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한국 사회의 건강권 개념 분석을 위해 다음 <그림 5>와 같이 학술 문 헌에 대한 내용분석과 ‘2013 건강권 서울시민회의’의 숙의적 산물에 대 한 내용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림 5. 연구 목적과 방법

한국 사회의 건강권 개념을 분석하는 것은 관찰에 의해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여 증명할 수 있는 경험적 질문이며, 경험적 질문 중에서는 상황, 과정 등을 기술(記述)하는 기술적 질문에 해당한다(남궁근, 2011:119-120). 따라서 기술적 조사 설계에 적합한 내용분석, 즉 하나의 커뮤니케이션에 담긴 총체적 내용을 연구의 관심과 관련된 특징을 보여 주는 범주들로 축소하는 분석 방법을 사용한다(남궁근, 2011:330).

내용분석이란 텍스트 혹은 다른 유의미한 물질로부터 그것의 사용 맥

락을 반복 가능하고 타당하게 추론하는 연구 기법으로(Krippendorff, 2004: 18), 현상에 대한 응축되고 광범위한 서술에 도달하는 것을 목적으 로 한다(Elo and Kyngas, 2008: 108). 내용분석을 양적 내용분석과 질적 내용분석으로 구분하는 것에 비판적인 견해가 있다(Krippendorff, 2004:

16, 87). 하지만 이 논문의 실제 연구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 해결에 질적 내용분석의 전략이 유용하였기 때문에 질적 내용분석과 양적 내용분석 의 차이를 인정하면서도 상호배타적이지 않고 함께 사용할 수 있다는 관 점에서 두 가지 접근법에 대해 간략히 언급하고자 한다(Zhang and Wildemuth, 2009: 1).

양적 내용분석과 질적 내용분석의 주된 공통점은 유사한 데이터 조각 을 묶는 일관된 코드(codes)21)의 집합을 사용하는 것이고 주된 차이점은 코드 생성 절차와 빈도수를 사용하는 방식이다(Morgan, 1993: 114-115).

이를 종합하여 살펴보면, 내용분석의 한쪽 극단에는 사전에 결정된 코드 로 시작하여 기계적 검색 절차를 통해 나온 빈도수로 분석을 종료하는 양적 내용분석이 있고, 다른 한쪽 극단에는 데이터 그 자체에서 출현한 코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신중히 읽어서 나온 빈도수는 그 패턴을 발견 하여 데이터 해석에 사용하는 질적 내용분석이 있다(Morgan, 1993:

116). 그리고 양 극단 사이에 광범위한 중간지대가 존재한다(Morgan, 1993: 116-120).

이 연구의 내용분석은 코드 생성 절차 측면에서 초기에 기존 문헌에서 코드를 도출했지만 이후 전체 논문의 4.9%에 대한 예비조사를 통해 최 종적으로 코드를 확정했고22) 분석 대상에 최종 코드를 적용하였을 때

21) 코드(codes)란 연구에서 수집된 서술적 정보나 추론적 정보에 대해 의미 단위를 지정하기 위 한 태그나 라벨을 의미한다(Miles and Huberman, 1994: 56).

22) 초기의 코드가 어떻게 개발되는지에 따라 질적 내용분석을 전통적(conventional), 지시적 (directed), 총합적(summative) 접근법으로 구분하는 입장이 있다(Hsieh and Shannon, 2005:

1277). 이중 전통적 접근법은 기존 이론이나 연구가 제한적일 때 데이터 분석 과정에서 데이 터로부터 코드가 도출되고, 지식적 접근법은 기존 이론이나 연구로부터 초기의 코드를 도출한 후 데이터 분석과정에서 수정․추가하여 최종 개발하며, 텍스트 안의 특정 단어나 내용을 확인 하고 정량화하여 사용법을 탐색하는 총합적 접근법은 그 단어나 내용을 연구자 관심이나 문헌 고찰로부터 도출한다(Hsieh and Shannon, 2005: 1283, 1286). 이 연구에서 코드는 초기에 기존 문헌에서 도출하고 이후 예비조사를 통해 최종 확정하였기 때문에 질적 내용분석의 지시

분석 대상을 주의 깊게 읽기 위한 수단으로 기계적 검색을 사용했다. 또 한 빈도수의 사용 방식 측면에서 분석 결과 나타난 빈도수는 1990년부 터 발표된 건강권에 관한 국내 학술 논문의 추세, 특성, 건강권 명명(命 名) 현황을 확인하고 해석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전체 연구 과정은 다음 표와 같이 사전준비, 단위구분, 분석대상 선정, 코딩, 축약, 추론, 서술로 구성된다.23) 물론 이들 과정은 선형적으로 이루 어지지 않고 특정 과정을 되풀이하거나 건너뛰기도 하였다 (Krippendorff, 2004: 85). 건강권에 관한 국내 학술 문헌 내용분석 과정 에서 단위 구분, 분석대상 선정, 코더 안정성 평가를 제외한 과정은

‘2013 건강권 서울시민회의’와 공유된다.

연구 과정 연구 내용

사전준비 내용분석 방법론과 건강권에 대한 문헌 고찰

단위구분, 분석대상 선정* 분석대상 논문 검색, 연구 설계

코딩, 축약 코딩표와 코딩지침 개발, 예비조사

코딩, 코딩 재검토 코더 안정성 평가

축약, 추론, 서술 코딩 산출물 분석

*분석대상 선정은 다음 절의 수집 방법에서 서술함글쓰기 표 6. 건강권 관련 학술 논문에 대한 내용분석의 과정

(1) 사전준비

필자와 외부 코더 2인이 포함된 모임에서 단행본

Content Analysis:

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Krippendorff 2004)와 『미디어메 세지 분석 - 양적 내용분석방법을 중심으로』(Riffe et al. 2011)를 통해 내용분석 방법론에 대한 세미나를 수행하였다. 또한 필자와 외부 코더 2

적 접근법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23) Krippendorff는 내용분석의 구성요소로 단위구분(unitizing), 표집(sampling), 기록(recording)․

코딩(coding), 축약(reducing), 가추적 추론(abductively inferring), 서술(narrating)을 언급했다 (Krippendorff, 2004: 83-86)

인이 포함된 다른 모임에서 인권(이론, 이념, 정치)과 건강권(국제법상 건강권, 유엔 경제적, 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 위원회 일반논평 14, 헌법 상 건강권, 건강과 인권, 건강권 비판, 논쟁점 등)에 대한 문헌 세미나를 수행하였다. 필자의 경우 전술한 두 가지 모임에서 고찰하지 않은 내용 분석 방법론 관련 문헌이나 인권․건강권 관련 문헌을 추가적으로 고찰 하였고 이를 통해 초기의 연구 과정 설계와 코딩표, 코딩 지침을 개발하 였다.

(2) 단위구분(unitizing)

단위(units)는 독립적 요소로서 구분하고 취급하는 모든 것이다 (Krippendorff, 2004: 97). 하지만 단위의 유형 분류는 학자마다 다소 상 이하다. 국내 학술 논문 분석에서는 Riffe 등(2011)의 분류24)를 수정하여 선택 단위(selecting unit), 코딩 단위(coding unit), 맥락 단위(context unit), 분석 단위(analysis unit)로 구분하고 아래 표와 같이 조작적으로 정의하였다.

‘2013 건강권 서울시민회의’ 분석에서 선택 단위는 ‘2013 건강권 서울 시민회의’의 진행 단계별로 작성하도록 요청된 개별 건강권 주장이며 이 는 분석 단위와 동일하고, 분석대상 선정과도 동일하다. 또한 코딩 단위 는 의미가 구분되는 문장(들), 절, 구, 단어이며 맥락 단위는 선택 단위 (분석 단위)와 개별 선택 단위가 생성된 전후의 ‘2013 건강권 시민회의 진행경과’와 행사 사회자의 대본이다.

24) Riffe 등은 표집 단위(sampling unit), 기록 단위(recording unit), 맥락 단위(context unit), 분 석 단위(analysis unit)로 분류하였다(Riffe et al. 지음, 배현석․배은결 옮김, 2011: 109-114)

단위 조작적 정의 이 연구에서의 적용 선택 단위 분석 대상 선택의 물리적 단위 Ÿ 개별 논문

코딩 단위 코딩 과정에서 분류될 내용의구성요소로서 가장 작은 단위 Ÿ 대부분 문장(들) Ÿ 일부는 숫자, 단어, 구 맥락 단위 내용을 코드에 분류하는 과정

에서 검토해야 할 맥락을 연구 자에게 암시해주는 구성요소

Ÿ 1차 맥락 단위: 논문 초록 Ÿ 2차 맥락 단위: 건강권 용어

출현 지점 전후 각 1-2 단락 분석 단위 통계적으로 분석되는 단위 혹은 축약․서술을 위한 단위 Ÿ 코딩 단위

Ÿ 선택 단위 표 7. 건강권에 관한 학술 논문에 대한 내용분석의 단위구분

(3) 코딩표와 코딩 지침

코딩표(coding scheme)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코딩이 되도록 모든 코더의 코딩 과정을 단일하게 만드는 노력이다(Potter and Levine-Donnerstein, 1999: 268). 코딩표(coding scheme)는 코드25)를 규 정하는 틀로서 보통 코드명, 코드의 개념 정의, 변수값, 코딩 규칙, 예시 등으로 구성된다(Potter and Levine-Donnerstein, 1999: 270; Schamber, 2000: 738).26) 최종 코딩표의 세부 내용은 부록에 수록하였고 그중 코드 의 구성과 코드를 도출하는 데 사용한 참고문헌은 다음 표와 같다.

25) 범주(category), 변수(variable)이라고도 할 수 있다.

26) 코딩표(coding scheme)와 유사 개념으로 평가틀(review framework), 평가를 위한 틀 (framework for reviewing), 분류체계(classification system), 분석구조(analytic constructs), 코딩의제(coding agenda) 등이 존재한다.

코드 참고문헌 문헌의 일반 사항

Ÿ 일반 정보: 문헌 형태, 저자 소속, 발표 연도, 학술지 소속․유형, 연구 목적, 연구 대상(화제), 문헌의 분량, Ÿ 건강권 관련 정보: 건강권 언급(위치,

명명)

Ÿ 인권의 상호불가분성 관련: 타 인권 언급, 타 인권과 건강권의 관계, 인권 원칙

Ÿ “Attachment 1: The human rights based approach to development cooperation towards a common understanding among UN agencies” (UN 2003)

Ÿ “General Comment 14” (UN 2000)

건강권 근거

Ÿ 국제 근거: 세계보건기구 헌장,

세계인권선언, 사회권 규약, 자유권 규약, 알마아타 선언, 아동권리협약,

여성차별철폐협약, 기타

Ÿ 국내 근거: 규정헌법, 보건의료 기본법, 기타

Ÿ 「사회권으로서의 건강권」(신영전 2011) Ÿ 『인권의 문법』(조효제 2007)

Ÿ “Declaration of Alma-Ata” (1978) Ÿ “General Comment 14” (UN 2000) Ÿ The right to health: a resource manual for

NGOs(Judith Asher 2004) 건강권 내용

Ÿ 건강권 해석: 자유와 수급권,

시설․재화․서비스․조건을 누릴 권리, 기타

Ÿ 건강권 목록

Ÿ AAAQ(가용성, 접근성, 수용성, 질) Ÿ 작동 방식: 비차별, 참여, 모니터링․평가,

책무성, 국가 외 행위자의 건강권 인식 Ÿ 건강권 지표와 벤치마크: 건강권

지표(필요성, 분야, 범주화, 목록, 기타), 건강권 벤치마크(필요성, 내용, 기타)

Ÿ 『인권의 문법』(조효제 2007) Ÿ “General Comment 14” (UN 2000) Ÿ Report on indicators for monitoring

compliance with international human rights instruments (11 May 2006).UN

International Human Rights Instruments.

Ÿ Human Rights Indicators: A guide to measurement and implementation(UN Office of the Hight Commissioner for Human Rights 2012).

건강권 의무담지자

Ÿ 국가

Ÿ 국가 외

Ÿ 『인권의 문법』(조효제 2007) Ÿ “General Comment 14” (UN 2000).

Ÿ The right to health: a resource manual for NGOs(Judith Asher 2004).

Ÿ Report of the special rapporteur on the right of everyone to the enjoyment of the highest attainable standard of physical and mental health, Paul Hunt (12 January 2007). UN General Assembly.

Ÿ Report of the special rapporteur on the right of everyone to the enjoyment of the highest attainable standard of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and Grover (12 April 2011). UN General Assembly.

건강권 보유자 Ÿ 『인권의 문법』(조효제 2007)

건강 개념 Ÿ 없음

표 8. 건강권에 관한 학술 논문의 내용분석에서 사용한 코드와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