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고등교육 성과측정 도구

I. 서론

4. 고등교육 성과측정 도구

1) AHELO(Assessment of Higher Education Learning Outcomes)

AHELO는 OECD(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에서 주관하는 고등교육 학습성과를 평가하는 프로젝트로, 고등교육을 받은 학생들의 질을 평가할 수 있는 국제적인 표준 기준을 제안하고자 한다. AHELO 프로젝트의 주요 목표는 국제 표준기준에 따른 고등교육을 받은 인재를 관리하는 것이다. 개 인적 차원에서는 고등교육을 받은 학생들이 졸업 후 그들이 할 수 있는 일에 대한 데이터를 받을 수 있으며, 관련 기관 및 정부에서는 국제결과와 비교하여, 현재 제공되고 있는 학습 및 교수 질이 어디에 위치해있는 지를 확인하여 교육정책 및 지원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OECD, 2015a).

2010년~2012년에 걸쳐, 고등교육기관 및 전공영역의 다양성을 고려한 평가도구 를 개발하기 위해, 실행가능성 평가를 시행하였다. 이후, 2015년부터 6단계에 걸친 AHELO 프로젝트를 본격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AHELO 프로젝트에서 제안한 모 델은 [그림Ⅱ-2]와 같다.

[그림 Ⅱ-2] AHELO 프로젝트의 대학성과 측정모델

※ 출처: OECD (2015a). Getting the right data: the assessment instruments for the AHELO feasibility study. Retrieved from

http://www.oecd.org/education/skills-beyond-school/ahelo-main-study.htm

우리나라는 초기부터 AHELO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해당 연구는 총 3가지 요소인 일반 핵심능력(generic skills), 공학(engineering)과 경제(economics)가 선택 형 문항(MCQs: multiple choice questions)과 서술형 과제(CRTs: contructed response tasks)로 구성되어 있다(최정윤, 채재은, 2013; OECD, 2015a; OECD, 2015b).

상세하게 살펴보면, 일반 핵심능력은 광범위한 사고능력(broad abilities)에 해당 하는 사고능력이다(OECD, 2015a; 2015b). 여기에서 말하는 사고능력은 [그림 Ⅱ-3]

에서 볼 수 있듯이, 사고능력 모델의 중심원(core)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일반적인 영역(generally across domains)에서 이루어지는 사고이자, 다른 전공영역에도 전이 가 될 수 있는 사고능력을 의미한다. 이 때문에, 특정 전공에서 습득되는 전공지 식이나 지식과는 구별된다. 예를 들면, 일반 핵심능력에 언어・수적・공간 추리 능 력, 이해력, 문제해결력, 의사결정력 등의 복잡한 특정 사고가 포함된다(OECD, 2013; OECD, 2015a; Shavelson & Huang, 2003).

[그림 Ⅱ-3] AHELO 사업에서 정의한 일반 핵심능력

※ 출처: OECD(2011). p.6

선택형 문항은 ACER(Australian Council for Educational Research)에 의해 개발 된 평가도구의 문항을 사용하였으며, 총 25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총 평가시간 은 30분이 소요되며, 비판적 사고능력과 문제해결능력에 관해 묻고 있다. 비판적 사고력은 논쟁의 이해와 해석 및 판단, 결론과 관련된 논쟁과 증거인식, 논쟁 전 개방식의 분석과 평가, 논쟁의 강점과 약점을 평가하며, 문제해결능력은 문제의 연관성, 제한점, 규칙 및 결과를 파악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 활용, 추론, 정보 구 분, 일반화 및 가설화, 일상적인 상황에서의 결정능력을 평가한다(최정윤 외, 2011;

OECD, 2015b).

서술형 과제는 미국 CAE(Council for Aid to Education)에 의해 개발된 평가도구 인 CLA(Collegiate Learning Assessment)의 문항을 활용하였으며, 2종의 수행과제 (Performance Task)로 구성되었다. 총 평가시간은 90분이 소요되며, 학생들은 가상 시나리오 형식에 기반한 실생활 문제상황에 대한 해결방안을 찾는 방식이다. 메 모, 통계자료, 표, 그림, 데이터, 뉴스, 실증 연구결과 등 다양한 자료가 함께 제시 된다. 서술형 문항에 대한 예시는 [그림 Ⅱ-4]와 같다.

서술형 과제의 문항 예시

Ÿ 자신이 서울시의 시장이라고 가정하고 시의 범죄율 저하를 위한 정책 전략을 제시하라.

1) 약물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투자 증대,

2) 보안을 위한 강력 정책 실시 등 두 개의 정책 대안을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토대로 정책 전략을 제시하라

서술형 과제에서 함께 제공되는 자료의 목록 예시

Ÿ 메모 형식의 자료: 특정한 약물치료 프로그램보다는 거리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보다 많은 정책이 실행되어야 한다는 비판적인 의견

Ÿ 뉴스형식의 자료: 지역에서 발생하는 약물 관련 범죄에 관한 내용

Ÿ 연구 요약 형식의 자료: 약물치료의 효과성을 검증한 과학적인 실증연구 결과 Ÿ 웹문서 형식의 자료: 약물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한 다양한 연구결과들의

검색

Ÿ 데이터 형식의 자료: 정책부서에서 제공한 범죄와 커뮤니티에 관한 자료 Ÿ 통계자료: 약물중독자들의 비율과 범죄 발생률 관계를 비교한 통계자료

[그림 Ⅱ-4] 서술형 과제의 문항 및 제시자료 예시

※ 출처: 최정윤, 채재은(2013). p. 41.

다음으로 AHELO 전공영역인 경제학 및 공학의 평가에 대한 부분이다. 경제학의 경우, ‘Tuning-AHELO 경제학 학습성과 개념 틀’, ‘QAA Subject benchmark Statement for Economics 2007’, 다수의 경제학 전문가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개 발되었다. 개발된 도구는 개념의 응용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적절한 통계적・비통 계적 도구의 사용, 결론의 도출, 정책제안, 경제학 용어에 대한 능통성을 측정한다 (최정윤, 채재은, 2013). 총 45개의 선택형 문항과 1종의 서술평 평가 문항으로 구 성되어 있으며, 총 90분(선택형 60분, 서술형 30분)의 시간이 소요된다(최정윤, 채 재은, 2013; OECD, 2015b). 공학은 ‘Tuning-AHELO 공학 학습성과 개념 틀’ 및

‘AHELO 공학부문 워크숍’ 등 다양한 관련 자료를 참조하였으며, 공학 교육전문 가 자문을 바탕으로 개발되었다. 개발된 도구는 일반 공학기술, 공학 기초능력, 공 정의 분석, 설계, 실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학적・과학적 사고, 공학적 분석능 력, 설계능력 및 실질적인 문제해결을 위한 공학적 지식과 해석 활용능력을 평가 한다(OECD, 2013; OECD, 2015b). 총 20개 문항의 선택형 문항과 2종의 서술형 문 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90분의 평가시간이 소요된다(최정윤, 채재은, 2013;

OECD, 2015b). 그 외 대학생의 학습경험과 대학교육 환경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 여, 대학생 학습성과 평가결과와 연계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배경요인에 대한 설 문문항이 구성되어 있다(최정윤 외, 2011).

2)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시스템(K-CESA)

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은 고등교육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대학생 핵심역 량 진단체계를 구축하였다(손유미, 임언, 민주홍, 윤혜준, 한애리, 2017; K-CESA, 2020). 현재 총 6개의 역량인 의사소통 역량, 자원·정보·기술 활용 역량, 글로벌 역량, 종합적 사고력, 자기관리 역량, 대인관계 역량으로 K-CESA(Korea Collegiate Essential Skills Assessment)가 구성되어 있으며, 2010년부터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을 시행하고 있다(손유미 외, 2017).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은 K-CESA 활성화를 위한 10개년 계획을 세우고, K-CESA 고도화를 진행하고 있다 (손유미 외, 2017, <표 Ⅱ-8> 참조).

연구연차 2016년 2017년 2018-2019년 2020-2022년 2023-2025년 사업

목표

독립적 운영기반

마련

진단시스템 안정화

진단시스템 의 확장과

고도화

진단도구와 질 제고와 활용 확대

주요 사업

Ÿ 추가문항 개발 Ÿ 진단도구

개선과 안정화 방안마련 Ÿ DB분석/

활용방안 도출

Ÿ 추가문항 개발 Ÿ 추가핵심

역량도출

Ÿ 대학별

핵심역량 강화 노력지원

Ÿ DB분석

Ÿ 학술대회 개최

Ÿ 추가문항 개발

Ÿ 문항연구

Ÿ 추가핵심 역량도출 Ÿ 핵심역량

강화방안 /강화 프로그램 개발 Ÿ DB분석/

활용확대 Ÿ 학술대회

개최

Ÿ 추가문항 개발

Ÿ 문항연구

Ÿ 핵심역량 강화방안 /강화 프로그램 개발 Ÿ 문제은행식

진단도구 시스템 구축 Ÿ DB분석/

활용확대 Ÿ 학술대회

개최

Ÿ 추가문항 개발

Ÿ 문항연구

Ÿ 문제은행식 진단도구 시스템 구축 Ÿ 진단도구

타당도 분석

Ÿ 축척된

핵심역량 DB분석/

보급 Ÿ 학습대회

개최

<표 Ⅱ-8> K-CESA 사업추진 계획

대학자율역량강화지원사업(ACE+)에 선정된 학교는 참여가 필수적이며, 전국 200 여개의 대학에서 K-CESA에 참여하고 있다(김지원, 2019). 6개 역량 중, 2개 역량인 자기관리 역량과 대인관계 역량만이 자기점검형이고, 나머지 역량인 의사소통 역 량, 자원·정보·기술 활용 역량, 글로벌 역량, 종합적 사고력은 문제풀이형(선다 형)이거나 수행형이다(진미석, 손유미 주휘정, 오석영, 2011; K-CESA, 2020, <표 Ⅱ -9> 참조). K-CESA는 진단시간이 6~7시간 정도로 매우 긴 것이 특징이다(손유미 외, 2017; 홍성연, 2015).

하위

역량 내용 문항

수 문항유형 평가

시간

의사 소통 역량

적극적 경청과 이해능력: 듣기, 읽기(메시지 수신자가

언어적/비언어적 메시지 텍스트를 올바르게 발신자의 의도를 이해하고 메시지를 맥락화 하는 능력

32

선다형 (듣기, 일반),

수행형 (녹음, 일반)

78분 효과적인 의사전달 능력: 쓰기

말하기(메시지 발신자가 언어적, 비언어적 수단을 통하여 자신이 의도하는 의미를 정확하고, 명확하고, 논리적으로,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능력

토론과 조정능력: 사실이나 의견이 상충하는 상황에 이용가능한 정보를 바탕으로 최적의 논리적 주장을 펼쳐 나가면서 상대와 공유하는 부분을 찾아내는 능력

종합적 사고력

분석적 능력: 진술, 자료의 해석 및 관계 파악, 해결해야할 과제의 이해,

과제해결을 위해 필요한 정보파악 8 수행형 90분 추론적 능력: 주어진 진술, 내용에

포함된 정보로부터 타당한 결론

<표 Ⅱ-9> K-CESA 구성

하위

역량 내용 문항

수 문항유형 평가

시간 도출하거나 진술이나 주장이 어떠한

원리를 따르고 있는지 인식

평가적 능력: 과제 해결의 목적에 타당한 최적의 대안 선정, 기준에 근거한 진술, 가설, 대안 등 아이디어 검증, 예상되는 긍정적/부정적 결과 판단 대안적 능력: 과제해결을 위한 가설, 대안 등의 아이디어 생성의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

자원 정보 기술의

활용 역량

자원: 다양한 자원을

수집/조직/분석/활용/평가 하는 능력

30

선다형

45분 정보: 다양한 정보를

수집/조직/분석/활용/평가 하는 능력 기술: 다양한 기술을

수집/조직/분석/활용/평가 하는 능력

글로벌 역량

유연성 및 적극성: 다양한 문화를 받아들이고 적극적으로 새로운 문화나 환경에 도전하고자 하는 성향

48 30분

타문화에 대한 지식 및 이해: 일반적 글로벌 매너에 대한 지식 및

이해뿐아니라 다양한 국가의 정치, 역사, 지리, 문화에 대한 지식 및 이해

글로벌화 및 글로벌 경제에 대한 이해: 세계화 및 글로벌 정치경제에 대한 지식 및 이해

자기 관리 역량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습자 스스로 학습동기를 고양시키고 학습과정 및 전략을 결정하여 주도적으로

학습하는 능력

60

자기점검 (Liket 5점

척도)

제한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