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후 면담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가 오류를 양산하는 원인을 교수·학습의 원인, 모국어의 영향에 의한 원인, 목표어의 영향에 의한 원인으로 나누어 제 시하였다.

IV장에서는 한국어교육 기관들의 학습 목표를 바탕으로 터키 인 한국어 학 습자를 위하여 교육 목표를 세웠다. 한국어·터키 어 양태부사 대조분석 및 학습자 오류 양상을 바탕으로 터키 인 학습자들을 위하여 한국어 양태부사 교육 내용을 마련하였다. 마련한 내용을 의미 및 통사적 차원에서 이해·표현 이 용이한 양태부사, 의미적으로 이해가 쉽지만 통사적인 특징으로 인해 사 용할 때 문제가 발생하는 양태부사, 의미의 어려움으로 인해 이해·표현의 장 애가 발생하는 양태부사로 나누어 교육 내용을 정리하였다. 의미 면에서 어 려운 양태부사 교수에는 ‘문맥을 활용한 지도 방법’을 사용하였다. 통사적으 로 학습자들이 혼동을 느끼는 양태부사를 교수하기 위해서는 ‘형태 초점 접 근법’을 사용하였다. 이 두 가지의 교수 방법을 활용하여 터키 인 학습자를 위한 양태부사 수업 모형을 마련하였다. 이 수업 모형은 ‘관찰→발견→제시

→활동→마무리’의 절차로 마련하고 활동의 예시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본고 에서 마련한 수업 모형이 실제적으로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터키 인 학습자들에게 실험을 실시하여 효과 검증을 하였다.

본 논문은 양태부사 교육의 문제를 중심으로 대조·오류 분석을 통해 오류 를 발견하고 원인을 규명하며 교육 방법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 다. 특히 터키에서의 한국어교육의 현재 상황을 고려하면 본 연구는 터키 인 을 위한 효과적인 연구가 될 수 있다.

본 논문은 터키 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다른 언어권 학습자들에게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고 교육 방법을 모색하는 데 일부 양태부사만을 대상으 로 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어휘 및 한국어의 양태부사 교육과 관련된 후속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참고문헌>

I. 기초 자료

서울대학교 한국어학당(2009), 한국어 1, (주)문진미디어.

서울대학교 한국어학당(2009), 한국어 2, (주)문진미디어.

서울대학교 한국어학당(2009), 한국어 3, (주)문진미디어.

서울대학교 한국어학당(2009), 한국어 4, (주)문진미디어.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2005), 한국어1, 연세대학교 출판부.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2005), 한국어2, 연세대학교 출판부.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2005), 한국어3, 연세대학교 출판부.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2005), 한국어4, 연세대학교 출판부.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2005), 한국어5, 연세대학교 출판부.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2005), 한국어6, 연세대학교 출판부.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2011), 한국어 1-1.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2011), 한국어 1-2.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2011), 한국어 2-1.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2011), 한국어 2-2.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2011), 한국어 3-1.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2011), 한국어 3-2.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2011), 한국어 4.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2011), 한국어 5.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2011), 한국어 6.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Goksel Turkozu(2010), KORECE 1, Lotus Goksel Turkozu(2010), KORECE 2, Lotus

Goksel Turkozu(2010), KORECE 3, Lotus

국립국어원(1999), 표준국어대사전(상), 국립국어연구원 국립국어원(1999), 표준국어대사전(중), 국립국어연구원 국립국어원(1999), 표준국어대사전(하), 국립국어연구원

Ⅱ. 국내 논저

강현화(2000), 코퍼스를 이용한 부사의 어휘 교육 방안연구, 이중언어학 17 권, 이중언어학회, 57~75.

강봉규, 박성혜, 최미리(2009),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태영출판사.

고석주, 김미옥, 김제열, 서상규, 정희정, 한송화(2004), 한국어 학습자 말뭉 치와 오류분석, 한국문화사.

고영근, 구본관(2008),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권성미, 정미지(2009), 초급 단계 한국어 수업의 매개 언어 선택에 대한 연 구: 학업 성취도와의 관령성 및 학습자 인식 조사를 중심으 로, 외국어 교육 제16권 제3호, 한국외국어교육학회, 487~515.

김광해(2003), 등급별 국어교육용 어휘, 박이정.

김미옥(2003), 한국어 학습자의 단계별 언어권별 어휘 오류의 통계적 분석, 한국어교육 제14권 3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31~52.

김민수(1971), 국어문법론, 일조각.

김선희(2002), 부정 양태부사의 통사·의미적 특성, 한글 제256호, 한글학회, 69~97.

김종서, 이영덕, 황정규, 이호우(2007),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교육과학사.

김지혜(2010),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양태부사 ‘아마’와 ‘혹시’의 어휘 정보 연구, 한국어학 제47호, 한국어학회, 163~190.

민현식(2009), 한국어교육용 문법 요소의 위계화에 대하여, 국어교육연구 제

23집,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61~130.

민현식(2008), 한국어 교재의 문법 항목 위계화 양상에 대하여, 문법 교육 제9호, 한국문법교육학회, 105~157.

박명호(2009), 문맥 활용을 통한 어휘지도법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박선자(1983), 한국어 어찌말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박정은(2010), 한국어 양태 표현 부사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지숙(2002), 국어 의문형 서법 부사 연구,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정수(2005), 한국어의 부사, 서울대학교출판부.

성태제, 시기자(2011), 연구방법론, 학지사.

소은아(1991), 현대 국어의 말재어찌씨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손남익(1995), 국어 부사 연구, 박이정.

송창선(1998), 평가 대상 어휘의 선정, 국어교육연구 제30집, 국어교육학회, 85~100.

송현정(1998), 한국어의 호응 관계에 대한 국어교육적 연구, 서울대학교 박 사 학위 논문.

신순설(2007), 문맥을 활용한 효과적인 어휘 지도법 : 짧은 이야기를 중심으 로,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신유정(2011), 문맥 중심 어휘 지도 방법이 한국어 어휘 학습에 미치는 효 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심예솔(2013), 형태 초점 접근법을 활용한 한국어 대조 표현 교육 연구, 고 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왕문용, 민현식(1993), 국어 문법론의 이해, 개문사.

왕혜숙(1995), 영어화자의 한국어작문에 나타난 어휘상 오류 분석, 이중언어 학 12권, 이중언어학회, 383~401.

유민애(2012), 한국어 추측 표현의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유해준(2010), 한국어 교육용 어휘·문법 항목의 위계화 방안 -연어적 구성

항목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제20차, 403~413.

이소아(2010),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양태부사 교육 연구, 서울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이슬비(2010), 한국어 동작상에 대한 형태 초점 과제 설계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정희(2002), 한국어 학습자의 표현 오류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정희(2003), 한국어 학습자의 오류 연구, 박이정.

임유종(1999), 한국어 부사 연구, 한국문화사.

백승희(2004),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고빈도 양태부사의 통사제약연구, 상명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장영희(1994), 현대 국어 화식부사의 의미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정예랜(2005),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부사 사용 연구 : 학습자 작문의 오 류분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영교(2011), 한국어교육을 위한 양태부사 유의어 의미 분석과 제시방안 연 구,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조승은(2012),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양태부사의 교육 방안 연구 : ‘아마, 어 쩌면, 혹시, 아무래도, 설마’를 중심으로, 동덕여자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조철현(2002), 한국어 학습자의 오류 유형 조사 연구, 문화관광부.

조현용(2011), 한국어 어휘 교육 연구, 박이정.

조효설(2012),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양태부사에 대한 연구 : 호응과 계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최현배(1937), 우리말본, 정음사

한재영, 박지영, 헌윤호, 권순희, 박기영(2010), 한국어 어휘 교육, 태학사.

한재영, 박지영, 헌윤호, 권순희, 박기영, 이선웅(2005), 한국어 교수법, 태학 사.

허형(1993), 교육평가, 배영사 .

현우주(2012), 문맥을 활용한 한국어 어휘 수업 방안 연구 : Nation의 귀납 적인 추론의 절차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황혜숙(2004), 문맥을 이용한 어휘 지도 방안,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Ⅲ. 국외 논저

Brown H. D.(2011),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Pearson Longman.

Brown H. D.(2010), Teaching by Principles -An interactive Approach to Language Pedagogy, Pearson Longman.(권오량, 김영숙 공역(2010) 원리에 의한 교수 언어 교육에의 상호작용적 접 근법 제3판.)

Chambers, F.(1991), Promoting Use of the Target Language in the Classroom, The Language Learning Journal, Vol. 4, 27~31, Association for Language Learning.

Clarke, D. F & Nation, I. S. P.(1980). Guessing the Meaning of Words from Context; Strategy and Techniques. System 8.

Coady, J. & Huckin, T.(1997), Second Language Vocabulary Acquisition, Cambridge.

Cook, Vivian(2001), Second Language Learning and Language Teaching, Arnold.

Creswell, J. W.(2010),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조홍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학지사.)

Demir, Tufan(2006), Türkçe Dilbilgisi, Kurmay.

Dickson, P.(1992), Using the Target Language in Modern Foreign Language Classrooms, Slough, UK: National Foundation for Education Research.

Doughty, C. & Williams, J.(2002), Focus on Form in Classroom Second Language Acquisition, Cambridge.

Gass, Susan M. & Selinker, Larry(1994), Second Language Acquisition.(박의재, 이정원(1999), 제2언어 습득론, 한신문 화사.)

Günay, V. Dogan(2007), Sozcuk Bilime Giriş, Multilingual.

Halliwell, S. & Jones, B.(1991), On Target, London: Centre for Information on Language Teaching.

Hammerly, H.(1982), Synthesis in Second Language Teaching: An Introduction to Linguistics. Blaine, Wash.: Second Language Publications.

Kocapinar, Pelin(2008), Cümle Yapısında Yüklemin Anlamını Sınırlayan Zarf Tümlecleri ve Yeri, Ankara University, Master Thesis.

Kruse, A, F.(1979), Vocabulary in Context. ELT Journal, 33(3), 207~213, Oxford University Press.

Lewis, Michael(1993), The Lexical Approach.(김성환 역(1993) 어휘접근법과 영어 교유, 한국문화사.)

Long, M.(1991). Focus on form: A design feature in language teaching methodology. In K. de Bot, R. Ginsberg, & C. Kramsch (Eds.), Foreign language research in cross-cultural perspective (39-52). Amsterdam: John Benjamins.

Macdonald, C.(1993), Using the Target Language, Cheltenham, UK:

Mary Glasgow.

McKay, S. L.(2009), Searching Second Language Clasroom.(김영주 번역 (2009) 제2언어교시 연구방법론, 한국문화사)

Nicholas, Asher(2011), Lexical Meaning in Context, Cambridge.

Norris, W. E. (1970). Teaching Second Language Reading at the Advanced Level: Goals, Techniques, and Procedures, TESOL Quarterly, 4(1), 17~35.

Nunan, David(1999), Research Methods in Language Learning.(안미란, 이정인(2009), 외국어 학습 연구 방법론, 한국문화사.)

Phillison, R.(1992), Linguistic Imperialism, Oxford University.

Sayili, Sevgi(2009), Türkiye Türk.esinde Zarflar ve Zarflaştırma, Mersin University, Master Thesis.

Selinger, H. W. & Shohamy, E.(1989), Second Language Research Methods.(김지영 역(2002), 제2언어 연구방법론, 민지사.) Skinner, D. C.(1985), Access to Meaning: The Anatomy of the

Language Learning Connection, Journal of Multi-lingual and Multicultural Development, Vol 6, 97~116, Elsevier.

Thornbury, Scott(1999), How to Teach Grammar, Longman.

Usta, Recep(2010), Türkiye Türkçesinde Zarflar (Tanim, Mukayese, Tasnif, Teklifler), Sakarya University Master The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