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서론
2. 한국어 · 터키 어 양태부사 대조분석
2.1. 한국어 · 터키 어 양태부사의 의미적 대조분석
2.1.4. 한국어ㆍ터키 어 양태부사 의미적 대조분석 결과
한국어와 터키 어 양태부사를 대조분석하기 위하여 사실법 양태부사 및 가 정법 양태부사, 의지법 양태부사로 나누고, 각 분류에서 한국어 양태부사가 들어간 문장을 제시하며 이들 문장의 의미 기능을 고려하여 대응할 수 있는 터키 어 양태부사를 선택하였다. 각 부분에서 한국어 양태부사의 의미를 뚜 렷이 밝힌 후 이들 양태부사와 대응되는 터키 어 양태부사를 제시하여 차이 점 및 공통점을 설명하였다. 양태부사 대조분석을 실행한 후 학습자들이 겪 을 수 있는 어려움을 감안하여 스톡웰 외(Stockwell et al., 1965a, 1965b) 의 '어려움의 단계'에 따라 구별하였다. <표 Ⅱ-2>는 한국어ㆍ터키 어 양태 부사의 대조분석 결과이다.
법 양 태 부 사
역시
gerçekten de,
kesinlikle, beklenildiği
üzere ●
원칙 (당위)
물론 mutlaka, elbette, doğal
olarak, tabii ki, illa ● ● 꼭 mutlaka, kesinlikle, ne
olursa olsun, illa ● ● 반드시 mutlaka, kesinlikle, ne
olursa olsun, illa ● ●
마땅히
mutlaka, elbette, kesinlikle, doğal olarak, tabii ki, ne olursa olsun, illa
● ●
기어코
mutlaka, kesinlikle, ne olursa olsun, illa, elbette, doğal olarak, tabii ki
● ●
기필코 mutlaka, kesinlikle, ne
olursa olsun, illa ● ●
가 정 법 양 태 부 사
추측, 회의
아마 belki ●
어쩌면 belki ●
혹시 acaba, belki ●
조 건
제한 조건, 가정
만약 eğer
●
만일 eğer ●
가령 mesela, faraza ●
무제 한 조건
=방 임, 무관 계
아무리 eğer ki, her ne kadar,
-sA bile ●
비록 eğer ki, her ne kadar,
-sA bile ●
설사 eğer ki, her ne kadar,
-sA bile ●
설령 eğer ki, her ne kadar,
-sA bile ●
선택 차라리 (onun) yerine ● 의
지
청원 (간청)
제발 lütfen ●
부디 mümkün olduğunca,
mümkün mertebe ●
법 양 태 부 사
아무쪼 록
mümkün olduğunca,
mümkün mertebe ●
평가
분명히 açıkça ●
확실히 kesinlikle ●
진실로 gerçekten ●
강 조
의문 강조
왜 neden ●
어찌 nasıl ●
도대체 allah aşkına ●
설마 yok artık ●
부정 강조
전혀 hiç de, katiyen, asla,
kesinlikle, tamamen ● ●
결코 hiç de, katiyen, asla,
kesinlikle ● ●
별로 pek ●
절대로
asla, kesinlike, katiyen,
ne olursa olsun ● ●
도저히
hiç de, katiyen, asla, kesinlikle, tamamen, bır türlü
● ●
도무지
hiç de, katiyen, asla, kesinlikle, tamamen, bır türlü
● ●
좀처럼 kolay kolay ●
역접 강조
오히려 aksine, tersine ● 도리어 aksine, tersine ●
<표 Ⅱ-2> 한국어ㆍ터키 어 양태부사 의미적 대조분석 결과
<표Ⅱ-2>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한국어 양태부사는 터키 어 양태부사와 공통점이 있으나 차이점이 더욱 많이 나타난다. 더불어 한국어 사실법 양태 부사 중 인식(확인)성 양태부사는 터키 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 양태부사를 '새 범주'로 구별하였다. 원칙(당위)성 양태부사들은 인식(확 인)성에 비하여 개수가 많고 이들 양태부사 하나하나를 고려하였을 때 터키 어에 해당하는 양태부사는 두 개 이상으로 나타났다. '물론'은 'mutlaka, elbette, doğal olarak, tabii ki, illa'와 대응되고, '꼭'은 'mutlaka, kesinlikle, ne olursa olsun, illa'와 대응되며 '반드시'는 'mutlaka, kesinlikle, ne olursa olsun, illa'와 대응되었다. 또한 '마땅히'는 'mutlaka,
elbette, kesinlikle, doğal olarak, tabii ki, ne olursa olsun, illa'와, '기어 코'는 'mutlaka, kesinlikle, ne olursa olsun, illa, elbette, doğal olarak, tabii ki'와, '기필코'는 'mutlaka, kesinlikle, ne olursa olsun, illa'와 대응되 는 양상을 보인다. 이에 이들 양태부사를 '융합'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원칙 (당위)성 양태부사를 전체적으로 봤을 때 이 양태부사들은 하나의 터키 어 양태부사로 표현되기도 한다. 원칙(당위)성 양태부사가 모두 'mutlaka, illa'로 표현될 수 있고, '꼭, 마땅히, 기어코, 기필코'가 'kesinlikle, ne olursa olsun'으로 표현될 수 있기 때문에 이 양태부사들을 '차별화'로 구분하였다.
가정법 양태부사의 경우 추측 또는 조건의 양태부사들 중 '아마', '어쩌면', '차라리' 외에 모든 양태부사들이 서로 긴밀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므로 '차별 화'로 구분하였다. '아마', '어쩌면', '차라리'는 터키 어 양태부사들과 일대일 로 대응하기 때문에 이들 양태부사는 '대응'으로 구분하였다.
의지법 양태부사의 대조분석 결과는 사실법 양태부사와 비슷한 양상을 보 였다. 청원(간청) 양태부사들 중 '제발'이 터키 어 양태부사와 '대응'을 하는 반면에 '부디' 및 '아무쪼록'이 터키 어에서 없다는 것이 밝혀졌기 때문에 이 들을 '새 범주'로 구별하였다. 평가 양태부사들은 모두 터키 어 양태부사와 일대일로 대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조 양태부사 중의 의문 강조 양태부 사 '왜'와 '어찌'가 터키 어와 일대일로 대응하는 반면에 '도대체'와 '설마'가 터키 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이들 양태부사를 '새 범주' 로 구분하였다. '별로'와 '좀처럼' 외의 부정 강조 양태부사들은 하나하나 봤 을 때 두 개 이상의 터키 어 양태부사와 대응된다는 점에서 '융합'으로 구분 하였다. 또한 이들 양태부사는 서로 의미가 비슷하기 때문에 '차별화'로도 구 분하였다. '별로'는 두 개의 터키 어 양태부사와 대응이 되기 때문에 '융합'으 로 구분하였고 '좀처럼'은 터키 어에 없기 때문에 '새 범주'로 구분하였다.
부정 강조 의지법 양태부사 및 원칙(당위)성 사실법 양태부사와 대응되는 터키 어 양태부사의 경우, 이들 부사들을 설명하는 터키 어 부사들이 비슷할 때가 있다. 따라서 이 두 양태부사 간에도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이며 부정 강조 의지법 양태부사 및 원칙(당위)성 사실법 양태부사와 마찬가지로 '융합' 및 '차별화'로 구분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