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중국의 운명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은 몽골을 포함하여 다른 지역이 아니라 바로 만 주지역166)이다. 중국의 국가적 문제를 형성하는 만주문제는 중국은 물론이고 러시아 뿐만 아니라 미국과 영국도 상당히 관심을 가졌지만 무엇보다도 중국과 일본이 이권 을 두고 첨예하게 갈등하였다. 세계 정치의 난관이기도 한 만주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는 중국과 일본 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에서도 관심을 갖는 문제이기 때문에 IPR회 의를 통해 논의하였던 것이다. 만주문제로 어떠한 충돌이 발생할 수 있을지 또 이러한 충돌이 국제 관계를 증진시키면서 해결될 수 있을지167)에 대해 실마리를 찾아보기 위 한 것이다. 무엇보다도 IPR회의에서 만주문제를 논의한 것은 만주가 중국과 일본, 러 시아 한테만 직접적으로 중요한 것이 아니라 전체 세계와도 관련이 되기 때문이다. 왜 냐하면 세계는 평화를 원하는데 만주는 세계 평화를 위험에 빠트릴 수 있기 때문에 심각하게 고민해야 한다는 것이다.168) 즉 심각한 갈등이 있는 문제는 평화와 안정을 위해서라도 구체적으로 논의되어 평화를 되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제3차 IPR회의 중 격렬하게 논의되었던 만주문제는 중일간 만주인식의 차이가 얼마 나 큰 것인가를 여실히 보여 주었다. 만주 경제 발전의 요인, 치안유지 문제, 조약상 근거 유무와 권리 남용의 문제 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논의하였지만 어떠한 사안에 대해서도 일치점을 찾기 쉽지 않았다. 이는 자연스럽게 만주문제 해결방안에 대해서도 이견으로 드러났다. 물론 상설적인 화해 조정 위원회 구성에 대해서는 의견이 일치하 였지만 그 전제로서 21개조 폐기 선언 등을 주장한 중국의 의견은 또 다시 일본과 다 를 수 밖에 없었다.

중국은 일본이 만주에서 행사하는 정치권이 부당하다고 강조하고 일본은 불가피한 자위책이라고 주장하자 영국 미국 등의 나라는 양국 국민의 심리를 이해할 필요가 있 다고 강조하였다. 일본은 러일전쟁에서 일본이 중국을 대신 희생하여 러시아를 물리쳤 기 때문에 권리가 있다고 하면서 중국의 병력이 약하기 때문에 일본이 만주에 주둔하 는 것은 일본 국방상 필요하다고 보았다. 중국은 러일조약에 규정하고 중일조약에서 승인한 것이 이외에 일본은 만주에서 어떠한 권리도 없음에도 일본 국방상의 필요로 타국에 병력을 둔다는 것은 황당무계한 소리라고 치부하였다.169)

만주의 중요성이 부각되면 중국과 일본은 정면충돌할 운명이지만, 냉정하게 문제의 본질을 검토한다면 양국 사이에 근본적인 이해 충돌이 없다고 인식하는 일본은 대만 주 정책의 출발점이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그러면서도 일본과 중국이 양국 국민의 생활문제를 기반에 두고 만주문제를 논의한다면 상호 충돌하지 않고 협 166) Shuhsi Hsu, ibid, pp. 473-474.

167) 「自上海至長崎途中」; 稣上达,祁仍奚编,앞의 자료, 204쪽.

168) IPR “Manchuria” Report of Round Table No. 3, Nov. 5, 1929 (Leader: Newton W. Rowell), B10070179900, p. 477.

169) 稣上达,祁仍奚编,앞의 자료, 96-97쪽.

中國史學會 第86回 學術發表會: 中國 社會와 文化의 歷史的 再照明

90

조할 수 있는데, 중국은 노동력을 일본은 기술과 자본 및 경영을 공급할 수 있다170)고 평가하였다. 이러한 일본의 의견에 중국은 동의할 수 없었다.

이상과 같이 어떠한 방패도 뚫을 수 있는 창과 어떠한 창도 막을 수 있는 방패를 가진 중일 양국은 서로의 합일되기 어려운 논쟁을 계속하면서도 화해 무드를 조성하 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만주문제 해결이 불가능한 것임을 잘 알 고 있음에도 이런 딜레마를 활용한 논쟁을 통해 국제사회에서 양국의 국익을 최대화 시켜 나가는 이익을 취하고자 하였다. 한편 IPR을 포함한 서구 열강은 만주가 중일만 의 문제가 아니라 세계의 만주문제임을 각인시키면서 만주의 문호개방을 통해 모두가 참여하는 만주문제로 만들어 나가고자 하였다. 시대적으로 만주의 전략적, 경제적 위 상이 부각될 때마다 창과 방패로서의 만주 논쟁은 단지 제3회 IPR 논의에서 그치지 않고 만주에서의 딜레마 그 자체를 활용하면서 역사적 의의를 새롭게 되새김질해 나 갈 것이다. 만주의 지경학적, 지정학적, 전략적 중요성이 살아 있는 한 말이다.

170) 長野朗, 「太平洋會議と支那問題」『外交時報』598號,52卷, 1929年 4期, 60-61쪽.

토론문

장 세 윤 (동북아역사재단)

新文化運動의 基源으로서 歐事硏究會의 國內活動計劃

—『甲寅雜誌』의 廣告를 중심으로

이 상 구 (계명대)

Ⅰ. 머리말

Ⅱ. 국내 활동을 위한 計劃과 方法

Ⅲ. 『正誼雜誌』에 대한 원조계획

Ⅳ. 明明編譯社와 泰東圖書局의 합병계획

Ⅴ. 亞東圖書館과 群益書社의 공존관계

Ⅵ.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