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IV. 한국어 양태부사 교육의 실제

3. 한국어 양태부사 교수ㆍ학습 방법

3.1. 형태 초점 접근법

Ⅱ장에서 논의하였듯이 양태부사는 호응하는 문법 형태가 다양하고 서법적 의미도 나타낸다. 즉 양태부사마다 호응하는 문법 형태와 문장 종류가 다르 다. 그리하여 학습자들로 하여금 문법 지식을 강화하도록 하는 것은 중요하 다. 또한 이것은 양태부사의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 다. 본 연구의 목적 중 하나가 양태부사의 호응 관계에 대한 통사적인 특징, 즉 양태부사가 호응하는 문법 형태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따라서 양태부사 교육을 위해서는 형태 초점 접근법이 적절하다.

롱(Long, 1991)은 형태 초점 접근법은 문맥 안에서 언어적인 요인들에 주 목을 하며 의사소통 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이라고 주장한다. 형태 초점 접근 법은 형태에 초점을 둔다는 점에서 형태 중심 접근법(Focus on Forms)과 비슷하나 의미를 기반으로 둔다는 점에서 구별된다(심예솔, 2013).

형태 초점 접근법에 있어서 여러 가지 기법 및 과제들이 있다. 다우티와 윌리암스(Doughty&Williams, 2002)는 형태 초점 기법을 열한 가지로 분류 하였는데51) 본 연구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기법들은 입력 홍수(input flood),

51) 1) 입력 홍수(input flood): 목표 문법 형태에 대해 많은 입력을 제공하여 목표 형태를 무 의식적으로 인식하게 한다. 2) 입력 강화(input enhancement): 목표 문법 형태를 다른 글자 체, 밑줄 긋기 등으로 표현하여 학습자 주의를 집중시킨다. 3) 과제 필수적 언어(task essential language): 언어 형식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과제를 통해 학습자는 문법 형태에 집중한다. 4) 의미 협상(negotiation): 의미 협상과 형태 협상으로 구분되는데 의미 협상은 학습자가 의사소통을 할 때 서로가 의도한 의미를 이해하기 위한 것이고, 형태 협상은 언어 의 형태를 정확하게 표현하도록 하는 것이다. 5) 고쳐 말하기(casting): 학습자가 의사소통 을 할 때 오류가 발생하는 과정에서 교사가 정확하게 수정을 하여 다시 물어봄으로써 학습 자 스스로 인식하고 수정하는 방법이다. 6) 출력 강화(output enhancement): 학습자들이 많 은 출력을 통해 오류를 인식하고 수정하게 된다. 7) 상호작용 강화(interaction enhancement): 교사가 학습자들이 발화하면서 상호작용적으로 수정을 제공하고, 학습자가 자신의 중간언어 형태와 목표 언어 형태의 차이점을 인식하게 된다. 8) 듣고 받아쓰기 (dictogloss): 산출 활동을 통해 언어 형태에 주목하게 한다. 9) 의식 상향 과제

입력 강화(input enhancement), 고쳐 말하기(casting)이다.

형태 초점 접근법과 관련하여 ‘명시적(explicit)’ 및 ‘암시적(implicit)’ 접근 중 어떤 접근이 효과적인지에 대한 논쟁들이 있다. 다우티와 윌리암스 (Doughty&Williams, 2002)는 목표 문법에 대하여 학습할 때 형태 초점 접 근법이 학습자들에게 자세한 설명을 하는 명시적인 접근이 효과적인지 무의 식적으로 설명 없이 학습하며 암시적인 접근이 효과적인지 교사가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엘리스(Ellis, 2002)는 복잡한 문법 규칙을 설명할 때 명 시적 접근과 암시적인 접근을 통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하였 다52). 명시적 형태 초점 접근은 교사가 언어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여 학습자 들이 해당 형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오류를 수정할 때 학습자 가 인식할 수 있도록 명시적으로 한다. 암시적 형태 초점 접근은 교사가 문 법 형태에 대하여 설명을 하지 않고 입력 홍수나 입력 강도 등의 기법을 통 하여 학습자가 스스로 문법 형태를 인식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오류를 수정 할 때도 교사가 학습자의 오류를 과장되게 발음하며 오류에 주목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 이러한 ‘형태 초점 접근법’의 기법들 중 입력 강화(input enhancement), 고쳐 말하기(casting)를 활용하여 이전에 마련한 교수·학습 모형으로 제시한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명시적 접근과 암시적 접근을 통 합시켜 사용한다.

1) 단원의 구성

◈ 학습 대상: 초급

◈ 학습 목표: 양태부사 ‘아마’의 의미를 맥락을 통하여 학습시키고 정확한 사용을 요구한다.

◈ 목표 문법: -(으)ㄹ 것이다, -ㄴ/-(으)ㄹ/는 것 같다

(consciousness-raising task): 목표 형태에 학습자 주의를 끌게 하는 외적인 시도를 가리키 며 문법 습득의 정도를 증가시킨다. 10) 입력 처리(input processing): 반복된 연습이나 출 력으로 정확성을 목표하지 않고, 이해 과제를 통해 형태와 의미 사이에 관심을 집중하게 하 여 학습을 유도한다. 11) 정원길 따라가기(garden path): 가장 명시적인 형태 초점 기법으로 형태에 대한 의식을 향상하고 오류가 발생하면 교사가 즉시 수정을 한다.

52) 한예솔(2013) 참조.

(1) 관찰 단계

교사는 ‘아마’가 등장하는 짧은 대화를 제시하여 학습자들이 주어진 대화에 서 표시된 부분들을 보고 의미와 통사적 특징 사이의 관계를 관찰한다.

예1)A: 오늘 철수가 학교에 왜 안 왔어요?

B: 아마 아플 거예요.

예2)A: 민수가 고향에 언제 갔어요?

B: 아마 지난 주말에 간 것 같아요.

* 교사가 여기에서 입력 강화 기법을 사용하여 학습자들이 양태부사 및 문 법 형태에 주목하게 한다.

* 이 과정에서 교사가 아무런 설명을 하지 않고 학습자들이 해당 양태부사 의 의미·통사적 특징을 암시적으로 학습하는 것이다.

(2) 발견 단계

학습자들이 ‘아마’의 의미 및 통사적 특징에 대하여 의견을 말하는데 교사 가 제시된 내용에서 표시된 부분들을 강화하면서 반복한다.

예1) 교사: 오늘 철수가 학교에 왜 안 왔어요?

교사: 아마 아플 거예요.

예2) 교사: 민수가 고향에 언제 갔어요?

교사: 아마 지난 주말에 간 것 같아요.

* 교사가 이미 제시된 내용을 반복하면서 볼드체로 표시된 부분을 말할 때 추측한다는 것을 몸짓 및 표정으로 강화하고, 밑줄 친 부분은 큰 소리로 말 한다.

* 이 과정에서 학습이 계속 암시적으로 이루어진다.

양태부사 의미 통사

아마 belki -(으)ㄹ 것이다, -ㄴ/-(으)ㄹ/는 것 같다

보기) A: 미니 씨한테 주려고 꽃을 샀어요. 미니 씨가 쫓을 좋아할까 요?

B: 네, 아마 좋아할 거예요.

① A: 저 시계를 사고 싶어요. 저 시계가 비쌀까요?

B: 네, 아마 _______________.

② A: 이리나 씨가 지금 도서관에 있을까요?

B: 네, 아마 _______________.

③ A: 앤디 씨가 아침에 일찍 일어날까요?

B: 아니요, 아마 ______________.

④ A: 요즘 호주 날씨가 추울까요?

B: 아니요, 아마 ______________.

(3) 제시 단계

이 단계에서 교사가 ‘아마’의 뜻을 터키 어로 알려주고, 호응 관계에 대한 정보를 자세하게 제시한다. 즉 이 단계에서 학습이 명시적으로 이루어진다.

(4) 활용 단계

이 단계에서 교사가 준비한 연습 문제를 학습자들에게 준다. 학습자들이 문제를 푼 후 이미 주어진 문제를 바탕으로 교사와 학습자 간의 말하기 연습 을 시작한다.

활동153))

* 학습자들이 문제를 푼 후 교사와 문제에 대하여 대화하기 시작한다. 이 과정에서 교사는 학습자가 말한 내용에 틀린 부분이 있으면 고쳐 말하기 기

53) <서강한국어> 2B권(68)

법을 통해 학습자의 오류를 수정한다.

(5) 마무리 단계

이 단계에서는 교사가 학습자들이 출력한 내용을 확인하며 피드백을 주고 오류가 발생한다면 수정한다.

이상의 활동은 형태 초점 접근법이 초급 학습자를 고려하여 활용된 것이지 만 이 활동은 통사적 특징이 복잡한 초급에서 ‘물론, 꼭, 혹시, 별로, 전혀’

중급에서 ‘반드시, 어쩌면, 가령, 아무리, 절대로, 비록, 결코’ 고급에서 ‘마땅 히’를 사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즉 형태 초점 접근법은 각 등급에서 활용이 가능하지만 이러한 복잡성을 가지고 있는 양태부사들이 주로 초·중급에 있다 는 사실을 감안하면 주로 초·중급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이 상의 활동은 초급 단계에서 제시된 것이고 ‘아마’와 호응 관계를 하는 문법 형태가 다양하지 않으므로 풍부한 문법 형태를 제시하지 않았다. 이 활동은 중급으로 올라갈수록 문법이 다양해지며 제시할 수 있는 문법 형태가 많아진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