가할 수 있는가를 반 문하였다.32)

비록 일본도 러시아처럼 자국의 이익을 위해 남만주를 개발하였지만 결과적으로 타 인에게도 상당한 이익이 창출되었다고 하였다. 타국은 일본이 제공한 항구 시설과 철 도를 활용하였고, 일본 군대의 존재로 안정과 번영을 누렸으며, 근대도시건설, 병원시 설 등 일본이 제공하는 혜택을 받았다고 주장하였다.33) 물론 만주의 발전 가능성으로 타국도 직간접적으로 만주에 투자하여 만주 발전과 번영에 기여34)하였다. 만약 일본 이 특정 야심이 있었다면 중국인의 계속적인 만주 이주를 장려했을까35)라고 반문하였 다.

중국 徐淑希는 일본이 만주 경제 발전에 도움이 되었을까에 의문을 표시하고 중국 이 일본에게 너무 많은 것을 지불했다고 하면서36) 전체적으로 효과적인 시스템을 만 들어 가는 것이 중국 미래에 더 중요하다고 하였다.37) 그의 견해38)는 다양한 자료에 서도 살펴볼 수 있는데, 만주의 지정학적인 위치로 자연스럽게 평화가 형성된 것이지 일본의 힘 때문이 아니며, 일본군대가 만주에 주둔하면서 오히려 내란이 일었고 중국 을 희생 제물 삼아 일본이 이익을 얻었다고 강조하였다.39) 만주의 급속한 인구증가는 만주에 신개척지와 미개간지가 많이 있었던 경제적 사실에 기초한 것이지 일본이 만 주를 개발하고 치안을 유지했기 때문이 아니라고 반박하였다.40) 만주의 무역액이 증 258-259쪽; Yosuke Matsuoka, Reply to Prof. Shuhsi-Hsu's Criticisms and Observations, Third Biennial Conference Institute of Pacific Relations, 1929, p.18.

31) Chu Hsiao, ibid, pp. 399-400.

32) 稣上达,祁仍奚编,앞의 자료, 87쪽.

33) Yosuke Matsuoka, ibid, p.6.

34) Yosuke Matsuoka, ibid, p.7. 영국은 북경과 심양라인을 개설하면서 남만주철도에 차관을 주었 고, 남만주철도는 미국에서 장비를 구매하였고, 러시아는 중동철도를 만들었으며, 프랑스는 자금 을 지원한 것에 대해 언급하였다. “The Problems of Manchuria”, J. B. Condliffe, eds., p. 157.

예를 들어, 영국은 1898년 만리장성 북쪽의 山海關에서 新民屯 철로선에 자본을 투입하였다. 이 철로는 일본에 의해 瀋陽까지 연결되었다가 1907년에는 중국에 귀속되었다. 이러한 교통발달은 러시아, 중국, 일본 인구가 몰려들 수 있도록 만들었다.

35) 小川節, 앞의 글, 31-32쪽.

36) IPR "Manchuria" Report of Joint Meeting Round Table, No. 2, Nov. 5, 1929 (Leader: Rt.

Hon, Viscount Lord Hailsham), B10070179900, p. 449.

37) “The Problem of Manchuria”, J. B. Condliffe, eds., p. 203.

38) 徐淑希, ‘支那社會政治學會ニ於ケル報告演說’, B-10-1-0-3_005, p. 71. “동삼성의 치안유지는 지 리적인 관계에 기인한 것이고 인구증가는 관내 인구의 조밀함에 기인한 것이며, 상업 발전은 일 반적인 상황으로 동삼성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동삼성 개발계획에 대해 일본은 어떠한 원 조도 하지 않았고 오히려 파괴하였다.”

39) 稣上达,祁仍奚编,앞의 자료, 85쪽.

40) Chu Hsia, ibid, p. 399. 중국과 만주 경제 무역액 차이가 있음을 통계적으로 증명하고 있다. 松 岡洋右, 「支那の滿洲論を駁す」, 256쪽.

中國史學會 第86回 學術發表會: 中國 社會와 文化의 歷史的 再照明

70

가한 것도 전중국의 외국무역액이 전체적으로 성장한 일부분에 불과하고 일본이 만주 에서 경제개발을 한 결과가 아니므로 만주에 한정 시켜서 독특한 현상이라고 볼 필요 가 없다고 하였다.41) 일본은 중국을 위해 한 푼의 돈도 지불하지 않았다고 강조하였 다. 이와 더불어 일본이 중국과 협력하지 않았던 사례로 法庫門철도의 사례를 들면서 일본의 만주 철도의 독점적인 운영을 비난하였고 특히 타협에 의한 토지 조차 자유 등의 권리를 담은 21개조의 문제점을 들어 일본을 비난하였다.42)

일본은 러일전쟁후 일본이 북경정부와 만철병행철도를 부설하지 않겠다는 조약을 체결하였는데 북경정부가 한편으로는 일본과 조약을 체결하고 다른 한편으로 영국 자 본가와 손을 잡고 法庫門 철도를 계획하여 일본과 경쟁하게 하는 행위는 일본에 대해 서는 국제적 신의를 위배하는 행위이고 영국에 대해서는 사기행위이므로 일본이 반대 한 것이라고 반박하였다.43)

중국은 만철에서 간접적인 이익을 얻을 뿐 제대로 된 보수를 받고 있지 못하다는 주장에 대해 일본은 사실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하면서 만철의 이익이 중국인 월급이 나 다른 항목으로 지출되고 있다고 반박하였다. 더불어 중국이 영토를 보존할 능력이 없기 때문에 일본이 생존을 위해 10여만을 희생하고 20억의 돈을 쓰면서 러일전쟁에 참전하여 승리하였는데, 이때 중국은 한 푼의 군비도 내지 않았다고 하면서 이러한 희 생은 금전으로 계산할 수 없는 것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만주문제는 러일전쟁으로부터 생각하지 않으면 해결할 수 없다44)고 강조하였다.

미국 대표 콜맨(Coleman)은 “일본 군대가 만주에서 정치적으로 영토 주권을 침해 하고 외국자본 유입을 허락하여 철도 및 항만 발달을 저해하고 문호개방 정신에 반한 다고 하는 중국의 고발은 본질적으로 사실”45)이라고 하였다. 조선인 T.H. Yun은 유대 인이 팔레스타인으로 갔듯이 조상의 땅인 만주로 간 조선인의 존재가 만주의 문호개 방과 만주 발전에 주된 공헌을 했다고 강조하였다. 그런데 조선인이 어디를 가나 중국 인이 제대로 대우하지 않았고 안전에도 위협을 받았다고 하였다.46) 중국인은 특히 벼 농사에서 조선인의 기여를 인정하면서도 조선인의 귀화여부와 이중국적 문제가 만주 문제를 복잡하게 만들었다고 주장하였다.47)

중국은 “일본이 동청철도에서 권익을 취한 것처럼 순전히 경제적인 이유 외에 정치

41) Yosuke Matsuoka, Reply to Prof. Shuhsi-Hsu's Criticisms and Observations, p.17; 稣上达,

祁仍奚编,앞의 자료, 87쪽.

42) 小川節, 앞의 글, 32쪽; “The Problems of Manchuria”, J. B. Condliffe, eds., p. 197; Shuhsi Hsu, ibid, p. 486; 小川節, 앞의 글, 31-32쪽.

43) 稣上达,祁仍奚编,앞의 자료, 87-88쪽.

44) IPR "Manchuria" Report of Joint Meeting Round Table, No. 2, Nov. 5, 1929 (Leader: Rt.

Hon, Viscount Lord Hailsham), B10070179900, p. 451; 稣上达,祁仍奚编,앞의 자료, 88-89쪽.

45) Norman F. Coleman, ‘1929年12月8日モーニング オレゴニン紙所報’, B-10-1-0-3_005, p. 38.

46) IPR "Manchuria" Report of Round Table, No. 4, Nov. 6, 1929 (Leader: Roland Boyden), B10070179900, p. 537, p. 543, p. 557.

47) IPR "Manchuria" Report of Round Table, No. 4, Nov. 6, 1929 (Leader: Roland Boyden), B10070179900, p. 5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