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IV. 한국어 양태부사 교육의 실제

3. 한국어 양태부사 교수ㆍ학습 방법

3.2. 문맥을 활용한 지도 방법

법을 통해 학습자의 오류를 수정한다.

(5) 마무리 단계

이 단계에서는 교사가 학습자들이 출력한 내용을 확인하며 피드백을 주고 오류가 발생한다면 수정한다.

이상의 활동은 형태 초점 접근법이 초급 학습자를 고려하여 활용된 것이지 만 이 활동은 통사적 특징이 복잡한 초급에서 ‘물론, 꼭, 혹시, 별로, 전혀’

중급에서 ‘반드시, 어쩌면, 가령, 아무리, 절대로, 비록, 결코’ 고급에서 ‘마땅 히’를 사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즉 형태 초점 접근법은 각 등급에서 활용이 가능하지만 이러한 복잡성을 가지고 있는 양태부사들이 주로 초·중급에 있다 는 사실을 감안하면 주로 초·중급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이 상의 활동은 초급 단계에서 제시된 것이고 ‘아마’와 호응 관계를 하는 문법 형태가 다양하지 않으므로 풍부한 문법 형태를 제시하지 않았다. 이 활동은 중급으로 올라갈수록 문법이 다양해지며 제시할 수 있는 문법 형태가 많아진 다.

54). 노리스(Norris, 1970)에서 다섯 가지로 분류한 문맥 단서는 다음과 같 다.

(1) 정의(definition): 단어가 글쓴이에 의해 정의 또는 설명된 것.

(2) 경험(experience): 단어의 의미가 읽는 이의 직접 또는 간접 경험에 의해 명확해지고 그 상황이 읽는 이에게 친숙하거나 상상이 가능한 것.

(3) 비교와 대조(comparison and contrast): 그 내용이 익숙한 단어와 비 교되거나 부정적으로 그것이 의미하지 않는 바를 말하는 것.

(4) 유의어(synonym): 동일한 의미가 독자에게 익숙한 두 개 또는 그 이 상의 다른 단어 또는 구로 표현된 것.

(5) 요약(summary): 다른 방식으로 표현된 어떤 생각 또는 상황이 하나 의 단어 또는 표현으로 요약된 것.

이 다섯 가지 단서를 활용하여 터키 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사전을 사용하 지 않아도 양태부사 의미를 파악할 수 있고 해당 양태부사와 유의어의 차이 점을 이해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문맥 단서에 대하여 크루세(Kruse, 1979:209)에서는 1) 단어 요소[word elements(접두사, 접미사, 어근)] 2) 삽화(illustration) 3) 정의 단서[clue of definition(괄호, 주석, 유의어, 반의어)] 4) 담화에서 추론한 단 서[inference clue from discourse(예, 요약, 경험)] 5) 일반적 단서 [general aids(명사, 형용사 등)] 다섯 가지 단서를 제시하였다.

한국어 양태부사는 화자의 심리적 태도를 드러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므 로 ‘정의’, ‘비교와 대조’, ‘유의어’, ‘요약’ 단서를 통해 의미를 추론하기가 어 렵다. 이에 한국어 양태부사의 의미를 추론하는 데 ‘경험’이 가장 효과적으로 보인다.

문맥 단서들을 활용하는 데 여러 가지 단계가 있다. 젠킨스, 매트록, 슬로 쿰(Jenkins, Matlock, Slocum, 1989)에서는 ‘SCANR55)’라는 전략을 소개하

54) 현우주(2012:16) 참조.

55) <표 2> Jenkins, Matlock, Slocum(1989)의 SCANR 전략은 다음과 같다.

- Substitute a word or expression for the unknown word.

고 있다. 첫째, 새로운 어휘를 아는 단어와 표현으로 바꾸어 보고 둘째, 문맥 에 제시된 문맥 단서를 확인한 후, 셋째, 바꾼 단어가 문맥적 단서와 일치하 는가를 살펴본 후 새로운 단어를 바꿀 필요가 있다면 문맥에 맞도록 의미를 바꾸는 단계별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다56).

클라크와 네이션(Clarke&Nation, 1980)은 문맥의 단서를 활용하여 의미를 추측하는 네 가지 단계를 제안했다. 첫째, 새로운 어휘의 품사를 결정한다.

둘째, 새로운 어휘가 등장한 문장에서의 단서를 찾아보고 필요할 경우 문법 적으로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알아본 후 기능적 관계를 살펴본다. 셋째, 선·후 행한 문장에서 단서를 찾고 원인과 결과, 조건, 대조, 분류, 예시 등을 의미 추측의 근거로 사용할 수 있다. 넷째, 학습자가 어휘와 직접적 문맥, 광범위 한 문맥에 대한 세 가지 전 단계를 통과하면 학습자가 추측한 의미를 확인한 다.

상술한 내용을 고려하여 터키 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양태부사의 의미를 가 르칠 때 ‘경험’의 형식으로 제시해야 한다. 이러한 제시 방법을 사용할 때 다 음과 같은 절차를 실행해야 한다.

첫째, 학습자들이 양태부사의 의미를 추론할 수 있도록 적당한 단서를 제 공해야 한다. 환언하자면, 문맥적 단서를 많이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 가 양태부사의 의미를 명확히 이해할 수 있는 적절한 단서를 제공해야 한다.

둘째,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을 고려하여 문맥을 만들어야 한다. 문맥과 학습 자 수준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학습자 추론의 정확성이 떨어진다. 셋째, 학 습자가 양태부사의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문맥을 제공해

(새로운 어휘를 단어나 표현으로 바꾸어 본다.)

-Check the context for clues that support your idea.

(추측을 뒷받침하는 문맥적 단서를 점검한다.) -Ask if substitute fits all context clues.

(바꾸어본 단어가 모든 문맥적 단서에 알맞은 것인가를 확인한다.) -Need a new idea?

(새로운 단어가 필요하다면.)

-Revise your idea to fit the context.(박명호, 2009 인용) 56) 박명호(2009:12) 참조.

야 한다. 학습자의 추론이 맞을 때까지 문맥을 계속 제공해야 한다.

‘문맥을 활용한 지도 방법’은 고급 학습자들에게 적절하다. 또한 의미적인 이유로 어려움을 야기하는 양태부사들도 마찬가지로 고급 수준의 어휘에 해 당한다. 이에 이러한 교수·학습 방법이 터키 인 학습자들을 위하여 효율적이 라고 본다. 이상의 논의를 제시한 교수·학습 모형과 같이 활용하여 마련한 양태부사 활동예시는 다음과 같다.

1) 단원의 구성

◈ 학습 대상: 중급

◈ 학습 목표: 양태부사 ‘설마’의 의미를 맥락을 통하여 학습시키고 정확한 사용을 요구한다.

◈ 문법: ‘-겠’, ‘-ㄹ까’, ‘-리’

(1) 관찰 단계 : 교사는 칠판이나 스크린을 통해 학습자들에게 양태부사

‘설마’가 나온 대화를 제시하고 학습자들이 ‘설마’의 의미 및 통사적인 구조 를 추론하도록 한다.

예)A: 한국에 잘 갔다 왔어?

B: 응, 잘 갔다 왔어.

A: 근데 언제 터키에 돌아왔어?

B: 오늘 아침에 왔어. 근데 한국에서 일이 아직 안 끝났어. 다시 가려 고 지금 비행기 표를 찾고 있어.

A: (화자 A가 화자 B의 컴퓨터 화면을 보고 출발 날짜를 본다.) 설마 내일 갈 건 아니겠지?

* 교사가 중급 수준의 학습자들에게 ‘설마’의 의미를 추론할 수 있도록 시 간을 준다. 학습자들의 관찰 및 추론 과정이 끝나면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

(2) 발견 단계 : 학습자들의 추론을 들으면서 교사는 학습자들의 추론이

정확해지도록 문맥 내에 있는 단서들에 주의하도록 한다.

예) ‘B’가 어디서 왔어요?

‘B’가 언제 왔어요?

‘B’가 다시 언제 돌아가요?

그러면 ‘A’가 어떻게 느낄까요?

* 학습자들에게 문맥과 관련된 질문을 하며 화자 ‘A’의 심리적인 상태에 주의하도록 한다.

* 이 단계에서 학습자들이 ‘설마’의 의미에 대하여 어느 정도 추측할 있게 되면 교사가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

(3) 제시 단계 : 이 단계에서 교사가 ‘설마’의 의미를 설명하고 터키 어에 서 일대일로 해당되는 단어를 알려주기보다는 어떤 상황에서 사용되고 화자 가 어떤 심리를 가지고 있는지를 설명해 준다. 또한 호응하는 문법 형태 및 문장 종류를 제시한다.

양태부사 의미 통사

설마 그럴 리는 없겠지만. 부정적인 추측을 강 조할 때 쓴다.

주로 부정적 의문문, 의문문, -겠-, -(으)ㄹ까? 등 그가 아무리 돈이 급하다고 해도 설마 도둑질이야 하겠습니까?

설마 이 밤중에 나한테 주례를 서 달라고 찾아온 것은 아니겠지?

설마 너까지 나를 의심하는 것은 아니겠지?

설마 저 밥을 혼자 다 먹으려고?

* 교사가 다양한 예문을 제시한 후 각 예문에서 화자의 감정 또한 '설마'가 호응 하는 문법 형태를 학습자들에게 알려 준다.

(4) 활용 단계 : 이 단계에서는 교사가 학습자들에게 상황을 설명하는 맥 락을 제시하여 이 상황에 맞게 ‘설마’를 사용하도록 한다.

예 1) 철수가 친구에게 자기 집을 설명하고 있는데 자기 방에 있는 물건들 을 얘기한다. 철수 방에는 큰 침대, 옷장 2 개, 대형 책상, 책장 2개, 러 닝머신이 있다. 철수 친구가 이상의 이야기를 듣고 방 크기에 대하여 놀 라고 믿지 못하는 상황이다. 철수 친구의 대답을 써 주세요.

예 2) 며칠 후에 졸업식이 있다. 그런데 친구 ‘A’는 친구 ‘B’가 졸업식에 오 지 않을 것이라고 한다. ‘B’가 항상 졸업식에 가고 싶다는 말을 했는데 안 갈 것이라는 이야기를 듣고 어떤 반응을 할지 써 주세요.

* 이 활동을 할 때 학습자들을 짝 지어 위의 내용을 대화로 만드는 연습을 시킨다. 대화를 완성한 후 학습자들이 대화 내용을 말하기로 구사한다.

(5) 마무리 단계 : 이 단계에서는 교사가 학습자들이 구사한 내용을 확인 하여 피드백을 하거나 발생한 오류에 대하여 수정한다.

이상의 활동은 문맥은 활용한 자도 방법이 중급 단계에서 활용된 예시이 다. 이 활동은 동시에 중급에서 ‘도대체, 과연, 역시, 아무래도’ 고급에서 ‘아 무쪼록, 기어코, 기필코, 도무지, 도저히, 좀처럼’을 학습할 때 활용할 수 있 다. 즉, 문맥을 활용한 지도 방법은 중급 및 고급에서 사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