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I. 서론

1. 양태부사 사용 양상

1.1. 초급 양태부사 사용 양상

이 절에서는 터키 인 초급 학습자들의 한국어 양태부사 사용 양상을 살피 고자 한다. 아래의 내용은 터키 인 초급 학습자들이 산출한 각 검사의 결과 이다.28)

양태부사 의미(%) 통사(%) 양태부사 의미(%) 통사(%)

아마 93 46 물론 87 38

전혀 90 70 만약 90 74

100 100 별로 93 57

27 55 혹시 96 65

<표 Ⅲ-2> 초급 문장 만들기 검사 결과(정답률)

위의 표는 터키 인 초급 학습자들의 양태부사 의미 및 통사적인 지식을 같이 판단하는 문장 만들기 검사의 결과이다. 표를 봤을 때 대체로 터키 인 초급 학습자들이 한국어 양태부사의 의미를 잘 알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양 태부사 ‘꼭’에 대한 대답만이 비교적 낮게 나왔지만 한편으로는 터키 인 초급 학습자들이 양태부사의 통사적인 특징에 대한 지식이 완벽하지 않다는 점을 볼 수 있다. 특히 가정법 양태부사 ‘아마’ 및 사실법 양태부사 ‘물론’에 대한 통사적인 지식이 완벽하지 않은 양상을 보인다.

다음 표는 터키 인 초급 학습자들의 한국어 양태부사의 의미적인 특징에 대한 지식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선다형 검사 결과이다. 이 검사 결과를 보면 터키 인 초급 학습자들이 한국어 양태부사의 의미를 어느 정도 이해하 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8) 이 검사에서는 학습자들로 하여금 주어진 양태부사의 의미를 쓰고 이들 양태부사를 포함한 문장을 작성하도록 요구하였다. 의미를 쓰는 것은 학습자가 의미를 얼마나 잘 이해하고 있는 지를 보여주고, 문장을 만드는 것은 해당 양태부사의 통사적 특징을 얼마나 잘 아는지를 보 여준다. 이에 <표 Ⅲ-1>에서 ‘의미’ 부분은 양태부사의 의미를 알고 있는 학습자의 비율을,

‘통사’ 부분은 의미를 쓴 학습자들 중의 몇 퍼센트가 해당 양태부사로 정확한 문장을 만들었 는지를 보여 준다. (문장 만들기 검사에서 양태부사의 의미를 작성하지 않는 학습자는 해당 양태부사의 의미를 모르는 것으로 파악하고 오류에 포함시켰다.)

문항 정답률

(%) 문항 정답률

(%) 문항 정답률

(%) 문항 정답률 (%)

1 73 5 40 9 70 13 10

2 76 6 70 10 76 14 60

3 80 7 73 11 40 15 90

4 0 8 66 12 76 16 80

평균 61

<표 Ⅲ-3> 초급 선다형 검사 결과(정답률)

실제 문항과 관련한 결과를 살펴보면 [문제 4, 5, 11, 13]는 다른 문제들 과 달리 정답률이 더 낮게 나왔다.

[문제 4] A: 우산 왜 가지고 왔어요?

B: __ 비가 올까 해서 가지고 왔어요.

a. 혹시 b. 아마 c. 꼭

[문제 5] A: 대학교 분위기가 어때요? 고등학교와 비슷해요?

B: __ 달라요.

a. 꼭 b. 전혀 c. 별로 [문제 11] A: 난방을 켰어요?

B: __ 켰지요. 눈도 오는데…

a. 전혀 b. 물론 c. 꼭 [문제 13] __ 배가 고플까 해서 피자를 샀어요.

a. 아마 b. 별로 c. 혹시

이 중 [문제 4, 13]은 가정법 양태부사에 대한 문제들이며 나머지는 사실 법 양태부사 ‘꼭, 물론’ 및 의지법 양태부사 ‘전혀, 별로’의 대한 문제이다.

[문제 3] __ 우리 전에 본 적이 있나요?

a. 왜 b. 혹시 c. 아마 [문제 15] __ 우리 내일 만날 수 있어요?

a. 아마 b. 혹시 c. 만약

[문제 16] __ 돈이 많이 있다면 무엇을 하고 싶어요?

a. 만약 b. 아마 c. 전혀

정답률이 가장 높은 문제들은 위에서 제시된 [문제 3, 15, 16]이다. 이들 문제들은 가정법 양태부사 ‘혹시’ 와 ‘만약’이다.29)

문항 정답률(%) 문항 정답률(%)

1 83 6 50

2 0 7 97

3 43 8 13

4 60 9 63

5 66 10 90

평균 56

<표 Ⅲ-4> 초급 진위형 검사 결과(정답률)

진위형 검사는 터키 인 초급 학습자가 양태부사의 통사적인 특징에 대하여 얼마나 아느냐를 알아보기 위하여 구성되었고 위의 표는 그 검사의 결과이 다. 검사 결과, 터키 인 초급 학습자들이 한국어 양태부사의 통사적인 특징을 어려워 한다는 점이 드러난다.

[문제 2] 아마 차가 막힐까 해서 일찍 나갔어요. ( ) _____

[문제 8] 아마 우리 내일 못 봐요. ( ) _____

학습자들이 오류를 가장 많이 범한 문제는 [문제 2, 8]이다. 이들 문제에 서 학습자들이 통사적으로 어려워하는 양태부사는 가정법 양태부사 ‘아마’이 다.

[문제 1] 그는 우리 회사에 꼭 필요한 사람이다. ( ) _____

[문제 7] 혹시 오늘 시내 갈 일이 있나요? ( ) _____

[문제 10] 내일 시험이 있어서 꼭 일찍 일어나야 돼. ( ) _____

29) 이 검사에서 터키 인 학습자가 한국어 양태부사의 통사에 대하여 얼마나 아느냐를 검토하 였다. 학습자들이 문제의 x와 o로 올바로 판단했다고 하더라도 해당 문장을 올바르게 수정 하지 못했을 경우 양태부사가 포함된 통사 구조에 대해 모르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학습자들이 산출한 문제들 중 정답률이 가장 높은 문제는 [문제 1, 7, 10]

이다. [문제 1, 10]은 사실법 양태부사 ‘꼭’이며 [문제 7]은 가정법 양태부사

‘혹시’이다30).

다음으로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번역 검사를 실시하였다.31) 이 검사에서 터키 인 초급 학습자들이 한국어 양태부사를 의미면에서 정확히 이해하는지 와 통사에 맞게 사용하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문항 양태부사(%) 통사(%) 문항 양태부사(%) 통사(%)

1 76 11 5 93 3

2 66 95 6 90 96

3 90 100 7 87 38

4 85 80 8 100 100

<표 Ⅲ-5> 초급 번역 검사 결과(정답률)

위에서 제시하는 표의 결과를 바탕으로 터키 인 초급 학습자들이 비교적 한국어 양태부사의 의미를 잘 이해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학습자들이 터키 어로 주어진 문장을 한국어로 번역하는데 알맞은 양태부사를 선택한 비 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보인다. 이들 문제 중 [문제 8]은 정답률이 가장 높 으며 여기에서 학습자들이 의지법 양태부사 ‘왜’를 정확하게 선택하고 그 통 사에 맞게 문장을 작성하였다. 그 외에 학습자들은 [문제 3, 6]에 대한 정답 률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문제에서 학습자들은 가정법 양태부 사 ‘혹시’ 및 사실법 양태부사 ‘꼭’을 올바르게 선택하며 통사에 맞게 문장을 작성하였다. 학습자들이 의미면에서 올바르게 선택하였지만 통사적 부분에서 정답률이 낮은 양태부사들도 있다. 이들 양태부사들 중의 [문제 1, 5, 7]은 정답률이 가장 낮았다. [문제 1, 5]는 가정법 양태부사 ‘만약’, ‘아마’이며 [문제 7]은 사실법 양태부사 ‘물론’이다.

30) Ⅱ장에서 서술한 바가 있는데 가정법 양태부사 ‘혹시’는 의문문에서 터키 어와 비슷하다.

그러나 연결문에서는 ‘혹시’의 의미 및 통사가 터키 어와 비슷하지 않다. 이에 학습자들이 의 문문에서 나타나는 ‘혹시’의 의미 및 통사는 잘 알고 있으나 연결문에서는 이 양태부사에 대 한 오류를 많이 범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1) 이 검사에서는 학습자들로 하여금 터키 어로 된 문장을 한국어로 번역하도록 한다. <표>

의 ‘양태부사’ 부분은 터키 어 문장에서 양태부사에 해당하는 한국어 양태부사를 정확히 선 택한 학습자의 비율이다. ‘통사’ 부분에서는 정확한 양태부사를 선택한 학습자 중의 몇 퍼센 트가 정확한 문장을 만들었는지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