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서론
7. 대학별 핵심역량 평가현황
K-CESA와 같은 국가차원의 역량진단 도구는 표준화와 국제적인 기준에 걸 맞는 공통성, 범용성의 특성을 갖는 반면, 대학 자체의 역량진단 도구는 해당 대학의 맥락을 고려한다는 점에서 차별성, 특수성, 적용성의 차이점을 갖고 있다(노윤신, 리상섭, 2013; 홍성연 외, 2016).
개인의 성과 또는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특정 사건들을 행동적 언어로 구체화하 고, 도출된 행동의 예를 체계적으로 추출하여 행동에 대한 성과를 측정하는 척도 를 개발한다(노윤신, 리상섭, 2013). 해당 척도를 개발하는 방법에는 Likert 척도(박 동열, 2006), 행동기술척도(BARS: Behaviorally Anchored Rating Scales)와 행동관찰 척도(BOS: Behavioral Observation Scales) 등이 있다(이종범 외, 2010; Latham &
Wexley, 1989). BOS는 BARS와 함께, 행동적 진술문을 이용하여 평가를 수행한다 는 점이 비슷하지만, 각 역량에 대한 성과행위를 평가요소별로 세부 행동지표를 개발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노윤신, 리상섭, 2013; 이종범 외, 2010). 본 장에서 는 최근 대학별 핵심역량 평가에서 많이 사용되는 Likert 척도와 BARS를 살펴보고 대학별 현황과 함께 정리하였다. Likert 척도와 BARS에 대한 설명을 요약하면 아 래의 <표 Ⅱ-17>과 같다.
Likert 척도 BARS
특징
Ÿ 특정 대상, 현상 등에 대한 개인 의 태도, 성향의 강도 측정 Ÿ 3점, 5점 등의 등간격을 가진 응
답 범주를 측정개발 및 점수화 의 용이함으로 기존의 많은 도 구에서 활용
Ÿ 측정하고자 하는 핵심적인 행동 을 우수행동에서 미숙행동까지 수준별로 구분하고, 수준별 행동 특성 및 행동기준을 평정척도 상에 명시적으로 제시함
Ÿ 많은 전문가의 참여와 검토가 필요함
장점
Ÿ 측정도구 개발 용이 Ÿ 척도화의 절차 간편
Ÿ 다양한 상황과 조건에 적용하기 용이
Ÿ 평가자가 실제 자신의 행동을 고려하여 응답하므로 높은 안면 타당도 확보(Cocanougher & Iva ncevich, 1978)
<표 Ⅱ-17> Likert 척도와 BARS 특성 비교
Likert 척도 BARS
Ÿ 전통적 평정방식의 문제점인 평 가자 오류, 낮은 신뢰도 및 타당 도 등을 개선 가능함
Ÿ 개발과정에서 평가의 방향이 명 료해짐
단점
Ÿ 응답의 중립화, 평가자 간 평가 기준 차이 큼
Ÿ 낮은 신뢰도, 낮은 타당도 Ÿ 실제 평가자의 특성 수준과 평
정 수준에 차이 있음
Ÿ 측정도구 개발에 많은 시간과 노력 소요, 문항별 행동기준 정 의 어려움
Ÿ 정의된 행동기준이 응답자의 수 준을 객관적으로 구분하는지 평 가 어려움
1) Likert 척도
행동을 측정하는 방법은 크게 관찰법과 인터뷰, 자기보고식 검사도구의 3가지 방법이 있다(서진숙, 1998; Jepsen & Dustin, 1984). 이 가운데 자기보고식 검사 도 구는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고 많은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 에, 많은 연구에서 자주 활용되고 있다(정윤경, 정연재, 정기섭, 2019). 특히, 자료 수집 및 분석이 용이하다는 점 때문에, 대학생의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에 활용 되고 있다(권승아 외, 2020).
자기보고식 검사는 응답자의 응답 외 결과를 파악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지만 (노윤신, 리상섭, 2013), 심리적 속성이 아닌 행동을 측정하게 되면 기억의 착오에 의한 영향을 덜 받을 수 있다(서진숙, 1998). 그 중 Likert 척도는 관념, 대상, 현상 등에 대해, 개인이 가지고 있는 태도나 성향의 강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긍정과 부 정 혹은 만족과 불만족 등 양극단을 연속체로 가정하고, 이를 점수로 구분하여 3 점, 4점, 5점 등으로 응답범주를 설정하여 측정한다(권승아 외, 2020, p.202 재인 용). 이는 피검자 중심(subject-centered) 접근방법이며 Likert 척도의 모든 문항에 대한 동일한 가중치를 부여하기 때문에, 점수들의 합(total score)으로 계산될 수 있는 합산적 평정이 가능하다(백순근, 2007; 백순근, 김미림, 2010).
한편, Likert 척도는 서열척도(ordinary scale)의 성격을 띠고 있기 때문에 피검자 의 점수는 문항속성에 대한 태도가 긍정에서 부정 순으로 배열하는 데 사용된다 (백순근, 2007; 백순근, 김미림, 2010; Weems, Onwuegbuzie, & Lusting, 2003). 또한 공통적으로 응답자의 주관적인 기준과 관점으로 측정된 결과이기 때문에 실질적인 행동과 역량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이 한계로 지적되고 있다(권승아 외, 2020).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의 역량이 측정되어야 함 이 강조됨과 동시에, Likert 척도를 활용한 측정과 함께 실제 수행능력이 평가될 수 있도록 주요 교과목에서의 수행 결과를 반영하거나(박영신 외, 2017), 성취도 문항을 포함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정윤경 외, 2019).
2) Likert 척도를 활용한 대학별 핵심역량 측정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는 2015년부터 역량기반 교육 체제 구축을 위해, 이화핵심역량진 단평가(ECCA: Ewha Core Competence Assessment)을 개발하고 관련 교육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이화여자대학교는 ‘THE 인재상([그림 Ⅱ-8] 참조)’에 근거한 5개 의 핵심역량(지식탐구역량, 창의융합역량, 문화예술역량, 공존공감역량, 세계시민역 량)을 규명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이화핵심역량진단평가(ECCA:
Ewha Core Competence Assessment) 도구를 개발하였다(<표 Ⅱ-18> 참조).
현재 이화여자대학교는 2019년부터 ‘THE 포트폴리오’에 ECCA 도구를 탑재하 면서 언제나 학생들이 자신의 역량을 진단하고 확인할 수 있는 체계가 구축하였 다. 자기보고식 Likert 5점 척도로 핵심역량을 측정하고 있다. 이를 통해, 매년 재 학생들의 역량을 학년별, 계열별, 단대별로 분석하고, 문제점을 찾아내어 교육지원 방안 및 전략을 도출하고 있다.
T: 주도하는 인재 H: 지혜로운 인재 E: 실천하는 인재 Ÿ 주도하는 인재는 전문
적 능력을 키우는 지 식탐구역량을 바탕으 로 하여 학문의 경계 를 넘어서 배우고 새 로운 지식을 창출해 내는 창의융합역량을 갖춤
Ÿ 지혜로운 인재는 문화 가 삶에 끼치는 영향 과 예술의 가치를 아 는 문화예술역량을 갖 추고 변화 하는 세계 를 이해하며 열린 사 고를 하는 공존공감역 량을 갖춤
Ÿ 실천하는 인재는 사회 적 약자에게 공감하고 타인과 함께 어우러지 는 공존공감역량을 갖 추고 국제 세계와 소 통할 수 있는 세계시 민역량을 갖춤
[그림 Ⅱ-8] The 인재상과 ECCA
※ 이화여자대학교(2020. 09.). 인재상 및 핵심역량. https://ewha.ac.kr/ewha/intro/talent.do 에서 발췌함.
핵심역량 세부 역량 지식탐구역량
인간, 사회, 자연을 이해하고, 지식 탐구의 방법을 습득하여 지식의 의미와 가치를 통찰하는 역량
전문지식 자기주도 학습 비판적·체계적 사고
창의융합역량
기존의 지식과 정보를 결합하여 이를 현실에 적용하며, 지식 간의 연관성을 파악하여 새로운 발상을 하는 역량
통섭적 사고 창조적 도전 정보처리 및 활용
문화예술역량
자유, 즐거움, 소통이 이루어지는 문화와 예술의 가치를 이해하고 향유하며, 문화적 통찰력을 바탕으로 창조적 성취를 이루는 역량
예술적 향유와 심미적 창조
문화적 통찰력 조화로운 정신
공존공감역량
상대를 배려하고 공감하는 태도를 갖추고, 집단 속에서 조화를 이루며 유연하게 적응하고, 공동체와 환경의 문제를 자신의 일로 아는 역량
공동체적 가치와 소통·협력 사회적 책무성 나눔과 배려
세계시민역량
국제 사회에서 소통하는
시민의식과 언어 능력을 갖추고 다양한 문화적 차이와 국제문제를 이해하고 주도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역량
외국어 소통 능력 문화적 포용력 국제적 시각
※ 이화여자대학교(2020. 09.). 인재상 및 핵심역량.
https://ewha.ac.kr/ewha/intro/talent.do에서 발췌함.
<표 Ⅱ-18> ECCA의 핵심역량 구성
□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는 ‘글로벌 창의혁신리더’를 인재상으로 규명하고(성균관대학교, 2020a), 전문성, 인포매틱스, 창의융합, 문제해결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고자 교육 시스템 전반의 변화를 추진하였다(배상훈, 김경언, 2018). 이를 위해, 학사정보 Big-Data와 SCCA 데이터 및 교수성과관리(FPM)시스템을 과학적으로 활용하여 종 합적인 Academic Life Cycle(ALC) 질 관리모델을 구축하여, 성균관대학교에 입학 하는 순간부터 학생들에게 다양한 교육지원을 제공하고 있다(성균관대학교, 2020e, [그림 Ⅱ-9] 참조).
[그림 Ⅱ-9] SCCA/Big-Data/FPM 시스템을 통한 ALC 질 관리 모델
※ 출처: 성균관대학교(2020. 09e.) 질관리 모델(ALC: Academic Life Cycle).
http://cihe.skku.edu/ace/pro_ alc.do에서 발췌함.
성균 핵심역량진단(SCCA: Sungkyun Core competencies Assessment)은 소통역량,
인문역량, 학문역량, 글로벌역량, 창의역량, 리더역량의 6대 핵심역량으로 구성되 어 있다(성균관대학교, 2020d). Likert 5점 척도이며, 15~20분정도의 시간이 소요된 다(성균관대학교, 2020c).
성균관대학교는 2005년에 교양기초교육을 강화하고 신입생의 대학생활을 지원하 기 위해 학부대학을 설립하였다(김혜영, 이은하, 주양선, 2017). 학부대학에서는 인 성, 교양, 기초교육을 총괄 및 운영하고 있으며, 관련 교육과정 구성체계 및 성균 핵심역량과의 연계성은 <표 Ⅱ-19>와 같다(성균관대학교, 2020a).
교육과정 편성 영역 최소 이수 학점
성균핵심역량
1순위 2순위 3순위 성균
인성영역
인성 2 인문역량 소통역량 리더역량
리더십 2 리더역량 글로벌역량 소통역량
중점 교양 영역
의사소통 4 소통역량 학문역량 창의역량
창의와 소프트웨어 2~6 창의역량 학문역량 소통역량
글로벌
기본영어 4 소통역량 글로벌역량 리더역량
전문영어 2 글로벌역량 소통역량 인문역량
글로벌문화 글로벌역량 인문역량 학문역량
균형 교양 영역
인간/문화의 이해 3 인문역량 학문역량 글로벌역량 사회/역사의 이해 3 학문역량 인문역량 창의역량 자연/과학/기술의
이해 3 학문역량 인문역량 창의역량
기초영역 기초인문사회과학
9~30 학문역량 인문역량 글로벌역량
기초자연과학 학문역량 창의역량 글로벌역량
※ 출처: 성균관대학교(2020. 09). 교육목표/브로슈어.
https://hakbu.skku.edu/hakbu/intro/objective.do에서 발췌함.
<표 Ⅱ-19> 성균관대학교 학부대학 교육과정 구성체계
특히, 성균관대학교는 학생들이 성균 핵심역량을 보다 체계적으로 함양할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