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소백산국립공원 탐방로 재해위험도

§ 소백산국립공원의 산사태 발생 위험 등급별 조사 대상지는 산사태 발생 위험 1등급지 214개소, 2등급지 316개소, 3등급지 162개소로 총 692개 소에 대한 조사가 2013년과 2015년에 각각 수행되었다.

§ 탐방로 재해위험도 등급을 살펴보면 재해위험이 높은 A등급지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단기간(2~5년)내에 조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B 등급지는 3개소로 전체 조사 대상지의 0.4%로 분석되었다.

§ 단기간(2~5년)내에 조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B등급지 3개소의 분포 는 희방주차장~연화봉, 어의곡~어의곡삼거리, 을전~늦은맥이재 노선에 각각 1개소씩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소백산국립공원 전체 조사 대상지 중에서 비교적 재해위험이 낮거나 없 는 C 및 D등급지는 689개소(전체 조사 대상지의 99.6%)로 대부분의 탐 방로가 비교적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탐방로 재해위험도 산사태발생위험등급

조사대상 개소 수

탐방로 재해위험도 A등급

(심각)

B등급 (우려)

C등급 (보통)

D등급

(건전) 계

1등급 214 - 2 58 154 214

2등급 316 - 1 37 278 316

3등급 162 - - 19 143 162

계 692 0 3 114 575 692

표 4-15. 소백산국립공원 탐방로 재해위험도 분석

(1) 조사지번호 : 소백S(2)01-01-01(탐방로 재해위험도 B등급)

① 조사야장 1. 일반현황

국 립 공 원 명 소백산국립공원 조 사 일 시 2015. 7. 30.

구 간 명 칭 희방주차장~연화봉

조 사 자직 급 충북대학교

위험탐방로거리 127 m 성 명 이상희

GPS좌표(시점)N36° 55' 4.814"

GPS좌표(종점) N36° 55' 7.973"

E128° 27' 29.047" E128° 27' 26.980"

경 사 (°)사면: 55.0°

노면: 12.0° 주 변 임 상 침,활,혼/(당단풍, 물푸레) 평균직경:( 20 cm) 방 위 N, E, S, W,( 215 )

식 생 피 복 사면: 교목, 관목, 초본류 양호 / 불량(피도: 90 %) 해 발 고 811 m

2. 사면현황 재 해 발 생

예 상 지 구 분 상부, 탐방로, 하부, 없음 종 적 위 치 계곡, 산록, 산복, 산정 횡 적 위 치 계곡, 산복, 능선 흙 의 분 류 풍화토, 사질토, 자갈토, 실트, 점토 토 심 ( c m ) <15, 16-30, 31-45, 46<

모 암 분 류 퇴적암,변성암,화성암/(미그마타이트질편마암) 암 석 노 출 도 90 %

탐 방 로

주 변

사 면 형

탐 방 로

주 변

사 면

단 면 형

철형 평행형 직선형 오목형 볼록형

요형 복합형 요철형 하부이탈형 돌출형

절 리 발 달

없음 유리 양호 불리 매우불리

사 면 풍 화 도 신선, 약간풍화, 보통풍화, 심한풍화, 완전풍화 낙 석 유, 무 사 면 유 출 건조, 습함, 젖음, 적하, 흐름 풍 도 목 유(사면상, 사면하) / 무

3. 노면현황 노 선 방 향 등고선기준(평행, 경사, 직각)

노 면 특 성 암, 토사, 복합 노 면 침 식 양호, 우격, 면상, 누구, 구곡 탐방 로 폭(m ) 최대:3.0, 최소:1.0,(2.0) 사 면 장 ( 절 토 ) m( ) 인 공 구 조 물 유(철재난간,낙석방지책), 무 배 수 상 태 양호, 불량/시설명( ) 4. 계류현황 유 출 유 무 건천, 상시 침 식 현 황 ( 공 통 ) 누구, 구곡, 야계, 하천 계 류 통 과 유, 무 계 류 폭 계 상 구 성 ( 공 통 ) 토사, 전석, 기반암노출 / 유목 계 곡 형 탐 방 로 유, 무 계 류 폭 8 인 접 계 류 길 이 ( m ) 127 인 접 거 리 6 5. 종합평가

재해/붕괴이력 유 / 무 / ( ) 재 해 위 험 도 상(심각)/중(진행)/하(보통)/건전 1,2차피해위험 산사태/토석류/사면상부붕괴/사면하부붕괴/탐방로유실/시설물훼손/낙석/없음 필 요 대 책 현상태 유지관리/주의 안내판 설치/보강공 필요/보호공 필요/긴급조치

6. 검토의견

검 토 의 견

※ 현장 의견

- 희방폭포~희방사 사이에 위치하는 구간으로 희방사 입구 교량에서 갈라 지는 구간임

- 급경사 사면부의 기반암에서 낙석위험이 높아 현재 낙석방지책이 설치 되어 있음

- 낙석방지책의 시공간격이 널어 추가 낙석 위험이 있음

※ 1차 피해(탐방로)

- 낙석에 의한 탐방객 위험이 있음

※ 2차 피해() - 없음

개 선 사 항

※ 사면안정 및 배수시설(공법)

- 희방사 방향의 탐방로를 활용하고 현재 사면부에 위치한 탐방로를 폐쇄 검토 필요함

※ 대상지 식생도입(녹화) - 해당사항 없음

※ 기타 : 구간내 희방폭포 하단부로 급경사위험지구가 포함되어 있음

② 위치 및 기본현황

§ 대상지 위치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소재

GPS좌표(좌표계 : WGS84, 타원체 : WGS84)

시 점

N36° 55' 4.814"

종 점

N36° 55' 7.973"

E128° 27' 29.047" E128° 27' 26.980"

§ 위험탐방로 : 희방주차장~연화봉 노선 중 127m 구간

§ 기본현황

ü 희방주차장~연화봉 노선 중 희방사 입구 주변부를 통과하는 지역으로서 대상지 길이는 127m, 사면경사는 55°, 노면경사는 12°, 사면의 방위는 215°(S), 해발고는 811m로 조사되었다.

ü 대상지 주변은 평균직경 20cm의 활엽수 교목류가 주로 분포하는 지역 으로서 사면에는 교목, 관목류가 주로 분포하며, 노출암을 제외한 피복 상태는 양호한 편으로 조사되었다.

③ 대상지 일반현황

§ 사면현황

ü 대상지 사면은 계곡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토양은 사질토, 토심은 15cm 이하로, 낙석방지책과 철재난간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ü 사면형은 복합형이며 사면단면형은 볼록형으로 상부사면으로 기반암과 전석이 노출되어 있는 지역이다.

§ 노면현황

ü 탐방로의 폭은 평균 2.0m 정도로서 급경사면을 평행하게 이동하는 구간

§ 계류현황

ü 탐방로와 인접한 계류는 폭 8m로 수량이 풍부하며 계상내 토사, 전석, 기반암이 노출되어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④ 대상지 세부사진

§ 대상지 전경사진(좌 : 전방, 우 : 후방)

§ 재해 위험 요인(좌/우 : 절리발달 기반암에 의한 낙석 위험)

§ 주변 사면 현황(좌 : 희방폭포, 우 : 급경사위험지구 안내판)

⑤ 산사태 위험지역내 탐방로 재해위험 등급 평가

§ 탐방로 재해위험도 평가기준에 따라 분석한 결과 42점으로, 평가등급 “B 등급”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판정되었다.

판정등급 판 정 기 준 평가점수

B 등급

- 평가기준 점수범위 : 41점~60점 - 산사태 및 재해위험도가 높은 지역 - 단기적 조치 필요(2~5년)

42

§

세부항목별 평가 결과

항 목

주변사면형 주변사면단면형 계곡유무 절리발달 사면유출 배수상태

복합형 볼록형 매우불리 건조 양호

점 수 10 4 10 10 0 0

항 목

수목도복 식생피복 재해이력 재해위험도 산사태위험등급

총 점

양호 하(보통) 2등급

점 수 0 0 0 2 6 42

⑥ 종합의견 및 개선사항

§ 종합의견

ü 희방사 입구 갈림길 주변부 구간으로 현재 낙석방지책이 설치되어 있으 나 추가 낙석 위험이 높다고 판단되는 지역이다.

§ 개선사항

ü 현재 추가보호시설의 설치는 어렵다고 판단되며, 희방사 입구 교량을 통 과하여 희방사를 지나는 노선을 활용하고 낙석방지책이 설치된 사면쪽 노선은 폐쇄를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2) 조사지번호 : 소북S(1)06-05-01(탐방로 재해위험도 C등급)

① 조사야장 1. 일반현황

국 립 공 원 명 소백산국립공원 조 사 일 시 2013. 10. 19 .

구 간 명 칭 초암사 노선

조 사 자 직 급 충남대학교

위험탐방로거리 6 m 성 명 김명준

GPS좌표(시점) N36° 57' 37.663"

GPS좌표(종점) N36° 57' 37.828"

E128° 30' 37.778" E128° 30' 37.661"

경 사 (°) 사면: 10°

노면: 10° 주 변 임 상 침,활,혼/ ( ) 평균직경:( 10 cm) 방 위 N, E, S, W,( 140 )

식 생 피 복 사면: 교목, 관목, 초본류 양호 / 불량(피도: %) 해 발 고 도 ( m ) 848 m

2. 사면현황 재 해 발 생

예 상 지 구 분 상부, 탐방로, 하부,없음 종 적 위 치 계곡, 산록, 산복, 산정 횡 적 위 치 계곡, 산복, 능선 흙 의 분 류 풍화토, 사질토, 자갈토, 실트, 점토 토심(cm) <15, 16-30, 31-45, 46<

모 암 분 류 퇴적암, 변성암, 화성암/( ) 암석노출도 80 %

탐 방 로

주 변

사 면 형

탐 방 로

주 변

사 면

단 면 형

철형 평행형 직선형 오목형 볼록형

요형 복합형 요철형 하부이탈형 돌출형

절 리 발 달

없음 유리 양호 불리 매우불리

사 면 풍 화 도 신선, 약간풍화, 보통풍화, 심한풍화, 완전풍화 낙 석 유, 무 사 면 유 출 건조, 습함, 젖음, 적하, 흐름 풍 도 목 유(사면상, 사면하) / 무

3. 노면현황 노 선 방 향 등고선기준(평행, 경사, 직각)

노 면 특 성 암, 토사, 복합 노 면 침 식 양호, 우격, 면상, 누구, 구곡 탐방로 폭(m) 최대:1.5,최소:1,(1.2) 사면장(절토) m( ) 인 공 구 조 물 유( ), 무 배 수 상 태 양호, 불량/시설명( ) 4. 계류현황 유 출 유 무 건천, 상시 침 식 현 황 ( 공 통 ) 누구, 구곡, 야계, 하천 계 류 통 과 유, 무 계 류 폭 계 상 구 성 ( 공 통 ) 토사, 전석, 기반암노출 / 유목 계 곡 형 탐 방 로 유, 무 계 류 폭 4 인접계류길이( m ) 6 인 접 거 리 10 5. 종합평가

재해/붕괴이력 유 / 무 / ( ) 재 해 위 험 도 상(심각)/중(진행)/하(보통)/건전 1,2차피해위험 산사태/토석류/사면상부붕괴/사면하부붕괴/탐방로유실/시설물훼손/낙석/없음 필 요 대 책 현상태 유지관리/주의 안내판 설치/보강공 필요/보호공 필요/긴급조치

6. 검토의견

검 토 의 견

※ 현장 의견

- 초암사에서 국망봉 방향으로 270m 지점의 계곡형 탐방로임

- 해당지역에는 석력지대가 분포하고 있으며, 탐방로 주연부에 큰 바위가 존재하고 있음

- 전석 규모의 바위가 노출되어 있으며, 통행상에 큰 위험은 없는 것으로 판단됨

※ 1차 피해(탐방로)

- 계곡형 탐방로로서 강우시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탐방로의 훼 손과 탐방객의 안전에 문제가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방안이 수립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음

※ 2차 피해(주변 산림 및 사유 시설) - 특이사항 없음

개 선 사 항

※ 사면안정 및 배수시설(공법)

- 인공시설물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자연상태의 탐방로로서 자연배 수가 양호하게 이루어지는 지역임

※ 대상지 식생도입(녹화)

- 자연상태의 식생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식생도입이 필 요 없는 지역임

※ 기타 :

② 위치 및 기본현황

§ 대상지 위치 : 충청북도 단양군 적성면 소재

GPS좌표(좌표계 : WGS84, 타원체 : WGS84)

시 점

N36° 57' 37.663"

종 점

N36° 57' 37.828"

E128° 30' 37.778" E128° 30' 37.661"

§ 위험탐방로 : 구룡탐방지원센터~성남탐방지원센터 노선 중 6m 구간

§ 기본현황

ü 초암사에서 시작되는 탐방로 S06-05 지점으로서 위험탐방로의 거리는 약 6m이다. 사면과 노면의 경사는 각각 10°로서 등고선 방향에 수직인 지역으로 방위는 약 140°, 해발고 892m이다.

ü 대상지 주변은 활엽수림으로서 평균흉고직경 10cm, 사면의 식생은 교 목, 관목, 초본류가 존재하고 있으나, 전체 피도는 약 30%로서 낮게 나 타났다.

③ 대상지 일반현황

§ 사면현황

ü 대상지는 산복부에 위치한 계곡형 탐방로로서 토심은 약 15cm 이하로 서 낮게 나타났으며, 암노출은 전체의 약 80%로 높게 나타났다.

ü 사면형은 복합형으로서 재해에 다소 불리하고, 사면 단면형은 요철형이 며, 주변의 절리 발달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노면현황

ü 탐방로의 노면 재료는 암과 토사의 복합형으로, 침식은 없으며 탐방로의 폭은 평균 1.2m로, 인공시설물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