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이외에 근거이론의 주요 분석 방법인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연구 자료 분석에서 설명하였다.

고, 자발적으로 참여 의사를 밝힌 학생들 가운데 선정 기준에 부합한지 다시 한 번 확인하여 대상자를 선정하고 면담을 실시하였다. 질적 연구 의 경우, 자료를 수집하는 동시에 분석이 진행되며, 이상적으로는 새로 운 범주가 등장하지 않으면 자료 수집을 중단한다. 본 연구에서도 자료 수집 후 곧바로 전사하여 내용을 분석하는 과정이 동시에 진행되었다.

이렇게 축적된 자료들은 다음 참여자와의 면담을 진행할 때, 연구의 질 문의 초점을 보다 명확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이러한 지속적 비교 분석법(Corbin & Strauss, 1990)을 통해 새로운 범주가 등장하지 않는 범 주의 포화 상태에 이르러 면담을 중단하였다.

넷째, 자료 분석 및 글쓰기 단계이다. 질적 연구에서 본격적인 자료 분석은 면담이 완료된 후에 진행된다. 본 연구에서는 Strauss &

Corbin(1998)이 제시한 개방 코딩(open coding), 축코딩(axial coding), 선 택 코딩(selective category)의 순서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연구 결과를 신뢰롭고 타당하게 도출하기 위해 근거 이론 연구 경험자, 방법론의 전문가, 지도교수와의 지도 및 자문을 수시로 진행하였다. 또 한 연구 참여자에게 내용을 확인하여 사실적 가치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 하였다. 이상의 전체적인 연구 흐름을 정리하면 다음 [그림 2]와 같다.

연구 주제 선정과 연구 계획 수립 : 서울대 최우수 학생의 학업 적응과정 연구

문헌고찰 후 연구문제 수립

연구참여자 선정 기준 마련

① 1·2학년 4학기 평점이 인문계 4.0이상, 이공계 3.8이상인 학생

② 교내·외 장학금을 받은 학생

③ 서울대 재학 중인 학생

④ 단, 예체능계열은 제외함

질문지 개발 및 질문지 수정 보완

§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질문지 개발

§ 예비조사를 통해 질문지 수정

서울대 생명윤리위원회 심의

§ 심의 신청 및 연구 승인 IRB No. 2006/002-026

자료수집

§ 모집 공고문을 통해 참여자 모집

§ 선정 기준에 적합한 참여자 면담 실시 및 자료 녹음

§ 수집과 동시에 분석

자료분석

§ 면담 내용을 전사 후 분석

§ Strauss & Corbin(1998)이 제시한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 코딩의 순서로 분석

결과 및 논의

§ 서울대 최우수 학생의 학업 적응과정에 대한 이론적 모형 제시

§ 학업 적응과정에 영향을 준 요소 추출

§ 연구의 타당성 평가

§ 결과 및 논의 작성

[그림 2] 본 연구의 진행 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