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A 및 B등급지 피해위험 유형별 관리방안

제3절. 급경사지 실태조사 중복구간 관리방안

§ 가야산국립공원을 포함한 9개 국립공원의 산사태 발생 위험지를 통과하 는 탐방로 3,429개소 중 “국립공원 급경사지 실태조사 및 중장기 정비 계획 수립”과 관련한 급경사지 실태조사지와 중복지점을 검토하였다.

국립공원명

탐방로 재해위험 조사 급경사지 실태조사

비 고

조사번호 위험

등급 조사번호 위험

등급

가야산

가야S(2)05-02-01 C 가야05-02-01 C

5개소 중복 가야S(2)05-03-01 C 가야05-03-01

가야05-03-02 C C 가야S(3)06-01-02 D 가야06-01-01 - 가야S(2)06-02-02 D 가야06-02-01 - 가야S(3)06-04-01 D 가야06-04-01 -

덕유산

덕유S(2)01-06-01 C 덕유01-06-01 -

11개소 중복 덕유S(1)02-04-03 C 덕유02-04-01

덕유02-04-02 B C 덕유S(3)03-00-01 D 덕유03-00-01 - 덕유S(3)03-00-02 C 덕유03-00-03 C 덕유S(2)03-03-01 C 덕유03-02-01

덕유03-03-01 - 덕유S(2)06-03-01 C 덕유06-03-01 C 덕유S(2)04-00-03 D 덕유04-00-02 - 덕유S(2)04-01-03 D 덕유04-02-03 - 덕유S(2)04-03-01 D 덕유04-02-04

덕유04-03-01 D C 덕유S(2)09-03-01 C 덕유09-03-01

덕유09-03-02 D D 덕유S(1)09-04-02 C 덕유09-04-01 C

소계 16개소 21개소

표 5-7. 급경사지 실태조사 중복 조사지점 현황

국립공원명

탐방로 재해위험 조사 급경사지 실태조사

비 고

조사번호 위험

등급 조사번호 위험

등급

오대산

오대S(1)91-00-01 B 오대00-00-04 B

4개소 중복 오대S(1)91-00-11 C 오대00-00-07 C

오대S(1)92-00-19 A 오대00-00-09 E 오대S(1)92-00-21 B 오대00-00-10 B

치악산

치악S(2)01-28-04 C 치악01-27-01 D

12개소 중복 치악S(2)01-28-06 D 치악01-28-01 -

치악S(2)01-35-01 B 치악01-35-01 - 치악S(3)03-00-03 C 치악03-01-03 - 치악S(3)03-00-04 D 치악03-01-04 B

치악S(2)03-00-05 B

치악03-01-05 치악03-02-04 치악03-02-05 치악03-03-01

B - - - 치악S(2)04-01-02 C 치악04-01-01 - 치악S(2)06-00-03 B 치악06-00-01

치악06-00-02 - - 치악S(2)07-05-01 C 치악07-05-01 C 치악S(2)07-07-00 B 치악07-07-01

치악07-07-03 C C 치악S(1)07-07-04 C 치악07-07-02 B 치악S(2)07-08-05 C 치악07-08-01 -

월악산

월악S(3)07-00-01 D 월악07-00-01 C

4개소 중복 월악S(3)09-05-02 D 월악09-05-01 -

월악S(1)14-01-02 D 월악14-01-01 - 월악S(3)14-03-01 D 월악14-03-01

월악14-03-02 - -

소계 20개소 26개소

표 5-8. 급경사지 실태조사 중복 조사지점 현황(계속)

국립공원명

탐방로 재해위험 조사 급경사지 실태조사

비 고

조사번호 위험

등급 조사번호 위험

등급

소백산

소백S(2)01-00-13 C 소백00-00-01 B

7개소 중복 소백S(3)01-00-15 C 소백01-00-02 -

소백S(2)01-01-01 B 소백01-00-03 - 소백S(2)01-01-02 D 소백01-01-01 C 소백S(2)01-06-01 D 소백01-06-01 - 소백S(2)06-01-01 D 소백06-01-01 - 소백S(1)06-05-01 C 소백06-05-01 B

소 계 7개소 7개소

합 계 43개소 54개소 43개소 중복

표 5-9. 급경사지 실태조사 중복 조사지점 현황(계속)

§ 급경사지 실태조사 구간과 중복되는 지점을 확인하기 위하여 급경사지 실태조사에서 제공된 GPS 좌표를 GIS 파일로 변환하여 중첩 비교한 결 과 산사태 발생 위험지를 통과하는 조사대상지 중 가야산국립공원을 포 함한 6개 국립공원 43개소가 중복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중복되는 43개소는 관리 및 정비계획 수립시 급경사지 실태조사와 중복 되는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어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일 원화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재해 발생의 주요 유 형이 낙석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므로 중장기 정비계획이 먼저 수립되어 있는 급경사지 실태조사에서 일원화하여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제1절. 요 약 제2절. 종합의견

제6장. 요약 및 종합의견 제1절. 요약

§ 1차년도(2013년)에 산사태 발생 위험 예측도 1등급지를 통과하는 탐방 로를 조사대상지로 선정하여 지리산국립공원 등 9개 국립공원 1,091개 소에 대해 조사를 완료하였으며, 2차년도(2014년)에는 산사태 발생 위험 예측도 2~3등급지를 통과하는 탐방로에 대하여 지리산국립공원 등 5개 국립공원 2,370개소에 대한 조사를 완료하였다. 3차년도(2015년)에는 산 사태 발생 위험 예측도 2~3등급지를 통과하는 탐방로에 대하여 가야산 국립공원 등 9개 국립공원 2,877개소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여 총 6,338 개소에 대한 조사를 완료하였다.

§ 3차년도까지 1~3급지에 대한 조사가 완료된 가야산국립공원 등 9개 국 립공원 3,429개소를 대상으로 탐방로 재해위험도를 평가하였다.

§ 가야산국립공원 등 9개 국립공원의 재해위험도를 평가한 결과, 즉시 조 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A등급지 1개소, 단기간(2~5년)내에 조치가 필 요하다고 판단되는 B등급지 63개소, 중장기적(5~10년)인 조치가 필요한 C등급지는 699개소, 특별한 관리가 필요 없이 일상적인 관리가 가능한 D등급지는 2,666개소로 평가되었다.

재해위험도탐방로 산사태

발생위험등급

조사대상 개소 수

탐방로 재해위험도 A등급

(심각)

B등급 (우려)

C등급 (보통)

D등급

(건전) 계

1등급 552 1 32 217 302 552

2등급 1,308 - 26 266 1,016 1,308

3등급 1,569 - 5 216 1,348 1,569

계 3,429 1 63 699 2,666 3,429

§ 산사태와 같은 재해 위험이 낮은 안정된 C 및 D등급지는 3,365개소로 전체 조사대상지의 98.1%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가야산국립공원 등 9개 국립공원의 산사태 발생 위험 1~3등급지를 통과하는 탐방로는 대부분 안정된 지역으로 분석되었다.

§ 재해위험 등급별 정비 및 관리방안을 참고하여 재해위험이 없다고 판단 되는 D등급지 2,666개소를 제외한 763개소에 대한 중장기 계획을 수립 하였으며, 재해위험 A등급 1개소에 대해서는 1~2년차, 단기적 조치가 필요한 B등급 63개소에 대해서는 3~5년차, 중장기적인 조치가 필요한 C 등급 699개소에 대해서는 6~10년차에 계획을 수립하였다.

§ 10년 동안의 중장기 계획을 통하여 각 국립공원별로 우선순위에 따라 균등 배분을 하였으며, A등급 1개소와 B등급 63개소를 포함한 64개소 는 중점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제2절 종합의견

1. 탐방로 재해위험도

§ 가야산국립공원 등 9개 국립공원의 탐방로는 대부분 재해위험도 C등급 과 D등급에 해당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국립공원내에 위치하는 탐 방로는 대부분 안정된 상태로 판단된다.

§ 재해위험도가 높은 A등급과 B등급지 64개소도 능선부와 계곡부에 위치 하고 있는 산사태 발생 위험 1등급과 2등급지에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낙석위험지가 대부분의 위험요인이므로, 급경사지 실태조 사와 긴밀한 협조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2. 국립공원 산사태 위험 예측도의 업그레이드 필요성

§ 산사태 발생 위험 1등급 지역은 대부분 급경사지, 산정상부, 혼효림, 토 심이 깊은 지역을 중심으로 능선부에서 해발고 1,000m 이상의 지역에 분포하고 있었으며, 산사태 발생 위험 2~3등급 지역은 국립공원 전체에 걸쳐서 다양한 위치에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1차, 2차년도의 조사시 산사태 위험 예측도 1등급지가 해발고 1,000m 이상의 고지대에 집중되고 있어서 지리산, 설악산, 속리산과 같은 국립 공원에는 정확도가 높은 반면에 해발고 1,000m 이하의 지역에 주로 분포하는 국립공원에는 위험지의 비율이 대체적으로 낮게 분포하므로 전체 국립공원의 여건에 적합한 산사태 위험 예측도의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또한 2007년 산사태 위험 예측도 제작 이후 현재까지 계방산, 점봉산, 무등산, 경주, 팔영산(다도해해상국립공원)등이 국립공원으로 편입되었 으나 산사태 위험 예측도가 제작되지 않았다.

§ 최근 집중호우, 돌발성 호우 등 강우 패턴이 변화하여 대규모 재해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어 재해에 안전하다고 판단되는 지역에서도 대규모 재해가 발생하는 현상들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변화하고 있는 기상 현황과 재해발생 패턴을 포함하여 예측이 가능한 산사태 위험 예측도 가 필요한 실정이다.

§ 또한, 국립공원 산사태 위험 예측도의 업그레이드는 본 연구와 같은 국립공원 지역내에서 발생하는 각종 재해를 예측하거나, 조사 및 관리 계획을 수립하는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3. 통합 재해 관리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

§ 산사태는 산지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붕괴와 훼손을 아우르는 용어로서 산사태, 토석류, 급경사지, 낙석, 탐방로 훼손지 등을 포함하는 광의의 용어로 사용된다.

§ 현재 국립공원에서는 산사태, 급경사지, 낙석, 탐방로 훼손 등을 각각 독립적인 분야로 조사, 관리하고 있으며 본 조사에서도 급경사지와 낙석 이 중복되는 지점이 다수 확인되고 있어 투자의 중복과 재원의 효율적 인 운용에 바람직하지 않다고 판단된다.

§ 따라서 분야별 조사와 연구는 진행하더라도 보다 효율적인 복구와 관리 를 위해서는 통합 재해 관리 시스템을 도입하여 관리의 효율을 높일 필 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제7장. 참고문헌

1. 건설교통부. 1996. 도로공사표준시방서.

2. 건설교통부. 1998. 도로부대시설 표준도.

3. 건설교통부. 1999. 도로의 구조, 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

4. 건설부. 1999. 도로안전시설 설치편람.

5. 국립공원관리공단. 2009. 국립공원 탐방로 정비 매뉴얼.

6. 국립공원관리공단. 2011. 국립공원 급경사위험지구 평가기준(안).

7. 국립공원연구원. 2007. 호우에 의한 국립공원 산지재해 방지방안 연구.

8. 국립공원연구원. 2013. 국립공원 일원 산사태 위험지역 조사 연구보고서.

9. 국립산림과학원. 2009. 토석류 발생특성과 피해규모 예측기법 개발.

10. (사)생명의숲국민운동. 2006. 생활권 숲길 현황 조사 매뉴얼.

11. 산림청. 2003. 산사태 발생원인 및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12. 산림청. 2007. 등산로 유형구분 및 관리방안 연구.

13. 산림청. 2009. 사방기술교본.

14. 오구균, 권태호, 이준우, 유기준, 최송현. 2005. 숲길 정비 매뉴얼. 수문 출판사.

15. 우보명. 1983. 신제 사방공학. 향문사.

16. 윤호중, 박기형, 이명보, 원명수, 김경하. 2011. 태풍 곤파스에 의해 발생 한 풍도목 특성과 바람과의 관계 분석. 한국임학회지 100(2):246-255.

17. 이창석, 홍선기, 조현제, 오종민 공역. 2000. 자연환경 복원의 기술.

18. 이창우, 윤호중, 우충식, 박기형, 정성철. 2012. 산지사면의 토심 추정법 및 토심의 산사태 영향도 분석. 산림과학 공동학술 발표논문집 2012(0) :

653-656.

19. 전근우. 2011. 신고 사방공학. 향문사.

20. 조태위. 1996. 사방공학. 선진문화사.

21. Mitchell, S.J., Hailemariam, T. and Kulis, Y. 2001. Empirical modelling of cutblock edge windthrow risk on Vancouver Island, Canada, using stand level information.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54: 117-130.

1. 지리산국립공원 탐방로 재해위험도

§ 지리산국립공원의 산사태 발생 위험 등급별 조사 대상지는 산사태 발생 위험 1등급지 465개소, 2등급지 597개소, 3등급지 322개소로 총 1,384 개소에 대한 재해위험도 평가를 2013년~2014년 2년에 걸쳐 수행하였다.

§ 탐방로 재해위험도 등급을 살펴보면 재해위험이 높은 A등급지는 2개소 로 분석되었으며, 0.2%를 차지하고 있었다.

§ 단기간(2~5년)내에 조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B등급지는 24개소로 1.7%를 차지하였다.

§ 지리산국립공원 전체 조사 대상지의 98.1%가 비교적 재해위험이 낮거나 없는 C 및 D등급으로 분석되었으며, 산사태 발생 위험 예측도에서 등급 이 낮은 구간일수록 탐방로 재해위험도 등급에서도 C등급, D등급의 분 포 비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탐방로 재해위험도 산사태발생위험등급

조사대상 개소 수

탐방로 재해위험도 A등급

(심각)

B등급 (우려)

C등급 (보통)

D등급

(건전) 계

1등급 465 2 20 155 288 465

2등급 597 0 4 113 480 597

3등급 322 0 0 23 299 322

계 1,384 2 24 291 1,067 1,384

※ 지리산국립공원 탐방로 재해위험도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