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학업 관련 연구들은 학업 최우수 학생들의 학습전략 및 학 업적 자원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본 연구는 자칫 학업 성취 결과로만 비춰지고, 지나쳐 버릴 수 있는 학업 최우수 학생들의 학업 적응과정에 서의 주관적인 경험의 내용을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면밀히 들여다보고, 학업 최우수 대학생들의 경험하는 현상과 여기에 대처해나가는 과정 및 관련된 요소들을 통합적으로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통 해 학업 최우수 학생들의 학업 적응과정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 고, 실체적 이론을 구성하였다. 이는 향후 여러 가지 적응상의 어려움으 로 상담실을 찾는 서울대 학업 최우수 학생들이 자신의 경험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상담실문자들에게는 이들의 적응을 도울 수 있는 자료로 기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즉, 학업 최우수 학생들 이 상담에 찾아온다면 이들의 보다 특수한 경험에 초점을 맞추어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학업 최우수 학생들의 경우에는 이미 학업 전략적인 측 면에서는 훌륭하기 때문에 다른 부분에서 이들을 조력할 방법이 필요할 것임을 알 수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서울대 학업 최우수 학생들을 하나의 동질 집단으로 써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진로 목표의 구체성 정도와 학업의 의미를 내 재화하는 정도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나눠질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 다. 각 유형의 특성이 다르므로 이에 따라 대학과 상담센터에서는 지원 책을 모색하고 준비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이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보 인다. 같은 수준의 학업 성취 결과를 보이더라도 이들의 인생 스토리는 각자 다르기 때문에 학점의 높고 낮음보다는 학업을 얼마나 혹은 자신의 삶을 얼마나 주체적으로 살아가는지 여부가 학업 상담에서도 중요할 것 으로 보인다. 또한 이러한 유형 구분이 실제로 잘 기능하지 여부를 향후 연구에서 확인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셋째, 대학에서의 학업 상담의 주제를 넓히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학업 상담과 최우수 대학생들을 대상으 로 하는 학업상담은 주로 학습전략에 초점을 두어 결과나 성취를 높이기 위한 목적에 집중되어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전략이 뛰어나고, 학업 성 취 결과가 우수한 학생일지라도 주관적인 행복감은 낮을 수 있다. 초등 학교부터 평생에 이르기까지 한국사회의 학업에 대한 높은 관심과 한 사 람의 인생에 미치는 학업의 영향을 생각해 볼 때 개인의 학업 과정에서 의 경험하는 주관적 행복감, 소진 등 학업 하는 주체를 둘러싸고 있는 보다 깊고 다양한 주제에까지 학업 상담의 주제가 확대되어 연구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생각해볼 수 있다.
넷째, 학업 최우수 대학생들의 학업 적응과정에 대한 연구는 이후 학 업 상담에서 학업에 어려움을 경험하는 대학 신입생들에게 경험적인 자 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들의 학업 적응을 돕는데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성적이 좋은 학업 최우수 학생들조차 대학에서 의 학업 적응과정에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것을 보면 그렇지 않은 학생들일 경우에도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을 것임은 자명해 보인다. 많은 대학생들이 학업 적응과정에서의 어려움을 혼자만 경험하는 것은 아니라 는 것을 알게 된다면, 이들이 느낄 수 있는 고립감과 소외감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이들의 학업 적응과정을 도울 수 있는 학교 차원의 적극적인 학사 지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학업 상담이 보다 활성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 구성을 살펴보면 여학생 14명, 남학생 3명이 참여하였고, 전공은 인문계 12명, 이공계 5명 이 참여하였다. 본 연구가 여학생, 인문계의 비율이 더 많기 때문에 결 과에서 남학생과 이공계 학업최우수 학생들의 경험을 충분히 담고 있지 못할 수 있다. 이후 연구에서는 남녀 혹은 계열 간의 차이가 있는지 여 부를 살펴볼 필요가 있어 보인다.
둘째, 본 연구의 이론 도출을 위해 사용된 주요 자료는 연구참여자와 의 면담자료였다. 연구참여자를 다양화하고 이를 관련 전문가들을 통해
타당화했으나, 자료의 삼각검증법, 예를 들어 면담 이외 질적 연구 도구 인 관찰, 문서 등을 활용하거나, 주변 친구, 교수, 가족을 통해 자료를 얻는 방법을 활용하였다면 더욱 풍부한 질적 연구가 되었을 것이다. 따 라서 이후 질적 연구에서는 다양한 출처의 자료를 포함한다면 더욱 신뢰 로운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참 고 문 헌
강예지, 김미현, 송승원 (2019). 일개 의과대학 의예과 학생의 대학생활 초기 어려움에 대한 질적 연구. 교육문화연구, 25(5). 10.24159/joe c.2019.25.5.349
김계현, 김혜란, 손진희, 이상균, 이지수 (1995). 서울대학생의 학업성취과 정. 서울대학교 학생연구, 30(1), 18-37
김동일, 오헌석, 송영숙, 고은영, 박상민, 정은혜 (2009). 대학 교수가 바 라본 고등교육에서의 대학생 핵심역량. 아시아교육연구. 10(2), 1 95-214. http://hdl.handle.net/10371/89189
김명찬 (2013). 학업실패를 경험한 서울대학교 학생의 적응과정 분석. 서 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http://hdl.handle.net/10371/120739 김은영 (2017). 학업성취 우수 대학생의 학습의미에 따른 학습동기 및 학
습전략 연구. 교육학연구, 55, 121-142.
김정희 (1979). 학사징계 학생의 면접결과 보고. 서울대학교 학생생활연 구소.
김지연 (2014). 전문상담교사의 직업 적응과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https://s-space.snu.ac.kr/bitstream/10371/120692/1/000 000021559.pdf
김창대 (2009). 인간변화를 촉진하는 다섯 가지 조건에 관한 가설: 상담 이론의 관점에서. 인간이해, 30(2), 21-43. http://210.101.116.15/kis s5/download_viewer.asp
라영안 (2011). 학업 최우수 대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 요인에 관한 분 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http://hdl.handle.net/10371/
157176
박승민 (2005). 온라인게임 과다사용 청소년의 게임행동 조절과정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http://dcollection.snu.ac.kr:80/js 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2386
박승민, 김광수, 방기연, 오영희, 임은미 (2012). 근거이론 접근을 활용한
상담연구과정. 서울: 학지사.
서덕희, 민혜리 (2009). 고등교육에서 질적 수월성이란 무엇인가?: 한 명 문대학교 학부생들의 “공부”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아시아교 육연구, 10(2), 51-101. http://hdl.handle.net/10371/89185
서울대학교 평의원회 (2018). 서울대학교 학생복지 현황 및 발전방안. 서 울대학교.
신정철, 정지선, 신택수 (2008).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와 그 영향요인들 간 의 인과관계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6(1), 287-313. http://keas.or.
kr/0070/upload/journal_data/13.%EC%8B%A0%EC%A0%95%EC%B2%
A0.pdf
신종호, 신태섭, 권희경 (2004). 학업수월성에 대한 귀인 유형의 탐색적 연구. 교육심리연구, 18(4), 261-277. https://www.dbpia.co.kr/journ al/articleDetail?nodeId=NODE06763526
신혜진, 김창대 (2002). 스트레스 대처 전략 검사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 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4), 919-935. http://www.dbpia.co.
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6369386
양흥권 (2015). 학업성취 우수 대학생의 학습역량 사례연구-학습동기와 학습행동 영역을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1(1), 103-140. http://
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426723
오충광 (2016). 대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자기조절학습이 학업성취와 학업 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기일치모형의 적용. 청소년학연구, 23(1), 449-473. 10.21509/KJYS.2016.01.23.1.449
유기웅, 정종원, 김영석, 김한별 (2012).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서울: 박 영스토리.
이명애 (2006). 자아개념이 대학생들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탐색. 교 육평가연구, 19, 161-181. http://scholar.dkyobobook.co.kr/searchD etail.laf?barcode=4010019951659
이영철 (2014). 근거이론의 근거에 대한 음미: 방법론과 방법. 한국정책과 학학회보, 18(1), 187-214.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
etail?nodeId=NODE02399133
이창기, 안신호 (1975). 서울대 학사징계 학생의 생활 배경상의 특징에 관한 일연구, 서울대학교 학생연구, 12(1), 1-20.
이혜정 (2014). 서울대에서는 누가 A+를 받는가. 서울: 다산에듀.
이혜정, 성은모 (2011). 대학교육에서 대학생 중심의 교수설계를 위한 최 우수 학습자의 학습특성 및 학습전략 탐색. 교육공학연구, 27(1), 1-35. 10.17232/KSET.27.1.1
임효진, 선혜연, 황매향 (2016). 교육심리학. 서울: 학이시습.
하혜숙, 임효진, 황매향 (2017). 학업적응에서 끈기 (Grit) 와 목표의식, 성실성, 탄력성의 역할. 상담학연구, 18(1), 371-388. 10.15703/kjc.
18.1.201702.371
정성훈 (2011). 사람을 움직이는 100가지 심리법칙. 서울 : 케이앤제이.
정승아 (2004). 다차원적 자기불일치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정신 건강연구, 23, 85-91.
전은희 (2017). 학벌주의 정체성에 대한 내러티브적 이해: 서울대생의 사 례를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20(3), 103-148. 10.17318/jae.201 7.20.3.004
전호정 (2017). 상위권 대학 학생들의 반복적 학사경고 경험에 관한 연 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https://s-space.snu.ac.kr/bit stream/10371/136947/1/000000145719.pdf
최선주, 한숭희, 이병훈, 이정희, 장성연 (2012). 시험형 인간으로 살아가 기: 입시경쟁체제에서 형성된 아비투스가 추동하는 삶. 아시아교 육연구, 13(1), 73-103. http://hdl.handle.net/10371/89361
하혜숙, 임효진, 황매향 (2017). 학업적응에서 끈기 (Grit) 와 목표의식, 성실성, 탄력성의 역할. 상담학연구, 18(1), 371-388. 10.15703/kjc.
18.1.201702.371
황매향 (2016). 사례에서 배우는 학업상담의 실제. 서울: 사회평론아카데 미.
황매향, 장수영, 유성경 (2007). 학업우수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애착과
학업적 실패내성과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21(4), 1029-1046. http 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6763691 황매향, 선혜연, 정애경, 김동진, 김영빈 (2010). 학업우수 학생들의 잠재
수월성 회복 경험. 아시아교육연구, 38, 83-111. http://scholar.dky obobook.co.kr/searchDownload.laf?barcode=4010023160717&artId=1 0047348&gb=pdf&rePdf=pdf
허재홍, 조용래 (2005). 자기 불일치와 사회불안이 대학생의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인지행동치료, 5(2), 85-100.
홍성연 (2016). 대학 신입생 적응 지원을 위한 교육요구 분석. 교육종합 연구, 14(1), 271-295. https://www.earticle.net/Article/A268962 Ames, C., & Archer, J. (1988). Achievement goals in the classroom: Stu
dents' learning strategies and motivation processes. Journal of E ducational Psychology, 80(3), 260. https://doi.org/10.1037/0022-066 3.80.3.260
Amirkhan, J. H. (1990). A factor analytically derived measure of coping:
The Coping Strategy Indicato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9(5), 1066–1074. https://doi.org/10.1037/0022-3514.59.
5.1066
Anderson, L. E. (1994). A new look at an old construct: Cross-cultural a dapt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18(3), 293-328. https://doi.org/10.1016/0147-1767(94)90035-3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 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https://doi.org/1 0.1037/0033-295X.84.2.191
Bandura, A. (1986). The explanatory and predictive scope of self-efficac y theory.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4(3), 359-37 3. https://doi.org/10.1521/jscp.1986.4.3.359
Bandura, A., & Cervone, D. (1986). Differential engagement of self-reac tive influences in cognitive motivation. Organizational Behavi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