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I. 서론

2. 탐색적 요인분석

1차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삭제된 2개 문항을 제외한 20개 문항에 대하여 2차 탐 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2차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KMO값은 .890으로 1에 가깝고, 바틀렛 구형성 검정 통계값은 1620.380(

df

=190,

p

=.000)으로 유의수준 .01에 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요인분석하기에 적합한 자료로 나타났다. 2차 탐색적 요 인분석 KMO 표본 적합도 및 바틀렛 검정 결과는 <표 Ⅴ-2>와 같다.

2차 탐색적 요인분석은 주성분 분석으로 하고 요인회전은 varimax 직각회전을 적용하여 최종 구조를 추출한 결과, 4가지 요인으로 추출되었으며 요인분석 결과 로서 요인별 요인부하량은 <표 Ⅴ-3>과 같다. 요인1은 전체분산의 16.661%, 요인2 는 전체분산의 15.889%, 요인3은 전체분산의 12.459%, 요인4는 전체분산의 11.383%를 설명하고 있다. 즉, 4가지 요인은 전체 분산의 56.393%를 설명하고 있 다.

2차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를 토대로 요인 해석 가능성을 검토하여 4가지 요인의 20개 문항을 확정하였다. 확정한 4가지 요인은 예비검사의 3개 영역, 7개 요인 중 지식융합능력 영역을 구성하는 지식균형, 지식융합의 문항이 요인 1, 창의적 문제 해결력 영역을 구성하는 창의성, 문제해결력의 문항이 요인 2, 가치관 영역을 구 성하는 상황인식, 가치정립, 가치추구의 문항 중 과학 관련 문항이 요인3, 가치관 영역을 구성하는 상황인식, 가치정립, 가치추구의 문항 중 인문, 사회 관련 문항이 요인 4로 결정되었다.

연구진은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추출된 4가지 요인에 대하여 각각, 요인1을

‘지식융합능력’, 요인2를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요인3을 ‘과학적 가치’, 요인4를 ‘인문학적 가치’로 명명하였다.

번호 문항 내용 요인

1 2 3 4

B1_1_3 교양수업을 통한 다양한 학문분야의 지식을

나의 삶에 적용하는 수준은? .743 .154 .169 .181 B1_1_2 교양수업을 통한 다양한 학문분야의 지식을 .701 .121 .207 .112

<표 Ⅴ-3> 2차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번호 문항 내용 요인

1 2 3 4

습득하는 나의 수준은?

B1_1_1 교양수업을 통한 다양한 학문분야 지식

습득의 중요성에 대한 나의 인식 수준은? .699 .144 .089 .191 B1_2_3 교양과목을 통해 배운 지식을 전공에

적용하는 나의 수준은? .633 .182 .269 .112 B1_2_1 교양과목에서 언급하는 '지식융합'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는 나의 수준은? .538 .178 .169 .075 B1_2_2 ‘지식융합'을 통해 교양과목의 과제를

해결하는 나의 수준은? .526 .385 -.004 .200 B2_2_1 문제 상황을 발견하였을 때, 문제 해결을

위한 나의 행동 수준은? .296 .717 -.017 .163 B2_2_2 실현가능성을 고려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나의 수준은? .201 .700 .029 .253 B2_1_1 새로운 아이디어를 만들 때, 나의 방법은? .039 .690 .445 .043 B2_1_2 새로운 아이디어를 만들고 표현하는 나의

수준은? .030 .689 .358 .084

B2_2_3 익숙하지 않은 문제를 해결해야 할 때, 나의

행동 수준은? .370 .621 .053 .038 B2_1_4 과제 해결을 위해 하나의 답을 선택하는

나의 방법은? .229 .554 .067 .284 A1_3 과학기술이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나의

생각은? .157 .075 .768 .072

A2_3 과학기술분야의 쟁점을 비교하여, 판단할

때의 나의 행동은? .240 .117 .765 .143 A3_3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사회변화에 대한

나의 대응의 수준은? .213 .197 .677 .223 A3_1 바람직한 삶의 방향성을 나의 삶에

적용하는 수준은? .131 .240 .077 .772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추출된 요인 간 상관계수는 .427-.606 범위로 나타났으며

<표 Ⅴ-4>와 같다. 4가지 요인 간 상관은 모두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지식 융합능력’과 ‘인문학적 가치’ 요인의 상관계수가 .60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 다.

추출된 요인 지식융합능력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과학적 가치 인문학적 가치 지식융합능력 1.000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563*** 1.000

과학적 가치 .465*** .427*** 1.000

인문학적 가치 .606*** .541*** .506*** 1.000

*** p < .001

<표 Ⅴ-4>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추출된 요인 간 상관행렬

번호 문항 내용 요인

1 2 3 4

A2_1 삶의 문제에 대한 나의 가치관 정립은? .097 .155 .148 .748 A1_1 인간다운 삶에 대한 나의 생각은? .276 -.006 .425 .543 A3_2 사회발전을 위해 나의 역할을 수행하는

수준은? .403 .188 .092 .511

A2_2 사회적 갈등상황을 판단하는 나의 기준은? .349 .288 .356 .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