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행정부 동아시아정책은 변화보다 지속성이 두드러질 것으 로 예상된다. 그러나 변화를 지향하는 오바마의 정책 스타일을 고
오바마 행정부의 동북아 정책김국신
려해 보면 지속성이 유지되는 가운데서도 일정한 정도의 변화는 불 가피할 것이다. 미국이 심각한 금융위기를 겪고 있는 상황에서 오바 마 행정부의 출범은 우리에게 부담과 기회를 함께 가져오는 도전이 되고 있다.
한ㆍ미 FTA가 지연되는 것과 동맹국으로서 미국의 대외활동에 보다 많이 기여해야 한다는 것은 부담 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동아시아에서 군비경쟁이 약화되고 미ㆍ중관계가 개선되면 한국 외 교에 유연성을 증진시켜 줄 것이다. 한ㆍ미동맹 강화에 따른 부작용 으로 나타난 중국과의 불편한 관계는 많이 해소될 것이다. 여하튼 우리는 금융위기에 따른 국제경제 재편과정과 다자안보외교에 주도 적으로 참여하여 국가 위상을 높이고 이를 한반도 평화통일의 기반 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오바마 행정부의 출범은 동아시아지역에서도 협력이 증진될 수 있는 기회가 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의 안보정책은 아직도 신중하게 추진되어야 한다. 최근 미국과 러시아의 관계는 지정학적 현실주의 논리가 여전히 동북아 역학관계의 중심 원리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 여준다. 특히 경제력에 바탕을 둔 국력 변화는 상호의존성을 증진시 킬 뿐만 아니라 갈등을 증폭시키는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동북아 세력판도 변화와 더불어 돌출하는 다양한 갈등 요인들을 해소하기 위한 다자안보협력체 구축 과제는 미국의 리더십뿐만 아니라 우리의 외교능력을 시험하는 도전이 되고 있다.
주
1_ William G. Hyland, Clinton’s World: Remaking American Foreign Policy (Westport:
Praeger, 1999), pp. 3~4.
2_ Douglas Brinkley, “Democratic Enlargement: The Clinton Doctrine,” Foreign Policy (Spring 1997), pp. 111~127.
3_ 윌슨 대통령은 1918년 공개외교, 민족자결주의, 일반적 군축, 세력균형원칙 폐기 및 집단안 보체제 구축 등을 주장하는 대외정책 14개 원칙을 발표함으로써 미국 외교정책의 이상주 의적 전통을 수립하였다. Fraser Cameron, US Foreign Policy after the Cold War: Global hegemon or reluctant sheriff? (New York: Routledge, 2002), p. 6.
4_ Barack Obama, The Audacity of Hope (2006); 버락 오바마 저, 홍수원 역 『버락 오바마 담대한 희망』 (서울: 랜덤하우스, 2007), pp. 440~452 참조.
5_ 2008 Democratic National Convention, Remewing America’s Promise. <www.
demconvention.org.>
6_ “AgendaㆍForeign policy” The Obama-Biden Plan. <www.change.gov.>
7_ “Obama’s World,” The Economist (November 8, 2008), p 31.
8_ Ibid., p 32.
9_ “Strengthening our common security by investing in our common humanity,” <www.
barackoba-ma.com>.
10_ Ted Galen Carpenter and Doug Bandow, The Korean Conundrum: America’s Troubled Relations with North and South Korea (New York: Palgrave, 2004); 테드 게일런 카펜 터ㆍ더그 밴도 저, 유종근 역, 『한국과 이혼하라』 (서울: 창해, 2007), p. 260.
11_ Richard L. Armitage, et. al., The U.S.-Japan Alliance: Getting Asia Right through 2020 (CSIS, February 16, 2007).
12_ Richard L. Armitage, Joseph S. Nye, JR., et. al., CSIS Commission on Smart Power: A Smarter, more secure America (Washington D.C.: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2007).
13_ Obama-Biden, Strengthening our common security by investing in our common humanity, <www.barackobama.com>.
14_ “AgendaㆍEconomy” The Obama-Biden Plan, <www.change.gov>.
15_ Douglas J. Feith, Under Secretary of Defense for policy, “Transforming the U.S.
Global Defense Posture” (December 3, 2003), <www.defenselink.mil/speeches/2003/
sp20031203-0722.htm>.
16_ 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 SIPRI Yearbook 2008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17_ 『세계일보』, 2008년 11월 26일.
18_ National Intelligence Council, Mapping the Global Future: Report of the National Intelligence Council’s 2020 Project (December 2004).
19_ 배정호, 『미ㆍ일동맹의 강화와 주일미군 재편』 (서울: 통일연구원, 2005), pp. 5~6.
20_ Security Consultative Committee Document, U.S.-Japan Alliance: Transformation and Realignment for the Future (October 29, 2005).
21_ Brian P. Klein, “Asia’s Challenges For Obama,” Far Eastern Economic Review (November 2008), p 25.
22_ Kerry B. Dumbaugh, “China-U.S. Relations: Current Issues and Implications for U.S.
Policy,” CRS Report for Congress (Updated September 22, 2006), p. 5.
23_ USINFO.STATE.GOV, U.S. Wants Deeper Cooperation With China, State’s Zoellick Says (August 3, 2005).
24_ John Frisbie and Michael Overmyer, “U.S.-China Economic Relations: The Next Stage,” Current History (September 2006), p. 244.
25_ 『중앙일보』, 2008년 11월 10일.
26_ 『뉴스위크(한국판)』, 2008년 9월 3일, pp. 16∼19.
오바마 행정부의 동북아 정책김국신 27_ Owen Matthews, “The Medvedev Doctrine,” Newsweek, December 1, 2008, pp. 36
∼39.
28_ 『중앙일보』, 2008년 11월 27일; 『문화일보』, 2008년 11월 28일.
29_ 외교통상부, “2006년 한ㆍ미 장관급 전략대화: 전략적 유연성 설명자료,” 2006년 1월 22일.
30_ 김국신ㆍ박영호, 『한ㆍ미정상회담 결과 분석』 (서울: 통일연구원, 2008.4).
박 형 중(통일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