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조약상 근거 유무와 권리남용의 논쟁

중일간 문제를 발생시키는 조약상 권리는 조차지, 남만철도, 철도연선, 철도수비군, 영사관경찰, 거주, 무역, 내지 토지 조차권, 새로운 철도와 항구 건설 등이 있다.62) 중 일양국은 조약규정을 자기 편의대로 해석하고 자기 논설의 근거로 삼기도 하였는데, 중일간 현상을 둘러싼 해석상의 갈등은 권리의 남용 여부와 만철부속지 행정권의 정 당성 여부 그리고 영사경찰권 해석에 대한 문제로 압축할 수 있다.

소위 만주문제로 나열되는 수많은 사안에 대해 중국은 3가지 근거를 들어 일본을 비난하였는데, 첫째, 만주의 일본 권익은 조약 규정을 엄밀하게 해석한 것이 아니므로 명백하게 위반했거나 혹은 권리를 남용한 것이다. 둘째, 만주에서 일본의 권익 중 관 동주 조차지는 별개라고 해도 일본이 장악하고 있는 만철부속지의 행정권은 조약이

洋右, 「支那の滿洲論を駁す」, 254쪽.

56) Yosuke Matsuoka, Reply to Prof. Shuhsi-Hsu's Criticisms and Observations, p.16.

57) 稣上达,祁仍奚编,앞의 자료, 86쪽.

58) 松岡洋右, 「支那の滿洲論を駁す」, 256쪽.

59) C. Walter Young, “Chinese Colonization in Manchuria”, J. B. Condliffe, eds., p. 429.

60) C. Walter Young, ibid, p. 440.

61) C. Walter Young, ibid, p. 445.

62) IPR “Manchuria” Report of Round Table No. 1, Nov. 5, 1929 (Leader: James. G.

McDonald), B10070179900, p. 409.

창과 방패의 딜레마: 중국과 일본의 만주 논쟁 (박선영)

73

인정하지 않는 정치적 권리로 통치권의 발로 또는 행사일 뿐이다. 셋째, 일본이 치외 법권으로 해석한 영사관경찰 문제63)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권리 남용 여부이다.64) 먼저 중국이 주장한 일본의 만주에서의 권익은 조약 규정에 의해 엄밀하게 해석된 것이 아니므로 명백하게 위반했거나 혹은 권리의 남용 이라는 것에 대해 일본도 근거를 들어 강력하게 반박하였다.65) ① 일본의 만주에서의 활동이 조약상 규정에 근거하지 않았다는 중국의 주장에 대해, 일본은 만주를 중국영 토의 불가분의 일체라고 인식하기 어렵다고 하였다.66) 이러한 논쟁에 대해 훈수를 둔 미국의 퀸시 라이트(Quincy Wright)는 만주가 중국의 일부라는 것에 대해서는 이미 몇 차례 일본정부가 영토보존(Territorial Integrity)을 문자적으로 성명하였고 조약상 에도 명확하므로 토론의 여지가 없다고 하였다.67)② 외국 정부가 중국 영토 내에서 정부소유의 철도를 부설하는 것은 명백하게 조약의 취지에 반하는 것으로 중국 주권 의 침해라는 것에 대해, 일본은 만주 문제에 대해 추상적인 주권론을 말하는 것은 실 상에 부합하지 않고 역사적으로 보았을 때 만주에서의 중국 주권 행사는 고려해 보아 야 할 성질이라고 하였다. 중국은 만철이 실질적으로 일본정부의 소유라고 비난한 것 에 대해, 일본은 러일전쟁 후 포츠머스 조약의 연혁을 무시한 것으로 기술적으로 본다 면 중국도 주주이고 개인으로 일본인도 주주가 되었는데 일본의 한 상사회사인 만철 을 단순히 정부 기관이라 인식하는 것은 오해라고 하였다. 미국의 월터 영은 만철은 실질적으로 일본정부 회사라는 것은 의심스럽다고 하였는데 이런 설명에 대해 일본은 수긍하는 자세였지만, 중국은 그렇게 간주하지 않았다.

둘째, 일본의 만주 권익에 대한 조약상 근거 유무이다. 중국은 관동주 조차지는 별 개로 하지만 만철부속지의 행정권 사용은 조약상 근거가 없는 것으로 정치적 통치권 의 발로 혹은 행사로 보았다. 즉, 중국은 중동철도 건설 및 경영에 관한 조약 제6조 제2항 소위 철도 연선의 토지에 관한 절대적이고 배타적인 행정권이 있다는 규정에 관하여 제한적으로 해석하여 주로 철도경영상 필요한 것에 관련된 것으로 한정하려고 하였다. 따라서 만철부속지의 경찰, 교육, 우편 등 행정시설은 당연히 규정을 원용할 수 없다는 것이다. 또한 영사관 경찰의 조약상 근거에 대해, 田中내각 당시 만주 치안 유지에 관한 국제법상 근거, 撫順 및 기타 지역에서 광산채굴권과 광산회사의 토지 관 리권과 조약상의 근거를 따졌다. 여러 원탁회의에서 논의된 만주 문제에 대해 대체적 으로 일본은 만철부속지 행정권에 대해 조약규정을 광의로 해석하여 조차지의 행정권 과 유사한 것으로 이해하면서, 일반적인 중국의 專管거류지 행정권 보다 더 강한 것이

63) 蠟山政道, 앞의 글, 233-236쪽.

64) “The Problems of Manchuria”, J. B. Condliffe, eds., p. 181. 1905년 포츠머스 조약의 행정권 (the right of administration)에 대한 해석이다.

65) 蠟山政道, 앞의 글, 233쪽.

66) 그러나 만주가 중국영토라는 것에 대해서는 회의 참석자 대부분이 인정하였다. “The Problems of Manchuria”, J. B. Condliffe, eds., p. 175.

67) IPR “Manchuria” Report of Round Table No. 3, Nov. 4, 1929 (Leader: Newton W. Rowell), B10070179900, p. 468; 蠟山政道, 앞의 글, 234쪽.

中國史學會 第86回 學術發表會: 中國 社會와 文化의 歷史的 再照明

74

라고 주장하였지만, 이에 대해 중국은 승복하지 않았다. 그러나 미국은 天津, 上海의 전관거류지와 성격 차이가 없다고 보았고, 캐나다는 자국의 철도 사례를 원용하여 외 국철도가 타국의 영토 내에서 토지를 소유하는 것이 불합리한 것은 아니라는 일본 입 장에 동의하였다. 미국 하우란드(Charles P. Howland)는 조약체결 후 일본이 소유한 시가지 행정권에 대해 관심을 보였다.68)

셋째, 영사관경찰에 대한 해석이다.69) 영사관 경찰에 대해 일본은 만주내지의 치안 실상에 근거하고 국제법과 기타 법리적 해석을 통해 실질적인 권익 옹호를 위한 치외 법권으로 해석하였다. 광산채굴권과 토지관리권도 마찬가지로 일본을 위한 것으로 해 석하였지만, 중국은 이를 인정하지 않고 일본이 법적으로 군사적으로 남용했다고 하였 다.70)

중국은 일본의 침략주의에 대해 공격하면서 만주의 중일분쟁이 조선문제로 출발하 여 갈수록 악화되었다고 하였다. 일본이 중국의 통일정책과 철도건설 및 경제활동을 방해하였으며, 만철 부속 관동주 조차지외에 영사경찰권 행사나 우편국 설치가 부당했 던 것, 일본인이 중국인의 권리를 침해하여 양국의 감정을 상하게 하였던 것, 일본의 만주 병력 주둔이나 소위 21개조 문제 등을 설명하였다.71) 일본은 만주에서의 권익이 역사적 산물이라는 것과 그 근거로 각 조약에 주목하였지만 중국은 그런 조약의 효력 을 부인하면서 인류의 주권론, 만철의 경제적 경영 즉, 일본의 병력 주둔권 및 기타 정치적인 권리 포기를 요구하였다.72)

일본은 만주에서의 권리에 대해 역사적인 정당성이 있음을 주장하지만, 중국은 역사 적 배경을 도외시 한 채 일본의 만주에서의 활동이 조약상 근거가 없거나 범위를 일 탈하여 중국의 주권을 침해했다고 주장하였다. 중국은 1915년 중일교섭에 의한 조약이 역사적으로 보면 조약의 무효 또는 부존재라고 주장하였다. 또한 일본인의 만주 장악 이 경제적 활동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라고 하면서 우편국 설치; 철도지역, 관동주조차 지 이외에 영사경찰권을 시행하였고, 재만 일본인 행동이 중국인 권리를 침해하여 감 정을 상하게 하였다고 했다. 또한 일본의 정치적 활동이 중국 통일을 방해하였고73) 만철을 통해 만주에서 중국의 철도부설과 경제적 활동을 방해하였다고 하였다.74) 따 라서 鐵道駐兵權, 郵政權, 영사관경찰과 같은 개별적인 사항에 대해 일본의 권리가 존 재하기 않거나 위반한 것이라고 주장하였다.75)

이상에서 볼 수 있듯이, 각 사안마다 중국과 일본의 견해차가 커서 냉정하게 논의하

68) 蠟山政道, 앞의 글, 235-236쪽.

69) “The Problems of Manchuria”, J. B. Condliffe, eds., pp. 191-197.

70) 蠟山政道, 앞의 글, 236쪽.

71) 稣上达,祁仍奚编,앞의 자료, 76-78쪽; 松原一雄, 「太平洋會議に就ての所感」『外交時報』601 號,52卷, 1929年 4期, 13쪽.

72) 松原一雄, 앞의 글, 14쪽.

73) “The Problem of Manchuria”, J. B. Condliffe, eds., p. 190.

74) 小川節, 앞의 글, 30-31쪽.

75) 蠟山政道, 앞의 글, 231-232쪽.

창과 방패의 딜레마: 중국과 일본의 만주 논쟁 (박선영)

75

기 어려웠다. 일본은 중국의 주장이 주관적이고 감정적이어서 회의분위기를 격동시켰 다고 하면서 일본이 주장하는 적극정책(positive policy)을 중국은 영토적 세력확장책 (territorial aggrandizement)76)으로 규정한 것을 사례로 들었다. 일본인은 만주경영의 실상이 러시아 남하를 막아 동양의 평화를 보존하는 평화정책으로 보지만 중국인은 이를 불신하여 양국민 간에 갈등을 초래하는 근본 원인으로 보면서 개선책을 제시하 기도 하였다. 즉, 일본이 세력확장 개념을 버리고, 치외법권을 남용하지 말 것이며, 철 도부속지의 통치권적 행정을 포기하고, 철도부속지 경찰 및 군대를 철병하여 중국인으 로 대체하고, 문호개방 정책을 철저하게 실시하라는 것이다.77) 이에 대해 일본 松原, 松岡은 田中내각의 적극적인 정책이 세력 확대 정책이나 침략 정책으로 비난당하는 것을 변호하면서 중국이 오해한 것이라고 설명하였다.78)

중일간의 상호 비난이 회의 분위기에 영향을 미치자 미국의 킬패트릭(William H.

Kilpatrick)은79) 조약에 동의하여 전제가 된 사태를 인정한 이상 그 외 발생한 것은 사소한 사건(mere incident)에 불과하다고 하면서 개인적 정의(individual justice)의 문 제로 돌렸는데, 헤일샴(Hailsham)은 ‘personal injustices’80)로 표현하기도 하였다.

문호개방에 대한 개념에도 상호 해석의 차이가 크므로 월터 영은 문호개방의 정의 가 서로 다르므로 ① 무역에서의 기회 균등 유지 ② 만주에서 행정권 통합의 보전이 라는 개념하에서 논의해야 한다고 하였다. 중국은 일본이 문호개방에 대해 협소한 개 념을 가지고 있다고 하면서 영미의 어떤 개별적인 투자도 적용시키지 않았다고 비판 하였다. 일본은 경제적 이익은 정치적 이익을 불러 오기 때문인데, 문제는 일본의 국 가정책과 국제적인 태도를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가에 달려 있다고 하였다.81)

전체적으로 본다면, 중국은 과거의 정치적 상황과 변화를 역설한 반면, 일본은 역사 적 배경과 결합하여 일본 주장을 가장 확고하게 뒷받침한 근거의 하나로 판단하였다.

철도수비대나 철도부속지 통치권 행정에서 볼 수 있듯이 과거부터 지배해 오던 역사

76) “The Problems of Manchuria”, J. B. Condliffe, eds., p. 177; 陳立廷의 경우는 침략정책(policy of aggression)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였다. 蠟山政道, 앞의 글, 238쪽.

77) IPR “Manchuria” Report of Round Table No. 2, Nov. 4. 1929 (Leader: Rt. Hon. Viscount Lord Hailsham), 중국 Dr. Bau의 발언내용. B10070179900, pp. 439-440; 蠟山政道, 앞의 글, 237-238쪽. 高石眞五郞, ‘「太平洋會議ニ例シテ」ト題スル論文要領’, 『東京日日新聞』 1929年11 月11日以降連載, , B-10-1-0-3_005, p. 139. 일본은 중국측 주장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① 21개조약은 부당한 압박에 의해 체결되었다. ② 철도 수비병의 수비 범위를 자의적으로 넘어 중 국의 주권을 침해하였다. ③ 만철부속지의 일본경찰은 부속지 이외에서 사법권을 남용하였다. ④ 일본은 만철과 병행하는 중국측의 철도 부설을 반대하였다. ⑤ 일본은 일본 이외에 중국에 대 한 투자를 반대”하였다.

78) 小川節, 앞의 글, 30-31쪽; 蠟山政道, 앞의 글, 238쪽.

79) 蠟山政道, 앞의 글, 239-240쪽. 그는 만주문제 토론의 주된 논점을 전략적 지위, 철도분쟁, 개인 적 정의, 남만주에서 일본의 경제적 지위, 문호개방정책, 행정통치, 동지철도, 9개국조약 실행문 제, 경찰, 조약상 근거로 정리하였다.

80) IPR Report of Round Table, No. 2. Nov. 5, 1929 (Leader: Viscount Lord Hailsham), B10070179900, p.442.

81) IPR “Manchuria” Report of Round Table No. 3, Nov. 5, 1929 (Leader: Newton W. Rowell), B10070179900, pp. 477-4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