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왕산국립공원의 산사태 발생 위험 등급별 조사 대상지는 산사태 발생 위험 1등급지는 없으며, 2등급지 104개소, 3등급지 149개소로 총 253개 소에 대한 조사가 2015년 수행되었다.
§ 탐방로 재해위험도 등급을 살펴보면 재해위험이 높은 A등급지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단기간(2~5년)내에 조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B 등급지는 1개소로 전체 조사 대상지의 0.4%로 분석되었다.
§ 단기간(2~5년)내에 조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B등급지 1개소는 후리 메기삼거리~가메봉기점 사이의 계곡부 이동 구간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 로 조사되었다.
§ 주왕산국립공원 전체 조사 대상지 중에서 비교적 재해위험이 낮거나 없 는 C 및 D등급지는 252개소에 전체 조사 대상지의 99.6%로, 대부분의 탐방로가 비교적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탐방로 재해위험도 산사태발생위험등급
조사대상 개소 수
탐방로 재해위험도 A등급
(심각)
B등급 (우려)
C등급 (보통)
D등급
(건전) 계
1등급 - - - -
2등급 104 - 1 25 78 104
3등급 149 - - 32 117 149
계 253 0 1 57 195 253
표 4-11. 주왕산국립공원 탐방로 재해위험도 분석
(1) 조사지번호 : 주왕S(2)02-14-02(탐방로 재해위험도 B등급)
① 조사야장 1. 일반현황
국 립 공 원 명 주왕산국립공원 조 사 일 시 2015. 7. 16.
구 간 명 칭 제2폭포~가메봉~내원동~제3폭포
조 사 자직 급 충북대학교
위험탐방로거리 36 m 성 명 이상희
GPS좌표(시점)N36° 23' 56.130"
GPS좌표(종점) N36° 23' 56.738"
E129° 10' 53.487" E129° 10' 52.300"
경 사 (°)사면: 70.0°
노면: 25.0° 주 변 임 상 침,활,혼/(굴참,서어,물푸레) 평균직경:( 14 cm) 방 위 N, E, S, W,( 9 )
식 생 피 복 사면: 교목, 관목, 초본류 양호 / 불량(피도: 80 %) 해 발 고 410 m
2. 사면현황 재 해 발 생
예 상 지 구 분 상부, 탐방로, 하부, 없음 종 적 위 치 계곡, 산록, 산복, 산정 횡 적 위 치 계곡, 산복, 능선 흙 의 분 류 풍화토, 사질토, 자갈토, 실트, 점토 토 심 ( c m ) <15, 16-30, 31-45, 46<
모 암 분 류 퇴적암, 변성암, 화성암/(화산암) 암 석 노 출 도 90 %
탐 방 로
주 변
사 면 형
탐 방 로
주 변
사 면
단 면 형
철형 평행형 직선형 오목형 볼록형
요형 복합형 요철형 하부이탈형 돌출형
절 리 발 달
없음 유리 양호 불리 매우불리
사 면 풍 화 도 신선, 약간풍화, 보통풍화, 심한풍화, 완전풍화 낙 석 유, 무 사 면 유 출 건조, 습함, 젖음, 적하, 흐름 풍 도 목 유(사면상, 사면하) / 무
3. 노면현황 노 선 방 향 등고선기준(평행, 경사, 직각)
노 면 특 성 암, 토사, 복합 노 면 침 식 양호, 우격, 면상, 누구, 구곡 탐방 로 폭(m ) 최대:2.0, 최소:0.6,(1.3) 사 면 장 ( 절 토 ) m( ) 인 공 구 조 물 유( ), 무 배 수 상 태 양호, 불량/시설명( ) 4. 계류현황 유 출 유 무 건천, 상시 침 식 현 황 ( 공 통 ) 누구, 구곡, 야계, 하천 계 류 통 과 유, 무 계 류 폭 8 계 상 구 성 ( 공 통 ) 토사, 전석, 기반암노출 / 유목 계 곡 형 탐 방 로 유, 무 계 류 폭 8 인 접 계 류 길 이 ( m ) 36 인 접 거 리 0 5. 종합평가
재해/붕괴이력 유 / 무 / ( ) 재 해 위 험 도 상(심각)/중(진행)/하(보통)/건전 1,2차피해위험 산사태/토석류/사면상부붕괴/사면하부붕괴/탐방로유실/시설물훼손/낙석/없음 필 요 대 책 현상태 유지관리/주의 안내판 설치/보강공 필요/보호공 필요/긴급조치
6. 검토의견
검 토 의 견
※ 현장 의견
- 후리메기삼거리~가메봉 사이의 계곡내를 이동하는 구간임
- 좌우사면은 급경사 기반암 노출지로 암편, 뜬돌에 의한 낙석위험 높음 - 호우시 통행이 불가능한 탐방로 구간임
※ 1차 피해(탐방로)
- 낙석, 호우시 유수 증가에 의한 탐방객 안전에 우려가 높음
※ 2차 피해() - 특이사항 없음
개 선 사 항
※ 사면안정 및 배수시설(공법)
- 계곡내의 암반구간을 이동하는 지역으로 탐방객의 안전을 위하여 우회 탐방로 개설이 필요함
- 우회 탐방로 개설이 완료될 때 까지 주의 안내판 설치가 필요함
※ 대상지 식생도입(녹화)
- 계곡부의 노출암 구간은 식생 도입이 불가능하고 주변부 식생은 비교적 안정적인 상태임
※ 기타 :
② 위치 및 기본현황
§ 대상지 위치 : 경상북도 청송군 부동면 소재
GPS좌표(좌표계 : WGS84, 타원체 : WGS84)
시 점
N36° 23' 56.130"
종 점
N36° 23' 56.738"
E129° 10' 53.487" E129° 10' 52.300"
§ 위험탐방로 : 제2폭포~가메봉~내원동~제3폭포 노선 중 36m 구간
§ 기본현황
ü 후리메기삼거리에서 가메봉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간의 중간지역으로서 대상지 길이는 36m, 사면경사는 70°, 노면경사는 25°, 사면의 방위는 9°(N), 해발고는 410m로 조사되었다.
ü 대상지 주변은 평균직경 14cm의 굴참나무, 서어나무, 물푸레나무 등의 활엽수림지역으로서 사면에는 교목, 관목류가 주로 분포하며, 노출암을 제외한 피복상태는 양호한 편으로 조사되었다.
③ 대상지 일반현황
§ 사면현황
ü 대상지 사면은 산복/계곡에 위치하고 있으며, 토양은 사질토, 토심은 15cm 이하로 조사되었으며, 계곡부의 중심을 통과하는 위치에 있다.
ü 사면형은 요형이며 사면단면형은 볼록형으로 좌우로 기반암과 전석이 다 수 노출되어 있는 지역이다.
§ 노면현황
ü 탐방로의 폭은 평균 1.3m 정도로서 계상의 바닥에 위치하여 노면의 경
§ 계류현황
ü 기반암이 노출된 하천의 바닥을 따라 이동하는 구간으로 하천의 폭은 8m 정도이나 이동이 가능한 공간은 최대 2m 정도로 조사되었다.
④ 대상지 세부사진
§ 대상지 전경사진(좌 : 전방, 우 : 후방)
§ 재해 위험 요인(좌/우 : 절리발달, 뜬돌에 의한 낙석 위험)
⑤ 산사태 위험지역내 탐방로 재해위험 등급 평가
§ 탐방로 재해위험도 평가기준에 따라 분석한 결과 43점으로, 평가등급 “B 등급”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판정되었다.
판정등급 판 정 기 준 평가점수
B 등급
- 평가기준 점수범위 : 41점~60점 - 산사태 및 재해위험도가 높은 지역 - 단기적 조치 필요(2~5년)
43
§
세부항목별 평가 결과항 목
주변사면형 주변사면단면형 계곡유무 절리발달 사면유출 배수상태
요형 볼록형 유 불리 건조 양호
점 수 6 4 10 7 0 0
항 목
수목도복 식생피복 재해이력 재해위험도 산사태위험등급
총 점
무 양호 무 상(심각) 2등급
점 수 0 0 0 10 6 43
⑥ 종합의견 및 개선사항
§ 종합의견
ü 계곡 바닥에서 사면부로 이동하는 경계지역으로 기반암과 대형 전석이 노출된 계상을 따라 이동하는 구간으로 수목의 생장에 따른 절리의 분 리현상이 가속화 되고 암괴, 암편에 의한 낙석 위험이 높다고 판단된다.
ü 호우시 유수에 의해 탐방객의 안전이 우려되는 지역으로 판단된다.
§ 개선사항
ü 여름철 호우시 유수에 의한 탐방객 안전을 위해 표지판을 설치할 필요 가 있으며 우회탐방로 개설이 필요한 지역으로 판단된다.
(2) 조사지번호 : 주왕S03-01-02(탐방로 재해위험도 D등급)
① 조사야장 1. 일반현황
국 립 공 원 명 주왕산국립공원 조 사 일 시 2015. 7. 16.
구 간 명 칭 대전사~장군봉~금은광이삼거리
조 사 자직 급 충북대학교
위험탐방로거리 24 m 성 명 이상희
GPS좌표(시점)N36° 24' 2.346"
GPS좌표(종점) N36° 24' 2.752"
E129° 8' 40.053" E129° 8' 39.416"
경 사 (°)사면: 38.0°
노면: 27.0° 주 변 임 상 침,활,혼/(소나무, 신갈) 평균직경:( 18 cm) 방 위 N, E, S, W,( 154 )
식 생 피 복 사면: 교목, 관목, 초본류 양호 / 불량(피도: 100 %) 해 발 고 350 m
2. 사면현황 재 해 발 생
예 상 지 구 분 상부, 탐방로, 하부, 없음 종 적 위 치 계곡, 산록, 산복, 산정 횡 적 위 치 계곡, 산복, 능선 흙 의 분 류 풍화토, 사질토, 자갈토, 실트, 점토 토 심 ( c m ) <15, 16-30, 31-45, 46<
모 암 분 류 퇴적암, 변성암, 화성암/(화산암) 암 석 노 출 도 10 %
탐 방 로
주 변
사 면 형
탐 방 로
주 변
사 면
단 면 형
철형 평행형 직선형 오목형 볼록형
요형 복합형 요철형 하부이탈형 돌출형
절 리 발 달
없음 유리 양호 불리 매우불리
사 면 풍 화 도 신선, 약간풍화, 보통풍화, 심한풍화, 완전풍화 낙 석 유, 무 사 면 유 출 건조, 습함, 젖음, 적하, 흐름 풍 도 목 유(사면상, 사면하) / 무
3. 노면현황 노 선 방 향 등고선기준(평행, 경사, 직각)
노 면 특 성 암, 토사, 복합 노 면 침 식 양호, 우격, 면상, 누구, 구곡 탐방 로 폭(m ) 최대:1.5, 최소:1.0,(1.3) 사 면 장 ( 절 토 ) m( ) 인 공 구 조 물 유(돌계단, 목재데크), 무 배 수 상 태 양호, 불량/시설명( ) 4. 계류현황 유 출 유 무 건천, 상시 침 식 현 황 ( 공 통 ) 누구, 구곡, 야계, 하천 계 류 통 과 유, 무 계 류 폭 계 상 구 성 ( 공 통 ) 토사, 전석, 기반암노출 / 유목 계 곡 형 탐 방 로 유, 무 계 류 폭 인 접 계 류 길 이 ( m ) 인 접 거 리
5. 종합평가
재해/붕괴이력 유 / 무 / ( ) 재 해 위 험 도 상(심각)/중(진행)/하(보통)/건전 1,2차피해위험 산사태/토석류/사면상부붕괴/사면하부붕괴/탐방로유실/시설물훼손/낙석/없음 필 요 대 책 현상태 유지관리/주의 안내판 설치/보강공 필요/보호공 필요/긴급조치
6. 검토의견
검 토 의 견
※ 현장 의견
- 대전사~장군봉 사이의 소능선을 따라 이동하는 구간임
- 노면 경사가 급한 편이나 돌계단, 데크계단으로 보강된 지역임 - 주변 사면은 피복이 양호한 상태로 안정된 지역임
※ 1차 피해(탐방로) - 없음
※ 2차 피해() - 없음
개 선 사 항
※ 사면안정 및 배수시설(공법) - 없음
※ 대상지 식생도입(녹화)
- 주변부 식생은 안정적인 상태를 보임
※ 기타 :
② 위치 및 기본현황
§ 대상지 위치 : 경상북도 청송군 부동면 소재
GPS좌표(좌표계 : WGS84, 타원체 : WGS84)
시 점
N36° 24' 2.346"
종 점
N36° 24' 2.752"
E129° 8' 40.053" E129° 8' 39.416"
§ 위험탐방로 : 대전사~장군봉~금은광이삼거리 노선 중 24m 구간
§ 기본현황
ü 대전사 기점에서 장군봉 방향으로 진행되는 탐방로로 대상지 길이는 24m, 사면경사는 38°, 노면경사는 27°, 사면의 방위는 154°(S), 해발고 는 350m로 조사되었다.
ü 대상지 주변은 소나무와 신갈나무가 주를 이루는 혼효림 지역으로 수목 의 평균직경은 18cm이며, 주변사면에는 교목, 관목, 초본류가 분포하며 교목이 우세한 지역으로 피복상태는 양호한 편으로 조사되었다.
③ 대상지 일반현황
§ 사면현황
ü 대상지 사면은 능선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토양은 사질토, 토심은 16~30cm로 조사되었으며, 노출암은 거의 없는 지역으로 조사되었다.
ü 사면형은 철형이며 사면단면형은 직선형의 능선부 탐방로로 강우 및 유 출수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산지재해는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 노면현황
ü 탐방로의 폭은 최대 1.5m에서 최소 1.0m로 평균 1.3m의 폭을 보이고 급경사 사면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