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지조사표 6개 분야 48개 항목 중에서 재해위험도 평가에 사용되는 항 목은 탐방로 주변 사면형을 포함한 11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 각 항목별 배점은 탐방로 주변 사면형을 포함한 9개 항목이 0~10점 배점체계, 배수상태, 재해/붕괴이력 유무 항목이 각 0~5점 배점체계로 하여 총점 100점으로 구성되어있다.
§ 산사태 위험 등급 항목은 현장에서 산사태 위험 등급을 산정하지 않고, 조사대상지 선정에 이용된 산사태 위험 등급을 적용하여 재해위험도 분 석을 수행하였다.
§ 탐방로 주변 사면형을 포함한 11개 항목은 다음과 같다.
(1) 탐방로 주변 사면형
구 분 철형 평행형 요형 복합형
그 림
배 점 0 3 6 10
표 3-3. 탐방로 재해위험도 평가기준(탐방로 주변 사면형)
§ 철형은 유수의 분산효과로 재해위험이 낮고, 요형은 유수의 집중효과로 재해위험이 높으며, 복합형의 경우에는 유수의 집중효과가 매우 높아 가 장 위험하다.
§ 배점 0~10점 범위로 복합형에 최대 배점 10점을 적용하였다.
(2) 탐방로 주변 사면단면형
구 분 직선형 오목형 볼록형 요철형 하부이탈형 돌출형
그 림
배 점 0 2 4 6 8 10
표 3-4. 탐방로 재해위험도 평가기준(탐방로 주변 사면단면형)
§ 하부이탈형의 경우 상부 지반의 연쇄적 이탈 가능성이 잠재되어 있고 돌출형의 경우 토사 및 암괴의 탈락시 대형 재해 발생 우려가 높다
§ 배점 0~10점 범위로 돌출형에 최대 배점 10점을 적용하였다.
(3) 인접/통과 계곡 유무
구 분 없음 있음
배 점 0 10
표 3-5. 탐방로 재해위험도 평가기준(인접/통과 계곡 유무)
§ 탐방로에 인접한 계곡(계류)이 있는 경우 탐방로 하단부의 세굴에 의한 토석류 및 탐방로 유실의 위험이 높다
§ 탐방로를 관통하는 계곡(계류)이 있는 경우 유출수 집중에 의한 계곡 세 굴로 탐방로가 유실될 위험이 높다.
§ 배점 0~10점 범위로 인접/통과 계곡 있음에 최대 배점 10점을 적용하였 다.
(4) 절리발달
구 분 없음 유리 양호 불리 매우불리
그 림
배 점 0 3 5 7 10
표 3-6. 탐방로 재해위험도 평가기준(절리발달)
§ 산사태의 한 유형인 낙석과 관련한 암석의 절리방향도 사면의 방향과 일치할수록 재해 발생 위험이 높다.
§ 배점 0~10점 범위로 절리방향이 매우불리에 최대 배점 10점을 적용하였 다.
(5) 사면유출
구 분 완전건조 습함 젖음 적하 흐름
기 준 마름 물기흔적
(이끼류 등)
물기가 표면에 관찰
물줄기 없음 물방울 관찰
물줄기 보임 물이 흐름
배 점 0 3 5 7 10
표 3-7. 탐방로 재해위험도 평가기준(사면유출)
§ 사면과 노면인접 절개지 비탈면에 포함된 지하수의 상태를 관찰한다.
§ 사면유출의 관찰은 맑은 날 수행하며, 특이 식생(조릿대 등)이 존재할 경우 사면유출이 나타난다.
§ 배점 0~10점 범위로 흐름에 최대 배점 10점을 적용하였다.
(6) 배수 상태
구 분 양호 불량
기 준 탐방로 주변이 건조하고
유수의 배수가 원활
탐방로와 사면에 이물질에 의한 유수의 적치상태
배 점 0 5
표 3-8. 탐방로 재해위험도 평가기준(배수 상태)
§ 사면과 배수로(배수시설이 설치된 경우)를 따라 흐르는 유수가 원활하게 배수되지 않을 경우 주변부가 세굴 되어 재해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
§ 배점 0~5점 범위로 불량에 최대 배점 5점을 적용하였다.
(7) 풍도목 상태
구 분 없음 사면하 사면상
배 점 0 5 10
표 3-9. 탐방로 재해위험도 평가기준(풍도목 상태)
§ 최근 국립공원 지역 내에서 얕은 토심에 수목이 대형으로 성장하면서 바람에 의한 풍도목이 다수 발생하고 있다.
§ 뿌리와 함께 도복된 대형수목은 사면에서 유수의 흐름을 저해하여 재해 가 발생할 위험이 높아진다.
§ 탐방로 주변 사면에 도복된 수목은 탐방로에 재해를 유발할 위험이 높 으므로 배점 0~10점의 범위에 사면상에서 도복된 수목에 최대 배점 10 점을 적용하였다.
(8) 식생피복 상태
구 분 양호 불량 나지노출
배 점 0 5 10
표 3-10. 탐방로 재해위험도 평가기준(식생피복 상태)
§ 사면의 식생피복은 유수에 의한 표층토사의 침식 및 세굴에 많은 영향 을 미치며 나지노출 면적이 넓을수록 재해위험이 높아진다.
§ 배점 0~10점의 범위에 나지노출이 많은 지역에 최대배점 10점을 적용하 였다.
(9) 재해/붕괴이력 유무
구 분 없음 있음
배 점 0 5
표 3-11. 탐방로 재해위험도 평가기준(재해/붕괴이력 유무)
§ 과거 낙석, 소규모 산사태, 토석류 발생 등의 붕괴이력이 있을 경우 주 변부에 추가 붕괴 가능성이 잠재되어 있어 재해 위험이 높아진다.
§ 배점 0~5점 범위에 붕괴이력이 있을 경우 최대 배점 5점을 적용하였다.
(10) 재해/붕괴 위험정도
구 분 건전 하(보통) 중(진행) 상(심각)
배 점 0 2 6 10
표 3-12. 탐방로 재해위험도 평가기준(재해/붕괴 위험정도)
§ 현장에서 조사자가 주변의 여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정성적인 판단을 통해 재해/붕괴 위험이 높을수록 높은 배점을 적용하였다.
(11) 산사태 위험 등급
구 분 4등급 3등급 2등급 1등급
배 점 0 3 6 10
표 3-13. 탐방로 재해위험도 평가기준(산사태 위험 등급)
§ 산사태 위험 등급을 기준으로 등급이 높을수록 산사태와 같은 재해가 발생할 위험이 높아 등급에 따라 0~10점의 배점을 적용하였다.
§ 산사태 위험이 매우 높은 1등급에 최대 배점 10점을 적용하였다.
제1절. 재해위험도 평가 대상지 제2절. 산사태 발생 위험 등급별 재해위험도 평가 제3절. 국립공원별 탐방로 재해위험도 평가
제4장. 산사태 위험지역내 탐방로 재해위험도 평가 제1절. 재해위험도 평가 대상지
§ 가야산국립공원을 포함한 9개 국립공원 산사태 발생 위험 2~3등급지를 통과하는 탐방로 노선(표 2-5)에 대한 현장조사를 수행하였다(표 4-1).
§ 9개 국립공원 2,985개소, 322.8㎞에 대하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현지 여건을 고려하여 2,877개소, 309.9㎞에 대한 조사를 완료하였다.
§ 조사구간 중 탐방로가 보호구역(북한산), 비법정탐방로인 경우(북한산, 치악산)에는 각 사무소 담당자와 협의 후 조사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 북한산국립공원의 경우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통제되는 지역과 둘레길 중 산림지역이 아닌 도심지역의 주택 사이를 통과하는 구간 등 114개소 에 대하여 담당자와 협의 후 조사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 치악산국립공원의 경우 비법정 탐방로에 포함되는 28개소(1등급지와 인 접 중복 1개소 제외 포함)에 대하여 담당자와 협의 후 조사 대상에서 제 외하였다.
§ 오대산국립공원의 경우 담당자 요청에 따라 월정사~상원사 사이의 차도 변 10개소, 2.5km에 대한 추가 조사를 진행하였다.
§ 조사를 진행하면서 현장에서 구간분리, 대상지 추가 등에 따라 가야산국 립공원 6개소, 덕유산국립공원 10개소, 오대산국립공원 16개소(월정사~
상원사 구간 10개소 포함), 월악산국립공원 1개소, 소백산국립공원 1개 소를 포함하여 총 34개소가 추가되었다.
국립공원명
전체 탐방로 조사대상 현황 조사완료 현황
비 고 노선 길이(㎞) 개소 길이(㎞) 개소 거리(㎞)
가야산 7 22.4 82 15.6 88 15.1 △6개소
덕유산 13 79.5 377 50.1 387 50.1 △10개소 오대산 9 67.4 305 40.5 321 43.1 △16개소
주왕산 7 38.0 253 17.9 253 17.9 -
치악산 11 49.9 218 37.6 190 29.7 ▽28개소 월악산 19 75.2 448 37.0 449 36.7 △1개소 북한산 93 243.2 776 53.9 662 47.1 ▽114개소 소백산 17 91.5 477 67.0 478 67.0 △1개소
월출산 8 19.7 49 3.2 49 3.2 -
합 계 184 686.8 2,985 322.8 2,877 309.9 표 4-1. 산사태 위험지역내 탐방로 조사 대상지 현황
§ 가야산국립공원을 포함한 9개 국립공원에 대한 산사태 발생 위험 등급 별 조사가 2013~2015년에 걸쳐서 수행되었다(표 4-2).
§ 2015년까지 가야산국립공원을 포함한 9개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총 3,429개소에 대한 조사가 완료되었으며, 산사태 발생 위험 1등급지를 통 과하는 탐방로 구간 552개소, 2등급지를 통과하는 탐방로 구간 1,308개 소, 3등급지를 통과하는 탐방로 구간 1,569개소를 포함하고 있다.
§ 주왕산국립공원, 북한산국립공원, 월출산국립공원은 산사태 발생 위험 1 등급지를 통과하는 구간이 없었으며, 가야산국립공원, 덕유산국립공원, 오대산국립공원, 치악산국립공원, 월악산국립공원, 소백산국립공원에서 총 552개소에 대한 조사가 2013년도에 수행되었다.
§ 전체적으로 북한산국립공원이 662개소로 전체 조사개소의 19.3%를 차 지하고 있으며, 소백산국립공원이 산사태 발생 위험 2등급지를 통과하는 조사구간이 316개소로 전체 2등급지 조사 개소의 24.4%를 차지하고 있 어서 다른 국립공원보다 산사태 발생 위험 2등급지를 통과하는 구간이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립공원명
산사태 발생 위험 등급
비 고
1등급* 2등급 3등급 합 계
가야산 1 27 61 89
덕유산 105 206 181 492
오대산 124 214 107** 445
주왕산 - 104 149 253
치악산 72 122 68 262
월악산 36 168 281 485
북한산 - 138 524 662
소백산 214 316 162 692
월출산 - 13 36 49
합 계 552 1,308 1,569 3,429
* 1등급지는 2013년도에 조사완료
** 등급외 추가 조사구간은 3등급지에 포함 계산함 표 4-2. 산사태 발생 위험 등급별 조사 대상지 현황
제2절. 산사태 발생 위험 등급별 재해위험도
§ 2015년 가야산국립공원을 포함한 9개 국립공원 산사태 발생 위험 2~3 등급지를 통과하는 탐방로 구간 2,877개소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 또한, 2013년에 조사가 완료된 가야산국립공원을 포함한 6개 국립공원 의 산사태 발생 위험 1등급지를 통과하는 구간 552개소의 자료를 통합 하여 총 3,429개소에 대한 산사태 발생 위험 등급별 재해위험도 분석을 수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