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31> 교육인적자원부 재조직화시 평생 및 인적자원 관련 조직
(2) T3~T4(교육인적자원부 시기)
노무현 정부의 교육인적자원부 재조직화의 주요 특징으로 첫째, 학교정책실에 인적자원관련 관련된 기능이 추가되었다는 점이다. 과 학교육 및 영재교육 진흥 사항이 학교정책실 과학교육정책과(2003.
7)에, 고등학교 직업교육 및 현장실습 지원에 관한 사항이 과학실업 교육정책과(2004. 3)에 나타난다<표32>. 즉, 기존에 교육과 산업이 라는 측면에서 구분이 되어 고등교육 및 평생교육과 관련하여 적용 되었던 인적자원 관련 기능이 2004년 이후로 중등교육까지 확대되 어 중등교육 정책에 인적자원정책 기능이 합쳐진 과 수준의 융합이 나타난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후 2005년 8월 ‘제 11항 고등학교 직업교육체제 혁신방안에 관한 사항’이 추가되었고, 2007년 8월에 는 제 1항 ‘초·중등학교 과학교육’이 ‘초·중등학교 과학·직업교육’으 로 기능범위가 확대된다<표32>.
교육부(1999.8) 교육인적자원부(2001)
▪평생교육국 -평생학습정책과 -산업교육정책과 -전문대학지원과
▪평생직업교육국 -평생학습정책과 -직업교육정책과 -전문대학지원과
▪인적자원정책국 -정책총괄과 -조정1과 -조정2과 -정책분석과
<표 32> 학교정책실 과학교육정책의 시기별 변화
둘째, 기존 ‘대학지원국’을 기능변화가 거의 없는 상태에서 ‘인적 자원관리국’으로 명칭을 변경한 것이 큰 특징이다. ‘교육인적자원부 와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2004.3)’의 개정이유로 ‘인적자원정 책국·평생직업교육국 및 대학지원국을 각각 인적자원총괄국·인적자 원개발국 및 인적자원관리국으로 개편하는 등 교육인적자원부의 하 부조직과 기능이 합리적으로 조정’으로 제시하고 있다. 기존 교육 분야였던 교육자치지원국은 학교정책실로 흡수되어 통합되고, 기존 대학지원국은 기능변화 없이 인적자원관리국으로 상징적 의미에서 명칭이 변경되게 된다46). 대학을 고등교육 입장에서 접근하였다면 2004년 3월 이후 인적자원관리 공간으로 의미부여 했음을 알 수
46) 2005년 8월 교육인적자원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대통령령 제19021호) 개정 이유에 ‘국 의 명칭을 수요자가 알기 쉽도록 변경’을 포함되어 있다. 반영 결과 ‘대학지원국(2003)→
인적자원관리국(2004)→대학지원국(2005)’으로, ‘인적자원정책국(2003)→ 인적자원총괄 국(2004)→ 인적자원정책국(2005)’으로, ‘평생직업교육국(2003)→ 인적자원개발국(2004)
→ 평생직업교육지원국(2005)’으로 각각 변경과정을 거치게 된다.
학교정책실(2003.7) 학교정책실(2004.3) 학교정책실(2007.8)
⑤ 과 학 교 육 정 책 과 장 은 다음 사항을 분장한다.
<신설 2003. 7. 25.>
1. 초·중등학교 과학교육 에 관한 기본정책의 수 립·지원
2. 과학고등학교의 제도 개선 및 운영지원
5. 영재교육진흥에 관한 기본정책의 수립
8. 청소년의 이공계 진 출 촉진에 관한 사항
⑤과학실업교육정책과장 은 다음 사항을 분장한 다. <신설 2003. 7.
25., 2004. 3. 5.>
8. 고등학교 직업교육 촉진 및 지원
9. 고등학교의 현장실습 지원에 관한 사항
10. 실업계 고교 교육과 정 운영지원
⑦과학산업교육정책과장 은 다음 사항에 관하여 교육과정정책관을 보좌 한다.
1. 초·중등학교 과학·직 업교육에 관한 기본정책 의 수립·지원
12. 고등학교 직업교육 체제 혁신방안에 관한 사항
있다<표33>.
<표 33> 교육인적자원부 실국명칭의 변화(2004)
마지막으로 교육인적자원부는 내부 인력구성을 다양화되는 특징 이 나타난다. 교육과 인적자원 기능이 섞여 있는 상황에서 출신 직 렬은 내부 구성원들의 중요한 분류 기준이 된다. 2004년 3월 이후 실국장급에서 학교정책실장(장학관), 인적자원관리국장(일반직) 이외 인적자원개발국장 및 국제교육화정보국장은 일반/공업/시설정보 계 통까지 개방한다. 과 수준에서는 학교정책실 다수과, 인적자원개발 국 전체, 인적자원관리국 전체, 국제교육화정보국 전체가 일반/공업/
시설/정산 계통에 개방되어 인적자원기능이 강조되어 다양한 분야의 직렬 인력이 요구되고 교류의 필요성을 반영하고 있다.
2007년 7월 일부개정을 통해 인적자원개발정책의 수립·총괄·조 정 및 평가와 관련 예산사업에 대한 조사·분석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인적자원정책국을 인적자원정책본부로 확대 개편하 는 등 인적자원정책과 관련하여 조직 확대가 나타나게 된다. 이 과 정에서 정식 보조기구인 ‘국’, ‘부’ 대신 ‘조정관, 평가관, 지원관’을 두어 밑에 2~3개 팀을 배치한 것이 특징이다47).
교육인적자원부(2003.7) 교육인적자원부(2004.3)
▪학교정책실
-과학교육정책과(신설)
▪인적자원정책국
▪평생직업교육국
▪대학지원국
▪학교정책실
-과학실업교육정책과(개정 2004.3)
▪인적자원총괄국
▪인적자원개발국
▪인적자원관리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