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3년 수행된 “국립공원 탐방로 일원 산사태 위험지역 조사” 연구에서 탐방로 재해위험 지역 조사표를 제작하여 산사태 발생 위험 1등급지를 통과하는 탐방로 노선에 대한 재해위험도 조사를 수행하였다.
§ 산사태 발생 위험 2~3등급지를 통과하는 탐방로 노선에 대한 조사에 도 2013년에 제작된 탐방로 재해위험 지역 조사표를 이용하여 조사를 수행하였다.
§ 탐방로 재해위험 지역 조사표는 6개 분야에 대해 조사를 실시할 수 있 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조사 항목은 다음과 같다.
ü 일반현황 : 해당 국립공원의 개요를 기록하는 부분으로 11개 항목으 로 구성
ü 사면현황 : 탐방로가 위치한 산지사면에 대한 현황을 기록하는 부분 으로 14개 항목으로 구성
ü 노면현황 : 탐방로 노면의 특성 및 현황을 기록하는 부분으로 7개 항목으로 구성
ü 계류현황 : 탐방로와 인접 혹은 통과 계류의 정보를 기록하는 부분 으로 9개 항목으로 구성
ü 종합평가 : 해당 탐방로의 종합적인 평가를 기록하는 부분으로 4개 항목으로 구성
ü 검토의견 : 종합적인 판단을 기준으로 검토의견 및 향후에 진행되어 야 할 사항에 대해서 기록하는 부분으로 3개 항목으로 구분
1. 일반현황
국 립 공 원 명 조 사 일 시 2015. . . 구 간 명 칭
조 사 자 직 급
위험탐방로거리 m 성 명
GPS 좌표(시점) N: ° ′ ″ GPS 좌표(종 점)
N: ° ′ ″ E: ° ′ ″ E: ° ′ ″ 경 사 ( ° ) 사면:
노면: 주 변 임 상 침, 활, 혼 / ( ) 평균직경:( cm) 방 위 N, E, S, W,( )
식 생 피 복 사면: 교목, 관목, 초본류 양호 / 불량(피도: %) 해 발 고 m
2. 사면현황 재 해 발 생
예 상 지 구 분 상부, 탐방로, 하부 종 적 위 치 계곡, 산록, 산복, 산정 횡 적 위 치 계곡, 산복, 능선 흙 의 분 류 풍화토, 사질토, 자갈토, 실트, 점토 토 심 ( c m ) <15, 16-30, 31-45, 46<
모 암 분 류 퇴적암, 변성암, 화성암/( ) 암 석 노 출 도 %
탐 방 로
주 변
사 면 형
탐 방 로
주 변
사 면
단 면 형
철형 평행형 직선형 오목형 볼록형
요형 복합형 요철형 하부이탈형 돌출형
절 리 발 달
없음 유리 양호 불리 매우불리
사 면 풍 화 도 신선, 약간풍화, 보통풍화, 심한풍화, 완전풍화 낙 석 유, 무 건조, 습함, 젖음, 적하, 흐름 풍 도 목 유(사면상, 사면하) / 무 사 면 유 출
3. 노면현황 노 선 방 향 등고선기준(평행, 경사, 직각)
노 면 특 성 암, 토사, 복합 노 면 침 식 양호, 우격, 면상, 누구, 구곡 탐 방 로 폭 ( m ) 최대: , 최소: ,( ) 사 면 장 ( 절 토 ) m( ) 인 공 구 조 물 유( ), 무 배 수 상 태 양호, 불량/시설명( ) 4. 계류현황 유 출 유 무 건천, 상시 침식현황(공통) 누구, 구곡, 야계, 하천 계 류 통 과 유, 무 계류폭(m) 계상 구성(공 통) 토사, 전석, 기반암노출 / 유목 계곡형탐방로 유, 무 계류폭(m) 인접계류길이(m) 인접거리(m)
5. 종합평가
재 해 / 붕 괴 이 력 유 / 무 / ( ) 재 해 위 험 도 상(심각)/중(진행)/하(보통)/건전 1 , 2 차 피 해 위 험 산사태 / 토석류 / 사면상부붕괴 / 사면하부붕괴 / 탐방로유실 / 시설물훼손 / 낙석 / 없음 필 요 대 책 현상태 유지관리 / 주의 안내판 설치 / 보강공 필요 / 보호공 필요 / 긴급조치
표 3-1. 국립공원 산사태 위험지역내 탐방로 조사표
6. 검토의견
검 토 의 견
- 현장 종합 의견
- 1차 피해(탐방로)
- 2차 피해(주변 산림 및 사유 시설)
개 선 사 항
- 사면안정 및 배수시설(공법)
- 대상지 식생도입(녹화)
- 기타 :
현 장 사 진( 전 경 ) 현 장 사 진( 훼손 / 위험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