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향수(鄕愁)로서의 ‘노스탤지어(Nostalgia)’란 고향에 대한 그 리움, 시름을 의미한다. 그러나 오늘날 노스탤지어란 그리움의 대상이 고 향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좀 더 포괄적인 의미로 특정 시간이나 공간에 대한 그리움으로 확대된다.
nostos는 ‘되돌아온다(return)’의 의미로 귀가(歸家), 귀향(歸鄕)의 뜻이 담겨 있고, algos는 ‘고통(pain)’의 의미가 있는 것으로 노스탤지어 어원 에는 되돌아갈 수 없는 공간과 시간의 갈망에 대한 괴로움의 의미가 담 겨있다.
노스탤지어는 17세기 오스트리아의 의학도 요하네스 호퍼(Johannes Hofer, 1669-1752)가 베른 출신의 한 젊은이의 향수병 사례에 관한 박사 논문 「노스탤지어에 대한 의학적 논고(Medical Dissertation on Nostalgia)」에서 최초로 사용하였다. 이 젊은이는 대학 공부를 위해 바 젤에 왔으나 집에 가고 싶은 마음에 병이 났다. 식욕을 잃고 몸이 쇠약
해져 목숨이 위태로운 지경이 되었다. 약사는 그에게 여러 가지 처방을 했으나 소용이 없자 고향인 베른으로 돌아가라고 권유하였는데, 귀향 계 획만으로도 병이 호전되는 현상을 볼 수 있었다. 더욱이 목적지에 절반 쯤 도착했을 때 학생은 완전히 회복되었다. 호퍼는 이러한 질병을 스위 스 방언인 하임베(Heimweh)102)로 정하고 그리스어로 번역하였다. 이에 따라 집으로 되돌아감의 ‘노스토스(nostos)’와 통증의 ‘알고스(algos)’가 합쳐져 그리스어 ‘노스탈기아(Nostalgia)’라는 단어가 생겨났다. 17세기 후반에 노스탤지어는 타국에서 용병 생활하는 스위스 군인들의 고향에 대한 그리움으로 발생하는 식욕부진, 불면증 등의 향수병을 지칭하였다.
그리고 19세기 나폴레옹 시대까지만 해도 향수병으로 죽은 병사들은 뇌 의 이상으로 치부하였으나,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심리적 괴로움으로서 정신병리학적 증상으로 보았으며 이후 의학적 함의에서 벗어나 문학적·
예술적·일상적 수준의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103)
고향에 대한 귀소본능(歸巢本能)이란 가장 보편적인 인간의 정서이면서 절실한 감정 중의 하나이다. 고향에 대한 노스탤지어는 일찍이 고향을 떠나 객지를 떠돌면서도 고향을 잊지 못하는 애향심에서 비롯된다. 특히, 동양에서는 고향에 대한 그리움이 반영된 시문학이 많은데, 당(唐)대 잠 삼(岑參)의 두 편의 시 속에 고향에 대한 노스탤지어의 정서가 잘 나타 나 있다.
「부북정도농사가(赴北庭度隴思家)」104)
서쪽으로 윤대를 향해 가는데 만 리 길이나 되니 西向輪臺萬里餘
고향에서 오는 편지도 드물 것이다. 也知鄕信日應疎
농산에는 앵무새가 말을 잘한다고 하니 隴山鸚鵡能言語 내 집사람에게 자주 편지하라고 전해다오. 爲報家人數寄書
102) Heim은 집을, weh는 아프다는 뜻으로 영어로 Homesickness의 의미이다.
103) 다우어 드라이스마, 권세훈 역,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공장』(에코리브르, 2010), pp.167-168; 김광기, 「멜랑콜리, 노스탤지어, 그리고 고향」, 『사회와 이론』제23집 (한국이론사회학회, 2013), pp.158-159 참조.
104) 북정(北庭)으로 가는 길에 농산을 넘으며 집을 생각하다.
「견위수사진천(見渭水思秦川)」105)
동으로 동으로 흐르는 위수 渭水東流去
언제쯤 옹주에 이를 것인가. 何時到雍州
덧없이 흐르는 두 줄기 눈물을 실어 憑添兩行淚
고향 가는 물결에 흘려보내리. 寄向故園流
잠삼은 변경지방인 위주(渭州)에서 병사들과 고생하며 오랫동안 고향에 서 떨어져 객지를 돌아다녔는데, 「견위수사진천」에는 흐르는 강물에 그리움의 눈물을 흘리는 고향에 대한 애절한 정서가 잘 배어 있다.106)
조선시대 임억령(林億齡, 1496-1568)의 시에도 망향(望鄕)의 정서를 엿 볼 수 있다.
「송백광훈환향(送白光勳還鄕)」107)
강에 뜬 달은 둥글다가 작아지고 江月圓復缺
정원에 매화는 피고 또 지는데 庭梅落又開
봄이 와도 돌아갈 수 없으니 逢春歸未得
홀로 누대에 올라 고향을 바라본다. 獨上望鄕臺
위 시는 임억령이 백광훈의 귀향(歸鄕)에 부친 작품이다. 임억령은 해남 출신으로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올랐는데 타향살이로 고향을 늘 그 리워하였다. 마침 지인이 고향에 가는 것을 보고 자신의 심경을 노래한 것이다. 달도 차면 기울고, 꽃도 피고 지는 자연의 순환은 늘 변함없는데 봄이 와도 고향에 돌아갈 수 없는 자신의 애처로운 처지를 표현하였 다.108) 이와 같이 고향을 그리워하는 염원과 열망이 결국에 병이 되어 버릴 때 이를 노스탤지어라고 하였다. 고향에 대한 노스탤지어는 동서고
105) 위수를 보며 고향인 진천을 그리워하다.
106) 인권한, 「中ㆍ韓ㆍ日 漢詩에 나타난 故鄕意識」, 『고전과 해석』제7집(고전문학한 문학연구학회, 2009), p.82.
107) 백광훈(白光勳)이 고향 가는 것을 전송하며.
108) 인권한, 앞의 글, p.83.
금을 막론하고 애절한 정서를 자아내왔다. 서양문학에서 대표적인 고향 에 대한 노스탤지어 작품은 호머(Homer)의 『오디세이(Odyssey)』이다.
대서사시 오디세이는 ‘장기간의 방랑, 모험, 여행’의 사전적 의미를 갖는 다. 『오디세이』는 오디세우스(Odysseus)가 겪은 장엄한 모험담이 주를 이루는데 신은 오디세우스에게 고향인 이타카(Ithaca)로의 귀환을 포기 한다면 불멸의 생을 주겠노라고 제안하지만 오디세우스는 불멸보다 고향 으로의 귀환을 선택한다. 다음은 호머(Homer)의 『오디세이』의 문장이 다.
존경스러운 여신이여, … 정숙한 페넬로페가 그 자태에서나 몸매에서나 비교 해 볼 때 여신님보다 훨씬 못하다는 것을 이미 나도 충분히 분별하고 있소.
왜냐하면 그녀는 죽어야 하는 인간의 몸이지만, 당신은 불로불사인 신이 아니 십니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언제나, 집으로 간다는 것과 귀향의 행복한 날만을 바라고 원하는 형편입니다.109)
위와 같이 고향에 대한 노스탤지어는 죽음을 초월하는 간절한 염원이 다. 그리고 오디세우스에게는 가족과 고향에 대한 그리움으로서의 노스 탤지어가 역경을 이겨내는 원천이기도 하였다. 이는 인간의 가장 원초적 인 욕망이며, 루카치(Georg Lukacs, 1885∼1971)는 고향을 향한 영혼의 추구는 ‘맹목적인 충동’이라고도 하였다.110)
노스탤지어라는 개념의 변천과정을 보면, 17세기에는 자신의 고향이나 과거를 그리워하는 뇌 기능의 장애를 지칭하는 의학적 용어에서 시작하 였으며, 19세기에는 우울증(melancholia), 무기력증(depression) 등의 의 미를 함유하였다. 20세기 초반까지 노스탤지어를 심리적인 정신병으로 보았으나 20세기 후반에는 기존의 부정적인 의미와 다르게 따뜻하고 긍 정적인 개념으로 변모하였다.111) 따라서 오늘날 노스탤지어라는 용어는
109) 호메로스, 박종호 역, 『오딧세이아』(청림, 1996), p.81.
110) 임철규, 『그리스 비극: 인간과 역사에 바치는 애도의 노래』(한길사, 2007), p.413;
서세림, 「월남작가 소설 연구: ‘고향’의 의미를 중심으로」(서울대학교 박사논문, 2016), p.109 재인용.
111)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한 노스탤지어의 개념 변천과정은 다음과 같다.
사회·문화 전반에 사용되면서 따뜻함, 감사함, 천진함 등과 같은 긍정적 이고 호의적인 감정이 반영되어 있다.112)
연구자(년도) 노스탤지어의 개념 변천
Johannes Hofer (17세기)
타국에 파병된 용병들의 정신병리학적 현상으로 불규칙한 심장 박동, 식욕부진, 불면증, 감기 등이 나타남.
Karl Jaspers (1909)
「향수병과 범죄(Heimweh und Verbrechen)」논문에서 집(고향) 에 대한 강박관념, 집(고향)의 부정적 효과로 무감각증, 우울증 등 을 지적함.
McCann(1941)
Rosen(1975) 우울증을 동반한 심리적 장애
Williams(1977)
기존의 의미체계로서는 제대로 파악할 수 없는 그럼에도 불구하 고 실제로 체험되고 활동에 관여하며 물질적 성격을 지닌 사적, 사회적 경험의 정서구조
Davis(1979) 과거에 대한 긍정적 환기, 향수병보다 따뜻함의 의미를 더욱 부 여함.
Holbrook &
Schindler(1991) 과거의 유행했거나 널리 사용된 대상에 대한 선호, 추억
Stern(1992)
개인적 노스탤지어
- 자신의 인생에서 중요한 과거를 이상화하는 것 역사적 노스탤지어
- 역사적 사건이나 좋았던 옛 시절로 회귀하고자 하는 갈망 Holak &
Havlena(1998) 과거와 관련된 것을 반영하여 형성된 긍정적이고 복합적인 감성 Svetlana
Boym(2001)
노스탤지어는 상실과 회피의 감정이지만 판타지와 로맨스의 감 정도 포함함.
Clay Routledge(2013)
노스탤지어가 작동하는 사람은 삶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며 자 의식이 강하고 스트레스를 극복하는 데 유익함.
Wilks &
Kelly(2014)
노스탤지어는 긍정성과 행복감을 포함하는 긍정적 감정으로 개 념화하는 심리학적 관점을 수용함.
Hepper et al.
(2014)
자기와 관련된 사회적 기억이자 자주 경험하는 복잡한 감정으로 불쾌함보다 유쾌한 감정을 의미함.
112) 영국 사우샘프턴(Southampton) 대학의 심리학자 팀 와일드셧(Tim Wildschut)은 노 스탤지어가 사람을 심리적으로 따뜻하고 편안하게 한다는 사실을 과학적 실험을 통해 증명하였다. 첫 번째 실험은, 자원자들이 30일 동안 매일 그들이 추억에 빠진 날을 기 록하도록 하였다. 그런데 날씨가 추울수록 더욱 노스탤지어에 빠져들음을 확인하였다.
그 다음 실험에서는 참가자들을 차가운 방에 넣고 즐거운 기억과 일반적인 사건을 생 각하도록 하였다. 그 후 방의 온도를 추측하도록 하였는데, 노스탤지어에 잠겼던 사람
노스탤지어의 시원에서 보듯이 노스탤지어는 고통이다. 무언가에 대한 열병을 앓는다는 것은 되돌아가고 싶은 대상에 대한 그리움의 전형적인 증상이다. 이러한 측면에서는 향수병과 유사하다. 향수병이라는 용어는 고향, 집, 전원 등을 그리워하는 장소성의 의미가 강하나 노스탤지어는 시공간에 대한 부정적인 감성부터 긍정적인 감성까지 포괄하는 복합적인 의미로 확대되었다.113)
[도 13] 나형민, 〈Nostalgia〉, 2010, 한지에 토분 채 색, 124×115㎝
들이 방을 더욱더 따뜻하게 생각하였다. 그리고 차가운 물에 손을 담그고 몇 초 동안 견디는지를 실험하였다. 그러자 예상대로, 즐거운 기억을 떠올린 사람들이 더 오래 버 팀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노스탤지어가 항상성(homeostasis)에 도움을 준다는 것 을 암시한다. “Nostalgia May Make You Warm”, Live Science (2012.12.03.)
https://www.livescience.com/25193-nostalgia-makes-you-warm.html(최종검색일:
2019.03.31.)
113) 『The New Oxford Dicinary』(1998)에서 향수병은 ‘자신의 집과 단절된 시기 동안 자신의 집에 대한 열망을 경험하는 것’, 노스탤지어는 ‘과거를 향한 감성적인 열망’으 로 설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