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이상향의 유형

Dalam dokumen 비영리 - S-Space - 서울대학교 (Halaman 39-50)

인간의 개인적 욕망이나 개별적인 꿈을 전제로 한 미시적 이상향도 있 지만 본 논고에서는 보편적인 개연성이 전제된 이상향의 개념과 유형에 대해 선행 기술한다. 이상향의 유형은 사상, 종교, 지역 등등의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으나, 연구자의 작품에 투영된 개별적 이상향과 보편적 이상향의 비교 연구를 근간으로 첫째는 욕망 충족과 절제에 따른 사상적 유형으로, 둘째는 공간의 실재성에 따른 실지(實地)와 비실지(非 實地)의 공간적 유형으로, 셋째는 현재·미래 지향적이냐 또는 과거 지향 적이냐에 따른 시간적 유형으로 이상향을 구분하여 기술한다. 인류역사 의 이상향 추구가 욕망충족, 실재적 공간, 현재 또는 미래 지향적으로 발 전해온 재건적 양상을 보여왔다면, 연구자의 작품을 통한 이상향의 추구 는 욕망의 충족형에서 절제형으로, 실지형에서 비실지형으로, 현재형에서 과거형으로 성격이 변모된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이상향의 추구가 위와 같은 획일적인 방향으로만 변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 복합적인 성격도 나 타난다. 연구자의 경우 이상향의 표현방식에서 공통적으로 파란 하늘은 지속하면서 지상의 지평 표현에 따른 이상향의 의미가 변화한다. 그 변 화의 요인을 욕망 중심의 사상적 유형과 실재 중심의 공간적 유형, 회귀 중심의 시간적 유형으로 분류하여 범주화한다. 그리고 이러한 분류는 이 상향의 성립 요건이라기보다 연구자의 작품에 반영된 요건을 토대로 한 유형 분류이다.

(1) 사상적 유형: 욕망 충족 또는 절제

근본적으로 이상향은 인간의 욕망 충족의 여부와 깊은 관련이 있다. 이 상향에 대한 추구는 처한 현실에 대한 비판과 불만에서 초래되기에 이러 한 욕망을 어떻게 충족시킬 것인가에 따라 ‘욕망충족의 이상향’과 ‘욕망 절제의 이상향’으로 나뉘게 된다.

재화의 충족 상태를 기준으로 달리 표현하면 욕망절제의 이상향은 금욕 적 유토피아로 플라톤의 이상국가를 비롯한 근대 초기 모어, 캄파넬라 (Campanella, 1568-1639)23) 등의 유토피아가 속하고 욕망충족적 이상향 은 푸리에(Fourier, 1772-1837)24), 생 시몽(Saint-Simon, 1760-1825)25) 등의 과학적 유토피아 등이 속한다.26)

사회주의 학자 허버트 마르쿠제(Herbert Marcuse, 1898-1979)는 모든 불만과 갈등의 원인은 물질적 사회적 결핍에서 발생한다고 하였다. 전쟁 과 같은 난세에 물적, 인적 자원의 부족이 물질적 결핍이라면, 빈부의 격

23) 르네상스기의 이탈리아 철학자, 공상적 공산주의자. 그는 당시 스페인 지배하에 있었 던 남부 이탈리아의 해방을 위해 비밀결사를 조직하여 그 지도자가 되었는데, 1599년 봉기 직전에 체포되어 가혹한 고문을 받고 27년을 옥중에서 보냈다. 거기에서 그의 공상적 사회주의 사상을 담은 『태양의 도시(Civitas Solis)』를 쓴다. 그의 사상은 당 시의 도시나 농촌의 빈민층과 하층 지식인의 느낌이나 희망을 반영하고 있는데, 생산 수단의 사유를 폐지하고 노동이 전 시민의 의무임과 동시에 일상적 욕구로 되는 평등 한 사회에서 비로소 전 세계는 하나로 묶여 인간적인 발전이 보장되고 과학·기술·예 술이 꽃피게 된다고 하였다. 임석진 외, 『철학사전』(중원문화, 2012), p.973.

24) 프랑스의 공상적 사회주의자. 프랑스 혁명이 실현되어 봉건제는 타도되었지만, 상업 적 봉건제는 만연하여 여러 가지 모순을 드러냈다. 이것은 근로자에게는 부자유스럽 고 불합리한 것으로 판단하여, 자본주의 사회의 상업이 갖는 모순을 통렬히 비판하였 다. 그는 프랑스 유물론에 근거하여, 환경이 인간 형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생각을 받아들여 이상적인 사회를 조화주의의 사회라고 생각하여 농업을 기초로 한 공산주의적 생산협동제의 설립을 제안하였다. 앞의 책, p.1038.

25) 프랑스 사회주의의 선구자이다. 그는 프랑스의 유물론에 찬동하고 이신론(理神論)이 나 관념론에는 반대하면서 자연의 연구를 중시하였다. 역사는 신학적(종교가 지배하 는 시기), 형이상학적(봉건제와 신학의 붕괴 시기) 단계를 거쳐 왔으며, 과학에 기초 한 미래의 사회 조직을 실증적(實證的) 단계라 하였다. 그는 미래사회는 과학적으로 조직되고, 계획적 대공업에 의지한다고 추정하면서 거기에서는 과학자와 산업가가 중 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그 생산가 속에는 노동자상인은행가가 포함된다고 하였다.

그리고 그 사회에서는 각 사람은 자신의 능력에 따라 일하는 것이 보장되고, 사람의 사람에 대한 지배는 없어지면서 물(物)에 대한 지배와 관리가 수행된다고 주장하였 다. 앞의 책, p.502-503.

26) 이종은 외, 앞의 글, p.381.

차, 신분에 따른 불평등, 권력의 편중 등이 사회적 결핍의 요인이다. 이 때 사람들은 이러한 갈등과 불만을 해소해 줄 수 있는 조화로운 사회를 갈망하며, 이것이 구체적 형상으로 드러난 것이 바로 이상향이라 하였 다.27) 이러한 물리적, 정신적 결핍을 주어진 환경과 어떻게 조화시켜 나 갈 것인가에 따라 두 가지의 이상향의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인간의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사회로 인간의 욕망과 주어진 환경 이 균형을 이룬 욕망충족형 이상향이다.

둘째, 주어진 조건, 환경이 인간의 욕구를 다 만족시킬 수 없는 상황으 로 어떠한 형태로든 인간의 욕구를 제한하거나 제도와 법을 통해 조율하 는 욕망절제형 이상향이다.

동양의 문화에서 접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이상향을 유가, 도가, 불가 등 동양의 대표적 사상 유형에 근거하여 분류한다면 [표 1]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동양의 이상향 유형 예시

1. 신선(神仙) 사상의 유형 선경(仙境) 2. 풍수도참(風水圖讖) 사상의 유형 십승지(十勝地)

3. 도가의 유형 무릉도원(武陵桃源)

4. 불가의 유형 극락정토(極樂淨土)

5. 유가의 유형 대동사회(大同社會)

[표 1] 동양의 대표 사상에 따른 이상향의 유형과 예시

위의 표를 참고할 때, 일반적으로 동양의 이상향은 명승지와 농경을 기 반으로 한 이상세계로서 인간의 근본적인 욕망을 절제하는 자연 중심적 이고 친화적인 유형이 다수를 이룬다. 반면 서양의 이상향은 근대기 이 후, 주어진 조건과 환경이 인간의 욕망과 불일치한다면 도전과 개혁을 통해 욕망을 충족하려는 유형으로 발전한다.

27) 앞의 글, p.397.

실례로 무릉도원은 한정된 공간에서 자급자족하는 원시농경사회를 기반 으로 인위적인 정치를 최소화하면서 인간의 욕망은 제한되는 대표적인 욕망 절제형의 이상세계이다. 그래서 ‘금욕적 이상향’이라고도 하는데, 욕 망이 충족되는 ‘세속적 이상향’이 아닌 절제와 금욕으로서의 이상향을 추 구한 것은 노자의 ‘소국과민(小國寡民)’과도 상통한다. 소국과민이란 소수 의 인구가 고립된 작은 공간에서 자급자족의 삶을 추구하는 것으로, 노 자(老子)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나라는 작고 백성도 적은 나라에서 온갖 문명의 이기(什佰之器:十百인의 노 동을 대체할 수 있는 공구28))가 있어도 사용하지 않고, 백성들이 죽는 일을 대단히 큰일로 여기며 멀리 거처를 옮기려 하지 않는다. 비록 배와 수레가 있 어도 탈 일이 없고, 갑옷과 군대가 있어도 진(陳) 칠 곳이 없다. 사람들로 하 여금 다시 (문자 대신) 결승(結繩)으로 의사를 전달하게 하며, 자기 음식을 맛 있게 먹으며, 의복을 아름답게 보며, 자기의 거처를 편안하게 여기며, 그 풍속 을 즐기도록 해야 한다.…29)

여기서 노자는 문명의 발달은 비록 느리지만 소박하고 작은 국가, 갑옷 과 무기는 있지만 사용할 데가 없는 나라를 이상적인 사회로 보았다.30)

소박한 듯 욕망을 절제하고자 하는 이상향은 동진시대 도연명의 『도화 원기(桃花源記)』의 도원이라는 낙원으로 연결된다. 우선 세상과 격리된 은일(隱逸)과 탈속(脫俗)의 공간이자, 전쟁과 갈등이 없는 평화로운 곳으 로서 소국과민과 유사한 특징을 갖는다. 무릉도원은 소수의 인구가 고립

28) 십백지기(什佰之器)를 ‘병기’, ‘무기[兵革]’로 해석하거나 ‘十百인의 노동을 대체할 수 있는 도구’로 해석하는데, 연구자는 이를 통칭한 문명의 이기로 설명하였다. 候外廬 編, 『中國歷代大同思想』(과학출판사, 1959), p.10; 陳正炎 외, 이성규 역, 『중국의 유 토피아 사상』(지식산업사, 1990), pp.81 재인용.

29) 老子, 『道德經』, 第八十章「獨立章」, “小國寡民 使有什佰之器而不用 使民重死而不 遠徙 雖有舟輿 無所乘之 雖有甲兵 無所陳之 使人復結繩而用之 甘其食 美其服 安其居 樂其俗…” 陳正炎 외, 앞의 책, pp.81-82 참조.

30) 서양에서 소국과민과 유사한 욕망 절제형의 이상향이 아르카디아다. 아르카디아도 소국과민과 같이 자연과의 조화, 균형, 평화를 추구한다. 아르카디아에서 중요한 것은 자연 상태의 단순, 소박, 순수의 미덕이며 무엇보다도 목가적인 평화와 여가가 큰 비 중을 차지한다. 또한 칼을 녹여 보습을 만들어 밭을 갈고 사자와 사슴이 정답게 누워 있는 평화로운 사회이다.

된 작은 공간에서 자급자족의 삶을 살며, 사람들은 자신들이 어느 시대 에 살고 있는지, 위(魏)나라와 한(漢)나라가 존재했는지조차 모르는 시간 이 정지된 곳이다.

그러나 도연명은 도원을 통해 소국과민과 같이 문명의 이기와 제도를 거부하는 초기 원시사회로의 회귀를 주장한 것은 아니다. 인간의 욕심에 따른 인위(人爲)에 의거하지 않고 자연의 섭리를 따라 문명의 사용을 최 소화하는 지혜로운 사회를 지향하였다. 따라서 도연명에게 있어서 작은 나라 적은 백성(小國寡民)의 ‘小’와 ‘寡’의 본의는 현대문명사회의 크기 위주의 욕망과 허세의 세속적 모델이 아니라 무욕(無慾)과 무위(無爲)의 사회로서 욕망절제형 이상향을 의미한다.

반면에 욕망충족형 이상향은 제임스 힐튼의 『잃어버린 지평선』에 나 오는 ‘샹그릴라(Shangrila)’31)가 대표적이다. 우연히 이상세계에 진입하게 되는 스토리의 전개과정과 빼어난 자연 속에 고립된 낙원으로서의 모습 은 무릉도원과 유사하다. 하지만 샹그릴라는 황금을 기반으로 풍요로운 문명의 혜택을 향유하는 이상향이다. 고립된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황금 으로 외부에서 문명의 이기를 도입하여 물질에 대한 인간의 욕망을 충족 시킨다. 이러한 욕망충족형 이상세계로서 샹그릴라는 당시 세계경제의 불황 속에서 고통을 겪었던 서구인들에게 부귀와 영생을 누릴 수 있는 곳으로서 동경의 대상이 되었다.

역사학자 핀리(M.I. Fineley, 1912-1986)에 의하면 금욕적인 모습을 보 여 왔던 서구의 유토피아는 산업혁명을 기점으로 욕구 충족을 위한 이상 향으로 변모했다고 한다. 19세기 산업혁명은 과학기술의 급속한 발전을 이루었고 과학기술을 바탕으로 한 산업기반은 인간에게 편이성(便易性) 을 제공하였다. 또한 끝없는 욕망을 충족시켜 줄 수 있는 기계와 물질문 명에 경도되어 욕망충족형의 이상향에 대한 기대를 한층 고조시켰다.

반면 근대화, 산업화에 따른 과학 문명이 욕망절제형의 사회를 붕괴시 키는 선례는 인도의 라다크에서 찾아볼 수 있다. 특히 헬레나 노르베리 호지(Helena Norberg-Hodge, 1946-)의 『오래된 미래 (라다크로부터 배

31) Ⅳ. 이상향의 노스탤지어가 담긴 지평의 표현 2. 이상향의 노스탤지어가 담긴 지평 표현의 변천 과정 2) 부재(不在)의 지평 (2008-2013)에서 자세하게 기술한다.

Dalam dokumen 비영리 - S-Space - 서울대학교 (Halaman 39-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