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게시판 공고문에는 IRB 승인 번호와 함께, 연구과제명, 연구의 목적, 참여자 조건, 자발적인 참여 철회 안내와 참여시간 및 횟수, 참여 시 사 례에 대한 내용들을 모두 명시하였다. 위의 게시판을 통해 모집된 19명 의 참여자 가운데, 기준 부합 여부, 사례의 전형성과 포화상태를 고려하 여 최종적으로 17명의 참여자가 자료에 포함되었다.

2) 참여자 선정 기준

본 연구는 서울대 입학하여 1·2학년 시기에 학업 최우수 학점을 받 은 학생들의 학업 적응과정을 연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므로, 기준에 부합하는지를 선명하게 보여줄 수 있는 참여자들을 선정하기 위해, 다음 과 같은 준거(criterion)를 설정하였다.

① 대학교 1, 2학년 4학기 가운데 최소 2학기 이상 우수학점을 받은 학생(인문계 평점 4.0이상, 이공계 평점 3.8이상의 학점)

② 경쟁을 통해 선정되는 학교 내·외부 성적 장학금을 받은 학생

③ 서울대에 재학 중인 학생

④ 단, 예체능계열은 제외함

이상과 같은 기준을 설정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입생 때의 학업 적응을 면밀히 탐색하기 위해 1,2학년 4학기 를 기준으로 최소 2학기 이상 우수 학점을 받은 경험을 준거를 설정하였 다. 학업 최우수 학생의 선행연구(라영안, 2011; 이혜정, 성은모, 2011)를 참고하여 인문계 학생들의 경우에는 최우수 학점의 기준을 평점이 4.0(A) 이상으로 하였다. 이공계의 경우, 서울대 공대 우수학생센터인

‘공우’의 지원 자격 조건(전체 평점 3.7 이상, 전공 평점 3.8 이상)을 참고하여 평점 3.8 이상으로 설정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학업 최우수 학생들의 학업 적응 과정을 보고자 하였

다. 따라서 학점 및 기타 학술 능력을 검증받아 선정되는 학교 내·외부 장학금을 받는 학생들은 ‘학업 최우수 학생’이라는 주제를 매우 극명 하게 드러낼 수 있는 기준이 되고, 전형적인 사례가 될 수 있으므로 이 를 준거로 포함하였다.

셋째,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 가운데 신입생 때 학업 적응 과정에서 개인의 심리사회적 경험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참여자의 현재 관점에 따라 생략되거나 잊혀지거나, 변형된 기억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박승민, 2005), 졸업생은 포함하지 않고, 현재 재학 생으로 참여자 기준을 제한하였다.

넷째, 실기 위주로 수업과 평가가 이루어지는 예체능계 대학생은 전공 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본 연구에서 탐색하고자 하 는 연구 문제를 고려할 때 비전형적인 사례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사례의 전형성을 고려(Goetz와 LeCompte, 1984)하여 연구 참여자 기준에서 제외 하였다.

3) 연구 참여자 특성

이론적 표본 추출의 원칙에 따라 자료 분석에 포함된 17명의 참여자 들의 특성은 다음 <표 1>과 같다. 면담 당시 모두 서울대에 재학 중이었 으며, 성별 분포는 여학생 14명, 남학생 3명이었다. 입학년도는 2014년부 터 2019년까지 분포되었으나, 연구 당시 2학년인 2019학번이 7명을 가장 많았으며, 2018학번이 3학년이 6명으로 그 뒤를 따랐다. 전공 분포를 살 펴보면, 인문계 12명(경영대 2명, 사범대 4명, 인문대 2명, 자유전공 2명, 생활과학대 2명) 이공계 5명(공대 3명, 수의대 1명, 치의학 1명)으로 모집 되었다. 이들의 1·2학년 시기 평점은 2학기 이상 해당 기준을 모두 넘 은 것으로 확인했지만, 평점 분포는 사람에 따라 다양했다. 이들의 입학 전 경험을 알기 위해 출신고를 살펴보았는데 일반고가 8명, 외고 4명, 영재고 2명, 자사고 2명, 과학고 1명 순이었다.

<표 1> 참여자 정보

참여자

번호 성별 학부 입학

년도 수혜장학금

1 경영대 2018 교내성적우수 2 경영대 2014 인문백년

3 자유전공 2019 관악회·교내성적우수 4 공대 2018 대통령과학

5 치의학 2018 교내성적우수

6 사범대 2018 교내성적우수·다다장학기금 7 인문대 2017 교내성적우수

8 사범대 2018 청관·사범대동창회·인문백년·교내성적우수 9 공대 2018 대통령과학

10 공대 2019 교내성적우수 11 자유전공 2019 외부 장학재단 12 인문대 2019 교내성적우수 13 사범대 2019 송원장학재단

14 사범대 2015 동곡·천재교육·교내성적우수 15 생과대 2019 관악회

16 수의대 2017 양천장학회·교내성적우수 17 생과대 2019 교내성적우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