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탐방로 재해위험 B등급지 관리방안

§ 조사가 완료된 가야산국립공원을 포함한 9개 국립공원 중 북한산국립공 원과 월출산국립공원을 제외한 7개 국립공원에서 재해위험도 B등급으로 조사된 63개소는 표 5-5와 같다.

국립공원명 산사태 발생

위험등급 조사지 번호 비 고

가야산 2등급 가야S(2)01-00-01, 가야S(2)01-00-04

가야S(2)01-02-01 4개소

3등급 가야S(3)01-07-01

덕유산

1등급

덕유S(1)01-07-01, 덕유S(1)01-07-02 덕유S(1)05-00-01, 덕유S(1)09-04-03 덕유S(1)09-05-03

13개소 2등급

덕유S(2)01-05-07, 덕유S(2)01-07-01 덕유S(2)01-08-01, 덕유S(2)06-02-02 덕유S(2)06-04-01, 덕유S(2)92-00-03 덕유S(2)92-00-05, 덕유S(2)92-00-06

오대산

1등급

오대S(1)04-00-01, 오대S(1)04-00-08 오대S(1)07-13-01, 오대S(1)07-14-01 오대S(1)07-14-03, 오대S(1)91-00-01 오대S(1)91-00-02, 오대S(1)91-00-05 오대S(1)91-00-06, 오대S(1)91-00-17 오대S(1)92-00-07, 오대S(1)92-00-18 오대S(1)92-00-21, 오대S(1)92-00-27 오대S(1)92-00-29, 오대S(1)92-00-31 오대S(1)92-00-32, 오대S(1)92-00-33 오대S(1)92-00-34, 오대S(1)92-00-36 오대S(1)92-00-37, 오대S(1)92-00-60 오대S(1)92-00-61, 오대S(1)92-00-62

32개소

2등급

오대S(0)07-07-01, 오대S(0)07-14-02 오대S(0)92-00-08, 오대S(0)99-00-24 오대S(0)99-00-07

등급외 오대S(0)99-00-01,오대S(0)99-00-02 오대S(0)99-00-03

표 5-5. 탐방로 재해위험도 B등급 현황

국립공원명 산사태 발생

위험등급 조사지 번호 비 고

주왕산 2등급 주왕S(2)02-14-02 1개소

치악산 2등급

치악S(2)01-00-10, 치악S(2)01-35-01 치악S(2)02-02-03, 치악S(2)03-00-05 치악S(2)05-02-01, 치악S(2)06-00-03 치악S(2)07-07-00

8개소 3등급 치악S(3)02-01-01

월악산 1등급 월악S(1)14-01-01

2개소 2등급 월악S(2)04-02-03

소백산 1등급 소북S(1)05-04-01, 소북S(1)07-09-06

3개소 2등급 소백S(2)01-01-01

표 5-6. 탐방로 재해위험도 B등급 현황(계속)

§ 가야산국립공원 재해위험 B등급지 관리방안

ü 가야산국립공원 재해위험 B등급지의 1, 2차 피해위험 유형으로 낙석 (3개소), 사면붕괴(1개소)로 확인되었다.

ü 급경사위험지구와 5개소가(C/D등급지) 중복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 나 B등급지와는 중복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ü 특히 가야S(3)01-07-01은 인명피해를 유발한 낙석사고 지점으로 상 시 모니터링 강화, 뜬돌 및 암편제거 등의 조치를 검토하여야 한다.

ü 낙석 및 사면붕괴가 발생할 위험이 높은 해빙기와 장마철에는 예찰 을 강화하고, 필요시 안전시설물, 주의안내판 설치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 덕유산국립공원 재해위험 B등급지 관리방안

ü 덕유산국립공원 재해위험 B등급지의 1, 2차 피해위험 유형으로 낙석 (10개소), 사면붕괴(2개소), 수목도복(1개소)로 확인되었다.

ü 덕유산국립공원의 경우 급경사위험지구와 11개소(C/D등급지)가 중복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B등급지와는 중복되지 않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ü 또한 낙석, 사면붕괴 및 수목도복이 발생할 위험이 높은 해빙기와 장마철에는 예찰을 강화하고, 필요시 안전시설물, 주의안내판 설치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 오대산국립공원 재해위험 B등급지 관리방안

ü 오대산국립공원 재해위험 B등급지의 1, 2차 피해위험 유형으로 낙석 (8개소), 사면붕괴(19개소), 토석류(3개소), 기타(2개소)로 확인되었다.

ü 급경사위험지구와 4개소가(A/B/C등급지) 중복되는 것으로 확인되었 으며 그중에서 3개소가 A/B등급지와 중복되는 것으로 분석되어 중 복지점은 급경사위험지구와 연계한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ü 낙석 및 사면붕괴가 발생할 위험이 높은 해빙기와 장마철에는 예찰 을 강화하고, 필요시 안전시설물, 주의안내판 설치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 주왕산국립공원 재해위험 B등급지 관리방안

ü 주왕산국립공원 재해위험 B등급지의 1, 2차 피해위험 유형으로 낙석 (1개소)로 확인되었다.

ü 낙석 및 사면붕괴가 발생할 위험이 높은 해빙기와 장마철에는 예찰 을 강화하고, 필요시 안전시설물, 주의안내판 설치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 치악산국립공원 재해위험 B등급지 관리방안

ü 치악산국립공원 재해위험 B등급지의 1, 2차 피해위험 유형으로 낙석 (8개소)로 확인되었다.

ü 급경사위험지구와 12개소가(B/C/D등급지) 중복되는 것으로 확인되 었으며 그 중 4개소가 B등급지와 중복되어 중복지점은 급경사위험지 구와 연계한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ü 낙석 및 사면붕괴가 발생할 위험이 높은 해빙기와 장마철에는 예찰 을 강화하고, 필요시 안전시설물, 주의안내판 설치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 월악산국립공원 재해위험 B등급지 관리방안

ü 월악산국립공원 재해위험 B등급지의 1,2차 피해위험 유형으로 낙석 (1개소), 사면붕괴(1개소)로 확인되었다.

ü 급경사위험지구와 4개소가(D등급지) 중복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B등급지와는 중복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ü 낙석 및 사면붕괴가 발생할 위험이 높은 해빙기와 장마철에는 예찰 을 강화하고, 필요시 안전시설물, 주의안내판 설치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 소백산국립공원 재해위험 B등급지 관리방안

ü 소백산국립공원 재해위험 B등급지의 1,2차 피해위험 유형으로 낙석 (1개소), 사면붕괴(1개소), 수목도복(1개소)로 확인되었다.

ü 급경사위험지구와 7개소가(B/C/D등급지) 중복되는 것으로 확인되었 으며 B등급지와는 1개소가 중복되는 것으로 분석되어 중복지점은 급 경사위험지구와 연계한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ü 낙석 및 사면붕괴가 발생할 위험이 높은 해빙기와 장마철에는 예찰 을 강화하고, 필요시 안전시설물, 주의안내판 설치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