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T0~T2(해양수산부)
21세기 해양경쟁시대를 맞이하여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해양행정 체제를 구축하기 위해서 1996년 8월 농림수산부의 어촌․수산관련 업무 및 농림수산부 소속 수산청과 건설교통부 소속 해운항만청 및 수로국(외국)을 통합하여 해양수산부를 신설한다. 이때 농림수산부
③정책총괄과장은 다음 사항을 분장한다.
1. 정보통신산업·통신·전파·방송전송 및 국제협력등 정보통신관련 주요 정책의 종합
3. 정보통신산업 육성 및 지원정책의 수립·시행
④지식정보산업과장은 다음 사항을 분장한다.
1. 정보통신에 의한 지식과 정보의 생산·유통 및 이용촉진등에 관한 정 책의 개발
2. 인터넷·지식기반관련 산업등 정보통신분야 신산업의 개발 및 고용창 출에 관한 사항
⑤소프트웨어진흥과장은 다음 사항을 분장한다.
1. 소프트웨어(영화·음악·게임등의 내용에 관한 것을 제외한다. 이하 이 항에서 같다)산업의 육성에 관한 기본계획의 수립·시행
3. 소프트웨어의 생산·유통등에 관한 제도의 정비
5. 정보처리산업·데이타베이스산업 및 시스템통합산업의 육성·지원
⑥기술정책과장은 다음 사항을 분장한다.
1. 정보통신기술의 진흥에 관한 기본정책
⑦산업기술과장은 다음 사항을 분장한다.
7. 정보통신기업의 육성지원을 위한 정책 및 제도의 개발 8. 정보통신분야 산업인력 지원에 관한 사항
9. 정보통신 중소기업·벤처기업의 활성화시책 수립·시행
는 농림부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수산통계기능을 담당하는 일부 공 무원이 해양수산부로 이동하는 것 이외에는 기존 ‘농림수산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에서 어촌, 수산이라는 용어를 빼는 정도의 변화만 나타나 조직 원형을 거의 그대로를 유지한다.37) 즉, 농림수산부의 경우 기능 이전이라기보다는 정책 범위를 축소하여 중복 영역이 발 생하지 않는 정도의 정비가 이루어진다. 해양수산부의 실질적 조직 구성은 수산청과 해운항만청의 조직을 기본으로 하며, 수로국은 소 속기관인 국립해양조사원 기능으로 이동한다<표20>. 여기에 더해 실질적 해양수산부의 신설 목적인 해양수산과 관련 종합적 정책기 능인 해양정책실을(정책총괄과, 해양개발과, 해양환경과, 해양조사 과)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집행기능을 실무부서에 배치하고 4개과 를 통해 종합 정책기능을 신설한다.38) 추가적으로 ‘해운선반국>어선 과’가 기존 해운항만청 중심의 실국단위에 수산청 하위 과였던 어선 과가 추가되어 실국 수준의 통합이 1건으로 유일하게 나타난다. 종 합하면 해양수산부 초기 실국 수준의 통합 1건과 총괄기능 4개과 신설로 정리할 수 있다.
37) 박근혜 정권 초 농림수산식품부(2012)에서 수산기능이 빠져 농림축산식품부(2013)로 전환될 때에도 같은 현상이 나타난다.
38) 기존 부처기능의 융합으로 보기보다는 새로운 종합정책기능의 추가로 볼 수 있으며, 부 처통합의 긍정적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표 20> 해양수산부 재조직화 전후 실국의 변화(기능조직)
1997년 5월 해양법(EEZ등)관련 급격한 행정환경 및 수요 변화 를 반영하여 기존 해운/항만/수산기능으로 분리된 일선집행기관을 합리적으로 통합하는 목적의 ‘해양수산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전부 개정이 나타난다. 안전이 강조되어 안전심의관이 등장하며, 항만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항만장비과가 신설된다. 또한, 해양 국제법 행 정지도를 위해 어업관리과가 신설된다. (1) 해운선원국, 항만정책국, 항만건설국으로 개편한 내용은 모두 기존 해운항만청 소속 기능과 과들로 재편되었고, (2) 수산정책국, 어업진흥국, 어촌개발국은 수산 청 기능 중심으로 재편되었다. 실국수준의 통합으로 분류되었던 ‘해 운선박국>어선과’는 수산청 중심 어업진흥국으로 이동하여 통합이 사라지게 되었다. 기존 해양정책실과 해운선반국을 통합하여 9개 과 로 확대하는데 과 명칭변경 및 기계적 재배치로 분류할 수 있다. 요 약하면 김영삼 정권 말 해양수산부는 실국수준 통합 0건으로 변경, 새로운 총괄기능 과 4건 유지로 정리할 수 있다.
수산청(1995.7) 해양수산부(1996)
▪수산정책국
▪생산국
▪시설관리국
▪수산진흥국
▪수산자원국
▪수산물유통국 해운항만청(1995.7)
▪해운국
▪항무국
▪개발국
▪선박국
▪해운선박국
▪항무국
▪항만건설국 수로국(1996.3)
▪수로과, 측량과, 해도과, 해양과 ▪소속기관 국립해양조사원
(2) T3~T4(해양수산부)
김대중 정부에 들어와서 큰 특징은 9개과로 확대되었던 ‘해양정 책실’이 안전과 관련되는 부분을 차관직속 안전관리관과 담당관 체 제로 바꾸면서 ‘해양정책국’으로 축소․개편하였다. 이 과정에서도 기 능 수산청 영역과 해운항만청 영역은 분리된 상태가 지속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